Search Results for '2007/03'

32 posts

  1. 2007/03/28 [FYI, 2007년 3월 27일] Blog + Web2.0 + UCC by 쥬니캡 (6)
  2. 2007/03/27 블로그에 포스트가 뜸한 이유(KEEP ON BLOGGING!) by 쥬니캡 (10)
  3. 2007/03/23 PR & 마케팅 관련 에델만 도서관장의 추천 도서 목록 by 쥬니캡 (8)
  4. 2007/03/23 왜 CEO들은 블로깅을 하지 않는가? (Why are CEOs still not blogging?) by 쥬니캡 (2)
  5. 2007/03/22 GM의 비즈니스 블로그 및 소셜 미디어 활용 사례 by 쥬니캡 (7)
  6. 2007/03/20 DHL '키스배달 동영상' 주인공들, 이제 오프라인 세상으로(‘Kiss Delivery Guys’ in DHL Advertisement Comes to Offline World) by 쥬니캡
  7. 2007/03/20 [FYI] Blog + Web2.0 + UCC by 쥬니캡 (4)
  8. 2007/03/18 에델만 코리아, 기업 홈페이지에 블로그 섹션 오픈합니다! by 쥬니캡 (9)
  9. 2007/03/18 블로터닷넷에서 데스크블로터로 거듭나다 by 쥬니캡 (15)
  10. 2007/03/18 쥬니캡의 블로깅에 자극을 준 두명의 블로거 - 리차드 에델만(Richard Edelman) & 아거 by 쥬니캡 (11)
  11. 2007/03/16 일본 여객기 기장의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 사례 (Crisis Management Communication Case Study) by 쥬니캡 (5)
  12. 2007/03/14 제 2회 주제가 있는 블로그 포럼 참가 by 쥬니캡 (13)
  13. 2007/03/14 당신의 발이 소중합니다! - Edelman Korea's Street Smart Exhibition by 쥬니캡 (8)
  14. 2007/03/12 취업포털 커리어의 '2012년 유망직업 베스트 10' 발표 내용을 통한 몇가지 생각 by 쥬니캡 (8)
  15. 2007/03/11 세계적인 브랜드 전략가 마틴 롤의 아시아 글로벌 브랜드에 대한 스토리(Martin Roll's Asia Global Brand) by 쥬니캡 (4)
  16. 2007/03/11 다른 블로거의 글을 성공적으로 리포스팅하기(4 Ways to Successfully Re-Post Others Content ) by 쥬니캡 (2)
  17. 2007/03/10 한겨레PR Academy 선배와 후배들의 Interactive Dialogue by 쥬니캡 (20)
  18. 2007/03/08 PR회사 에델만 코리아 김호 대표의 CEO 블로그 운영에 대한 자기 반성 by 쥬니캡 (4)
  19. 2007/03/08 블로그, 소셜 미디어 이해를 위한 추천 도서 목록 업데이트 by 쥬니캡 (8)
  20. 2007/03/07 소셜 네트워크 미디어 싸이월드 활용 사례: 구강청결제 리스테린 국내 출시 by 쥬니캡 (6)
  21. 2007/03/06 제품 브랜드를 고객에게 맡겨라! (Let customers help brand your product!) by 쥬니캡
  22. 2007/03/06 블로그 마케팅 팁(Blog Marketing Tips) by 쥬니캡 (6)
  23. 2007/03/06 블로그 세상을 바꾸다 저자 스코블의 소셜 미디어(Social Media)에 대한 정의 by 쥬니캡 (6)
  24. 2007/03/05 뉴스로 살펴본 삼성의 전략적인 PR 커뮤니케이션 노력 by 쥬니캡
  25. 2007/03/05 루프트한자의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제안 10가지 by 쥬니캡
  26. 2007/03/03 쥬니캡의 Tag 모음 by 쥬니캡 (1)
  27. 2007/03/03 비즈니스 블로그를 운영할 것인가 or 말 것인가? - 마케팅 및 커뮤니케이션 전문가에 던지는 핵심 질문 by 쥬니캡 (4)
  28. 2007/03/03 비즈니스 블로그를 운영하는 이유 9가지 by 쥬니캡
  29. 2007/03/03 RSS(Really Simple Syndication)의 정의 및 활용도 by 쥬니캡
  30. 2007/03/02 소셜 미디어, 블로그 및 온라인 PR의 힘(The Power of Social Media, Blogs and Online PR) by 쥬니캡

[FYI, 2007년 3월 27일] Blog + Web2.0 + UCC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구글 알리미가 정리해준 국내 웹2.0 커뮤니케이션 환경의 변화와 관련한 기사들 8개에 저의 개인적인 생각을 조금씩 덧붙여 봤습니다.



인터넷 업계, '작은 언론' 팀블로그에 주목 MBN 메일경제 - 서울,South Korea : 파워블로거 그만님으로 국내 블로고스피어에서 통하고 있는 매일경제 명기자님이 국내 팀 블로그의 흐름을 사례로 엮어서 정리해주셨습니다. 다른 팀 블로그는 잘 모르겠고, 스마트플레이스 콘텐츠들 주옥 같은 글들이 많더군요.

트랜스포머, 팬 블로그 오픈..게임 사이트야? 브레이크뉴스 - South Korea : 오는 6월에 런칭하는 영화 관련 블로그입니다. 주목되는 점은 영화의 소재, 감독, 장르에 전문가적 식견을 갖고 있는 블로거들이 운영을 하고 있다고 하네요. 6월 이후 성공사례로 해석되는 기사가 나왔으면 합니다. 기대되네요.

'유투브'를 이을 다음주자 '휴대폰 미니블로그' 노컷뉴스 - Seoul,South Korea: 요즘 북미 블로거들의 파드캐스팅을 들으면 죄다 트위터를 떠들고 있습니다. 주목되는 점 세가지 등을 정리해서 이야기하고, 글을 포스팅합니다. 국내에도 관련 기사들이 나오기 시작했네요. 제가 트위터를 사용하진 않았지만, 요즘 서로간에 표절했다며 떠들고 있는 미투데이와 플레이톡하고 컨셉이 같은 거 같습니다. 모바일로도 포스팅이 되는 기능은 트위터가 앞선 기술인듯 하고요.

`모바일 웹2.0 포럼` 출범 디지털타임스 - South Korea: 모바일을 비즈니스로 활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보이네요. 모바일 기기 사용자는 PC 사용자의 두배라고 하지요? 그리고 PC을 통한 마케팅 캠페인 보다는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마케팅 캠페인에 참여하는 비율이 높다고 합니다. 아무튼 흥미로운 행사입니다.

웹2.0시대, 기사작성·편집 세미나 개최 EBN뉴스센터 - 서울,South Korea - 조선일보를 대표하는 IT 기자였던 우병현 기자님이 태그스토리라는 웹2.0 기반 콘텐츠 작성을 위한 노하우 공유를 비즈니스 컨셉으로 회사를 차리셨네요. 실리콘밸리 & 테헤란밸리 활황일때 실리콘밸리에 유학 비슷하게 가셨던 경험도 있고, IT 트랜드의 맥을 잘 집어주신 분이라 앞으로 활약이 기대됩니다. 파워블로거 떡이떡이(서명덕 기자)님도 관련 행사에 나오시는군요.

개인홈피…미니홈피…그리고 블로그 동아일보 - Seoul,South Korea: 동아일보 문권모 기자님이 기자의 시각으로 미니홈피와 블로그의 차이를 기사화했습니다. 파워블로거 BKLove님의 코멘트도 보이네요. 종합일간지에서 보는 두 개인 미디어의 차이점을 접하실 수 있겠네요.

삼성에버랜드 간부 UCC 배우기 '열풍' 조선일보 - Seoul,South Korea: 삼성에버랜드 간부들이 UCC 동영상 제작을 위한 교육을 열심히 받으셨답니다. 웹2.0 기반의 홈페이지와 내부 직원 블로그를 연달아 오픈하는 삼성그룹-역시 다른 기업들은 비즈니스 블로그의 가능성을 타진하며 고민만 하고 있는데-정말로 그 활용을 위해 열심히 뛰고 계시네요.

스마트플레이스 (http://www.smartplace.co.kr): 현재 IT 업계를 대표하는 팀블로그로 떠오르는 스마트플레이스에 네이비스님이 국내 비즈니스 블로그 현황을 정리하는 글을 포스팅했습니다. 향후 주목되는 사례들이 될 것이라 보구요. 네이비스님이 말씀하셨듯이 2007년의 비즈니스 블로그의 서막이 보이는 한해로 떠오르리라 믿습니다.

디지털을 말한다 by oojoo : 기업 PR Tool로서의 블로그 마케팅: 상기 포스팅에 이어 우주님이 비즈니스 블로그 주제로 포스팅을 했습니다. 추가 비즈니스 블로그 사례를 접하실 수 있습니다.

[신간] `비밀블로그 익명의 변호사` 외 MBN 메일경제 - 서울,South Korea: 법률회사 인턴사원이 익명으로 자신이 경험하는 내용들을 블로그에 올리고, 그 내용들이 인기가 있어 소설책으로도 나왔다네요. 상당히 잼있네요. 블로그를 이렇게도 사용할 수 있다니.

해외 출장중 피운 대마초 블로그에 올렸다가 덜미 세계일보 - South Korea, 네덜란드에서 대마초를 피웠던 내용을 블로그에 올렸다가 구속이 되었다는 내용입니다. 블로그가 아무리 1인 미디어라고는 하지만, 일단 호스팅을 하고 외부에 컨텐츠를 오픈하면 Public Media로서 콘텐츠 작성에 어느정도 제한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라 생각됩니다.

저의 기사 클리핑이 도움이 되시길요! @JUNYCAP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블로그에 포스트가 뜸한 이유(KEEP ON BLOGGING!)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지난주에 뉴 비즈니스 PT 준비와 기존 고객사 업무 관리를 위해 아무래도 무리를 한 듯 합니다. 지난 주 중 코피가 좀 나더니 이젠 감기 & 몸살이 걸려 몸이 으슬으슬하네요.

몸살이 걸리니 사고를 못하게 되었구요. 어제 그래도 충분한 잠을 청해서 오늘 오후까지는 괜찮다 싶었는데, 쌀쌀한 저녁 날씨에 다시 머리가 아프네요. 앞으로 블로깅에 있어 조절이 필요한다는 것을 절감하고 있구요. 그래도 포스팅 하나 하고 퇴근할까 합니다.


오늘은 제가 데스크블로터로 활동하고 있는 블로터닷넷의 초청으로 자그마한 포럼에서 제가 그동안 쌓아놓은 지식과 사례들을 공유했습니다. 초보 블로거 티를 겨우 벗어난 저를 강사라는 이름으로 초청해주신 블로터닷넷 김대표님과 여럿 블로터님들 감사드립니다. 또한, 저의 강의 내용에 덧붙여 소중한 사례를 공유해주신 안철수연구소 커뮤니케이션 팀과 한글과 컴퓨터 커뮤니케이션팀의 활발한 참여 또한 영광이였습니다.

제가 발표한 주제는 하단과 같이 크게 네가지 주제였으며, 제가 기존에 블로그 포스팅한 내용들을 중심으로 사례를 공유했습니다.
1. 기업에게 있어 블로그마케팅의 필요성 : 웹2.0 기반의 커뮤니케이션 환경의 변화에 따라 블로그 관계 도입 필요성
2. 추천할만한 사례: GM의 패스트래인 블로그를 비롯한 사례
3. 효과적인 기업 블로그 마케팅 전략: 블로그 등장으로 커뮤니케이션 접근법의 변화(블로그 관계 구축시 10가지 조언)
4. 기업 블로그로 인해 생길지 모르는 리스크를 줄이는 방법: 블로그 가이드라인(지침사항) 도입의 필요성

상기 내용들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했고요. 블로터닷넷의 황기자님이 보다 상세한 내용을 업데이트해주리라 기대해봅니다.

내일은 주제가 있는 블로그포럼 세번째 모임이 진행이 됩니다. 그리고 오늘 구글메일을 확인해보니 인터뷰 요청이 있네요. 열정이라는 이름아래 자기희생이 필요한 것이 블로그 포스팅(블로깅)이지만, 이렇게 소소한 저의 노력을 인정해주시는 분들이 많아지니 힘이 나네요.

앞으로 좋은 자료들을 먼저 공부하고, 도움이 되는 엑기스만 정리하여 좋은 글로 찾아뵙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PR & 마케팅 관련 에델만 도서관장의 추천 도서 목록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에델만 코리아에는 에델만 도서관장이라는 사내 직책이 있습니다. 현재, 허주현대리가 담당하고 있는 도서관장의 역할은 사내 직원들에게 도움이 될만한 책들 관련 사내 조사를 하고, 이를 구매하는 역할을 합니다. 오늘자로 도서관장님이 5권의 책을 구매할 것이라면서 추가 추천 도서를 받겠다는 메일을 주었네요.

하단의 책들은 PR & Marketing을 업으로 하는 블로거들에게도 도움이 될 듯 하여 짧게 포스팅합니다.

1) 게릴라 PR (Guerrilla PR Wired: Waging A Successful Publicity Campaign On-Line, Offline, And Everywhere in Betwwen) - Keith's pick! : 아일랜드에서 온 키스 차장이 추천한 책입니다. 예전 한국경제 기자 출신이자 프레인에서 근무했던 노혜령 이사님이 번역해서 수년전에 나왔던 책이죠.

2) 컬처코드 (The Culture Code) - HS' pick! : 정신분석학자이자 문화인류학자인 저자가 컬쳐 코드라는 키워드로 문화에 관련된 질문과 그 답을 제시하고 있네요. 문화마케팅하는 분들에게 도움이 될 듯.

3) 검색마케팅 이야기 (Search Engine Marketing) - Jace's pick
에델만 코리아에서 Interactive WOM(Word Of Mouth) 서비스를 같이 리드하고 있는 제이스가 추천한 책인데, 검색엔진에 관련한 지식을 키우는데 도움이 될 듯 합니다.

4) 미디어 다루기 - 기자와 어떻게 만날 것인가? (A Guide to Meeting the Press): PR 컨설팅 회사 프레인앤리에서 또 번역서를 냈네요. 언론관계 관련 내용인가 봅니다.

5) 똑똑한 홍보팀을 만드는 실전 홍보 세미나 (The Seminar for Real PR Practice): PR회사 메타커뮤니케이션에서 근무하셨던 김태욱 이사님이 내신 책입니다. 여러가지 사내 스터디용으로 모아놓았던 자료들을 엮어서 내셨다네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상기 책들 대부분을 저도 아직 읽지 못해 구체적으로 언급을 못했지만, 여러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각 책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책 제목을 링크처리해 놓았으니 ,그걸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JUNYCAP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가 근래에 자주 공부하며, 참고하여 포스팅하는 책 The Corporate Blogging Book 저자이자, 미국 블로그 컨설턴트인 Debbie Weil이 영국을 방문했나 봅니다.

Edelman Europe의 President & CEO인 David Brain이 운영하는 Sixtysecondview라는 블로그에 인터뷰 동영상이 올려져 있습니다.

참고로, David는 에델만 네트워크 내에서도 60초 짜리 인터뷰 동영상으로만 블로깅을 하는 아주 독특한 분인데, 터키에 가서 터키 PR 실무자에게 PR이란 무엇이라 생각하는지 묻기도 하고, 스위스 다보스 포럼에 가서 블로거들과의 대화를 올리기도 하고 아무튼 독특합니다.

이번에는 그래도 인터뷰가 1분 50여초 되네요. David가 왜 CEO들이 블로깅을 안하고 있는지에 대해 질문을 하고 Debbie가 이에 대해 짧게 답변을 올립니다. 꽤 유명하신가 봅니다. 이분 오는 5월이나 6월에 자신의 책이 중국어판으로 나오는지라 에델만 AP의 스폰서로 중국에 방문하신다고 하던데.

자, 왜 CEO들이 블로깅을 활발히 안하는지에 대한 블로그 컨설턴트의 답변을 들어보겠습니다. @JUNYCAP


상기 포스트 유용하셨다면 쥬니캡 블로그를 구독하세요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요즘 열독하고 있는 Debbie Weil의 The Corporate Blogging Book를 보니 GM의 Fastlane blog을 처음으로 활용하게 된 내용이 보이네요.  

GM의 패스트래인 블로그는 스코블의 Naked Communications(블로그, 세상을 바꾸다)에도 소개되고 있고, 삼성경제연구소에서 발간한 '블로그시대의 기업경영'이라는 리포트에서도 대표적인 성공사례로 꼽히고 있는지라 개인적으로 관심을 갖고 있었는데, 이번 기회에 GM의 블로그 및 소셜 미디어 활용도를 함 점검해 보았습니다.

2004년 12월 패스트래인이라는 GM의 최고 경영진 그룹이 직접 글을 쓰고 운영하는 블로그를 런칭한 이후, GM은 추가적으로 다양한 블로그를 오픈함과 동시에 Flickr 및 Youtube와 같은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간략하게 정리해보자면 하단과 같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1. FastLane Blog (
http://fastlane.gmblogs.com): 2004년 12월 오픈하였고, GM의 Bob Lutz 마케팅 담당 부회장을 주축으로 GM 경영진과 제품 디자인이나 개발에 참여한 직원들이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뉴스 및 신차 소개 등을 주제로 자유롭게 포스팅하고 있습니다.

블로그 출시 이후 수백만명의 방문객을 유치하고 있으며, 해외에서 기업 블로깅 활동에 있어 대표적인 성공사례로 여러 언론과 책에서 소개되고 있습니다. 하단 동영상에서 볼 수 있듯이 GM에서는 Bob Lutz부회장이 블로거들과 대화하는 모습을 동영상으로 제작하여 자주 올리고 있더군요. 블로거와의 대화에 무지 공을 들이고 있다는 인상을 받았습니다.

 


2. FYI Blog (http://fyi.gmblogs.com): 2006년 4월 오픈하였고, GM직원이나 그들의 친구 및 친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를 통해 감성적인 접근을 하고 있으며, 전반적인 자동차 문화와 GM에 관한 소개하고 있습니다.


3. Cadillac Driver’s Log (
http://cadillac.gmblogs.com): 2007년 1월 오픈하였고, 캐딜락 개발 엔지니어(Rob Kotorak)와 테스트 드라이버 (Liz Pilibosian)가 운영하며, 차량 개발 및 테스트 드라이빙에 대한
사용자 삽입 이미지
내용을 기고 하고 있습니다.




상기 주요 블로그 이외에 GM에서는 GMTV라는 사이트를 통해 자사 관련 영상 90여개를 소개하고 있고, GM Blogs on Flickr 를 통해 500개가 넘는 자사 제품, 직원, 모토쇼 참가 사진, 광고 사진들을 게재하고 있고, GM Blogs on YouTube 를 통해 약 20개 정도의 동영상을 업로드 했습니다. 그외에 패스트래인 블로그에는 GM Corporate Home, GM Advanced Technology, GM Education, Latest GM News, Auto Shows, Shop GM, GM Racing 등의 GM 관련 주요 홈페이지들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General Motors와 자동차에 관심이 많은 블로거들이 한번 방문하면 얻을 수 있는 정보를 매우 많이 제공하고 있습니다.

하단의 내용은 Debbie Weil의 The Corporate Blogging Book의 50 ~ 52페이지에서 소개된 내용인데, GM이 블로그를 활용하여 첫 글을 올렸던 상황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상기 언급한 내용과 함께 블로그와 소셜 미디어를 활발하게 활용하고자 하는 국내 기업들에게 하나의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어 간단히 정리하여 올립니다.

2004년 말 당시, 제네럴 모터스의 글로벌 마케팅 담당 부회장인 밥 루츠(Bob Lutz)는 재정적인 어려움으로 고생하고 있는 회사 상황과 관련한 언론보도에 매우 괴로워하고 있었다. 그는 당시 블로깅하는 법은 몰랐지만, 꽤 매력적이고, 직접적인 톤의 글을 쓰는 방법은 알고 있었다. 유럽 출장에서 돌아오는 비행기에서 그는 노화되고 있는 Saturn 라인에 대한 그의 생각을 정리하는 GM 고객용 공개 서한을 작성했다. 그는 이 고객 레터를 북미 커뮤니케이션 매니저인 개리 그레이츠(Gary Grates)에게 이메일로 보내면서, “내가 이 서한으로 무엇을 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을 하였다.

그레이츠와 그의 팀은 GM을 위한 블로그 런칭을 준비해오고 있었기에, 그는 루츠 부회장이 보내준 서한으로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알고 있었다. GM과 같은 대기업에서는 바퀴가 아주 느리게 도는 경향이 있어, 새로운 블로그를 위해 아주 멋져 보이는 템플릿이 다자인되는 동안, 블로그 포스팅은 전혀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Fastlane.gmblog.com이라는 GM의 새로운 블로그는 아직 공개적으로 오픈되지 않았던 상황이었는데, GM 블로그는 새로운 컨텐츠라는 먹이를 기다리는 조개와 같은 존재였다.

이런 상황에서 그레이츠는 아주 신속하게 움직였다. 2005년 1월 5일, 그레이츠는 루츠의 서한을 첫 포스트로 업로드하면서 GM의 FastLane 이라는 블로그가 공식적으로 탄생했다. 블로그를 통해 루츠는 다음을 이야기하고 있다.

수년간 자동차 미디어를 읽고, 이에 대한 반응을 해오면서, 이제 저는 다른 발에 신발을 신기로 결정했습니다. 인터넷의 시대에서는 누구나 “기자”가 될 수 있습니다. 지금 올리는 글은 앞으로 이 공개토론의 장에서 올리게 될 수많은 개인적인 기록 중 첫번째 포스팅이 될 것이며, 그 첫번째 주제를 Saturn 자동차 라인에 포커스하여 글을 올리고자 합니다…

만약 당신이 선택의 폭이 좁고, 쇠퇴하고 있는 제품 라인업에도 보유하고 있는데, 관련 제품의 소생을 위해 어떤 노력을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우선, 저는 블로그라는 뉴 미디어를 제작한 이들에게 감사를 표하며, 저는 제품 포트폴리오를 보충하는 일을 시작하고자 합니다.

첫 포스팅을 올린 이후, 루츠와 GM의 경영진들은 FastLane이라는 블로그에 수백개의 글을 포스팅해 왔다. 1만명에 가까운 고객들이 코멘트, 반증, 비평 및 아이디어로 반응을 해주었다. 대부분의 GM 경영진들의 글들은 오탈자, 문법에 어긋난 표현들을 유지한채 포스트 되었다. (블로그에 남겨지는 모든 코멘트들은 포스트되기 전에 신속하게 검토되었는데, 모욕감을 주거나 인종 차별적이거나, 혹은 수긍할 수 없는 글들의 경우는 코멘트로 허락되지 않았지만, 대부분의 글들은 허용이 되었습니다. 일련의 과정을 통해 GM 자동차에 대한 아주 많은 고객의 의견과 목소리들이 기록되고 있다.

이것은 GM에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 루츠 부회장은 블로그가 이전에는 가능하지 않았던 고객들과의 직접적인 라인을 구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었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저는 고객들의 직접적이고, 여과되지 않은 의견을 얻는 것을 좋아합니다. 저는 개인 의견을 발산하는 것 또한 좋아합니다.”라고 2005년 10월에 진행된 파드캐스팅에서 언급했다. FastLane 블로그는 다국적 기업인 GM의 최고 경영진들이 고객의 소리를 직접적으로 듣는 것을 가능하게 했다. 역으로 고객들은 자동차 디자인, 엔진 성능, 연료효율 그리고 자동차광들이 되풀이해서 이야기하기 좋아라하는 흥미거리에 대해 공개포럼을 통해 GM 경영진들에게 이야기를 할 수 있다. 고객들은 불만을 토로하기도 하고, 칭찬하기도 하며, 관련 내용에 대해 서로 대화하기도 한다.

앞으로 여러 기업들의 블로그 & 소셜 미디어 활용사례를 찾아보겠지만, General Motors 만큼 Corporate Communications 차원에서 뉴 미디어를 활발하게 활용하는 사례는 찾기 힘들 듯 합니다. GM의 이러한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회사의 경영 및 수익에 실제적으로 어떤 이익을 가져왔는지는 알 수 자료는 현재 없지만, 고객과의 쌍방향 대화에 힘쓰고 있는 이미지는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노력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JUNYCAP

상기 포스트 유용하셨다면 쥬니캡 블로그를 구독하세요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지난 2월 중순부터 새로운 클라이언트로 DHL Korea의 언론관계 기반 PR 서비스를 저희 팀에서 담당하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새로운 클라언트를 유치하는 첫 과정에서 기존 올드 미디어의 커버리지를 분석하여, 기업 커뮤니케이션상의 문제점, 개선방향을 설정합니다.

이제 블로그라는 뉴미디어가 대거 등장했기 때문에 블로그들의 포스팅을 통해 현재 기업의 커뮤니케이션 상황을 분석하곤 합니다. 그런데, 지난 지난 2월 DHL의 PT를 준비하면서 DHL 광고가 블로거들에게 핫 이슈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어 자그마한 해프닝을 공유할까 합니다.

먼저, 유투브에 올려진 관련 40여 초짜리 광고를 감상하시겠습니다.
 


We Deliver. Whatever 라고 끝을 맺는 동영상의 내용은 무언가 아픔을 갖고 있는 한 여인이 DHL 직원을 통해 자신의 키스를 한 남자에게 전달한다-DHL은 고객이 원한다면 모든 것을 배달해준다는 메시지를 전하고 있습니다.

지난 1월 18일쯤부터 네이버에 검색되는 블로거들의 글이 대다수 포스팅되었는데,
美 네티즌 열광시킨 DHL광고는 한국 아마추어 솜씨?, DHL에서 만들지 않은 DHL 광고, 재미있는 DHL 광고!! 등의 글들을 통해 과연 누가 제작했는지에 대한 지대한 관심을 보여 왔습니다.

그러던 중 3월 19일 월요일 오후 미디어 오늘에서 관련 광고 영상을 제작한 감독과 배우와 관련한 기사가 보도되었습니다.
'키스배달 동영상' 주인공들, 이제 오프라인 세상으로 네이버 

주요 인터뷰 내용 중 이재진 감독이 미디어로서의 인터넷을 언급하는 부분이 인상적이라 짧게 덧붙여 올려 봅니다.

이 감독 역시, 이번 일을 계기로 '미디어로서의 인터넷'을 다시 생각하게 됐다. 그는 “15초라는 짧은 시간 제약을 가진 TV에 비해, 인터넷은 여러 면에서 더 효과적인 표현이 가능한 매체”라면서, "앞으로 인터넷을 이용한 메시지 전달을 좀 더 연구해 볼 계획"이라고 말했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FYI] Blog + Web2.0 + UCC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오늘부터 시간적 여유가 확보될 때 마다 블로그 + 웹2.0 + UCC를 주요 키워드로 검색되는 국내 기사들을 링크 걸까 합니다. 기사 내용 중 코멘트하고 싶은 내용들은 짧게 정리하겠습니다. 상기 세가지 키워드 관련 트랜드를 계속 파악하고 싶은 블로거분들에게 도움이 되는 작업이라 생각합니다.

솔직히 자기만의 콘텐츠 생성이라는게 참 고민스러운 작업이고, 기사 링크 거는 것도 블로깅의 한 방법이기 때문에, 관련 뉴스들을 공유합니다.

블로터닷넷의 싼바님이 주간한국에 블로그 관련 기고를 하셨네요.
'블로그 마케팅시대' 기업들이여 파워블로거가 되라 네이버   주간한국 [경제, 매거진]  2007.03.19 오후 16:51

주간한국에서 2007년 2월말 블로그 특집을 냈습니다. 아직 저도 다 읽지는 못했지만, 국내 현황 파악하시는 데 도움이 되리라 생각됩니다. TNC의 꼬날님 인터뷰 내용도 있고요.
[커버 · 블로거] 그들이 있어 세상은 맛깔난 재미가 있다 네이버   주간한국 [정치, 매거진]  2007.02.26 오후 19:36
[커버 · 블로거] 블로그+리포터… 블로터 고수들 네이버   주간한국 [IT/과학, 매거진]
[커버 · 블로거] '광고붙는 블로그' 수익모델로 각광 네이버   주간한국 [IT/과학, 매거진]

머니투데이의 성연광 기자님이 근래 국내 블로고스피어에서 화제가 되고 있는 미투데이와 플레이톡에 대한 기사를 작성하셨네요.
'참을수없는 가벼움'...마이크로블로그 '뜬다' 네이버   머니투데이 [속보, IT/과학]  2007.03.19 오전 09:37

웹2.0도 제대로 파악하려면 시간이 없다 생각하곤 하는데, 세계 컴퓨터 과학자들은 웹3.0을 준비하시네요.
[세계 컴퓨터 과학자대회] "검색자 마음 속까지 읽는 웹3.0 곧 온다" 네이버   한국경제 [IT/과학]  2007.03.17 오전 08:56

국내 광고대행사 출신인 분이 UCC 관련 책을 냈다고 하네요.
[행복한책읽기Review] UCC 사전에 불가능은 없다 네이버  중앙일보 생활/문화 | 2007.03.17 (토) 오전 6:05

UCC도 그 성격에 따라 종류가 다양하다고 하네요.
'CC' 파워… 다양한 콘텐트로 UCC 진화 네이버  중앙일보 IT/과학 | 2007.03.18 (일) 오후 8:30

요즘 블로그 + UCC + 웹2.0 세가지 키워드로 뉴스를 검색하면, 단연코 UCC 관련 기사가 정말로 많이 보이네요. 정말로 뜨고 있는 키워드인가 봅니다. @JUNYCAP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에델만 코리아의 Interactive WOM Solutions을 함께 담당하고 있는 제이스가 리드하여, 에델만 코리아 홈페이지에 일종의 자그마한 에델만 코리아의 블로그 포탈 페이지 개념으로 Speka Up 섹션을 오픈했습니다.

지난 2월 17일 웹2.0 시대에 걸맞는 PR회사는? (국내 PR회사의 홈페이지 운영 현황)라는 글을 올리면서, 제이스와 함께 보다 나은 홈페이지 개선을 위해 고민한지 딱 한달만에 관련 페이지를 오픈하게 되었네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첫번째 SPEAK UP에는 Hoh, Margaret, Steve, HS, Juny, Jenny 등 6명의 에델만 코리아 블로거의 이미지, 관련 포스팅 글 및 RSS Feed를 링크해 놓았습니다.

두번째 BLOG ROLL에는 Richard Edelman 본사 회장, Steve Rubel 본사 수석 부사장, David Brian 에델만 유럽 CEO, Guillaume du Gardier 에델만 유럽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이사, Alan VanderMolen 에델만 AP 회장, Phil Gomes 에델만 미국 Me2Revolution 부사장, Stuart Smith 에델만 영국 오피스 CEO 등 주요 에델만 블로거 7명을 링크 해 놓았습니다.

참고로 본사 홈페이지 Speak Up 섹션에는 영어, 한국어, 폴란드어, 불어 등으로 포스팅을 하는 30여명의 블로거들이 링크되어 있는데, 영어 블로거 중 국내 블로거들에게 도움이 되는 글을 포스팅하는 에델만 블로거들을 특별히 링크해놓았습니다.

세번째 NEWS TROUGH에는 PR, 에델만, 뉴미디어 등의 키워드로 검색되는 뉴스를 관련 페이지에서 접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하온데 PR이라는 용어가 증권쪽에서도 사용되는 용어인지라  저희가 이야기하는 Public Relations와 상관 없는 뉴스도 링크되어 보이네요. 이 부분은 향후 2차 업데이트에서 조정할 계획입니다.

네번째 TAG CLOUD에는 6명의 에델만 코리아 블로거들의 Tag를 모아 놓았습니다. 에델만 코리아의 블로거들의 주된 관심사항은 PR 및 Communications 분야이기는 하나, Jenny과장의 경우에는 커리어의 지속적인 성장이라는 주제를 갖고 있고, Steve 이사의 경우는 Corporate Communications, HS이상의 경우에는 PR 컨설팅 영역에 포커스 되어 있고, Hoh 사장님의 경우 일상 속에서 느낄 수 있는 Relations와 Communications의 중요함, 미술전 & 음악회 관람회 등 다양한 편입니다. Margaret의 경우는 자신의 색깔을 보여줄 수 있는 글을 계속 포스팅해줄 것이라 기대를 하고 있고요.

1차 오픈에서는 상기 네가지 카테고리를 주제로 오픈을 했지만, 향후 에델만 코리아의 Video Clip을 업데이트할 예정이며, 기존에 PDF로 제공되던 Quarterly Edelman Newsletter의 형식을 웹2.0 형식에 맞추어 바꾸고자 합니다.

고객사 업무로 바쁜 와중에 Jace가 수고해줘서 너무나 감사하며, 앞으로도 베타 정신으로 계속 발전하는 홈페이지의 모습을 공유하겠습니다. 건승! @JUNYCAP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개인적으로 약 5개월의 블로깅에 있어, 한가지 뜻깊은 뉴스를 얻게 되었습니다. 지난 1월 15일부터 1인 뉴스 미디어 공동체라는 슬로건으로 운영되는 블로터닷넷에서 블로터로 활동을 해 왔습니다. 쥬니캡 블로그에 포스팅하는 내용 중 다른 블로터들에게 도움이 될만한 포스트만 선별하여 업로드를 해 왔습니다.

관련 글들을 포스팅하면서, 각 포스트에 대한 포인트가 차곡차곡 적립되는 것과 1월의 블로터로 선정되는 소소한 기쁨을 갖곤 했는데, 몇주전 블로터에서 수석 블로터로, 지난 3월 16일
일본 여객기 기장의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 사례 (Crisis Management Communication Case Study) 글을 올리고 나서는 데스크 블로터로 거듭나게 된 것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리고, 데스크블로터로 거듭나는 것을 축하해주는 싼바님의 메일을 받았습니다. 싼바님은 예전에 제가 드림 커뮤니케이션즈에서 근무할 당시에는 아이뉴스24 기자님이셨는데, 이제 블로터닷넷의 대표를 맡고 계시죠. 블로그라는 뉴미디어의 등장으로 인해 기존의 기자와 PR실무자라는 업무적 관계에서 블로터대표와 데스크블로터라는 서로 협업을 하는 새로운 관계가 설정된 것이죠.

싼바님이 주신 메일에 따르면, 저는 데스크블로터로서 몇가지 혜택을 갖게 됩니다. 일단 홈페이지 좌측에 보면 블로터닷넷의 주요 기자블로터와 전문블로터 등 20여명의 <블로터월드> 코너에 하단 이미지와 같이 저의 블로그가 등록되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블로터닷넷을 대표하는 블로터로 등재된 것인데, 앞으로 활발한 블로깅으로 보답해야 할 듯 합니다. 그외에 블로터닷넷의 열린편집위원회의 회원으로 활동을 할 수 있고, 블로터닷넷이 추진하는 다양한 행사나 비즈니스에 초대되며, 블로터닷넷의 수익모델 공유 프로그램에도 참여할 수 있다고 합니다. 개인적으로 시작한 블로깅으로 인해 이렇게 다양한 혜택을 갖을 수 있다는 것은 예상치 못한 블로깅의 즐거움이라 생각이 됩니다.

블로터닷넷에서 활동하면서 제가 얻고 있는 또 다른 혜택은 제가 올리고 있는 포스팅에 대한 독자들의 반응을 파악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저는 주로 비지니스 블로그, 소셜 미디어, 블로깅,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 리더십 커뮤니케이션 등을 주제의 글을 블로터닷넷에 포스팅하는데, 관련 글들의 클릭수를 통해 자체 평가를 할 수 있는 것이죠.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가장 클릭수가 높은 상위 3개의 글을 살펴보면, 블로터닷넷의 독자들이 IT 종사자 혹은 블로그에 익숙한 실무자들이 많기 때문인지라, 웹2.0 커뮤니케이션 환경으로 인해 변화되는 모습을 적은 글들을 가장 많이 읽으셨더군요. 이것은 저의 글 주제를 설정하는데 하나의 기준이 되고 있습니다.

또 다른 혜택은 제 글의 노출기회가 보다 더 확대된다는 것입니다. 물론 개인 도메인으로 운영되는 블로그에 포스트된 글들도 주요 검색 사이트에서 검색이 될 수 있으나, 블로터닷넷의 동일 콘텐츠들도 추가로 검색되기 때문에 콘텐츠 배포 네트워크를 추가적으로 얻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 다른 혜택은 열정적인 블로거들을 더욱 많이 만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블로거로서 오프라인에서 뵙게된
꼬날님, 혜민아빠님도 활동하고 계시고, 미국 휴스턴대학으로 유학간 서재민이라는 후배도 블로터닷넷에서 활동을 시작했고, IT 분야의 전문주제를 포스팅하는 다양한 블로거들을 추가 검색없이 만날 수 있는 것은 꽤 괜찮은 혜택이라 생각됩니다.

블로터닷넷이 아직 출범한지 1주년이 되지 않았고, 아직은 IT에 포커스된 주제들이 주로 포스팅되는 플랫폼이기는 하나 앞으로 노하우와 경험이 쌓이게 되면 그 발전 가능성은 꽤 크다고 생각합니다. 블로터닷넷의 성장과 함께 저의 블로그도 더욱 발전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합니다. 월요일 회사에 출근하면, 데스크 블로터로 활동하고 있다는 내용 제 개인 바이오를 설명하는 글에 업데이트해야겠네요. 블로터닷넷 건승입니다요! @JUNYCAP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지금 생각해보면 지난해 10월까지 저는 블로그라는 뉴 미디어에 대한 실제적인 이해가 매우 부족했다고 봅니다. 주로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 사이트에서 활동하고, 싸이월드 미니홈피를 통해 지인들과 커뮤니케이션하고, 네이버에 블로그를 오픈했지만, 에델만의 블로그 백서 내용을 조금 정리하다가 말았던. 그렇고 그런 블로깅이였죠.

그러던 어느날.

에델만 본사에서 현재 에델만 코리아에서 진행되는 Interactive Word Of Mouth 차원에서 진행되는 PR 프로그램이 있다면, 관련 PR 프로그램의 케이스를 정리해서 보고해달라는 부탁이 왔습니다. 이유를 알아보니 에델만 워싱턴 오피스에서 월마트 고객사를 위해 가짜 블로그를 오픈하여 운영하다가, 투명하지 못한 사항들로 인해 영어권 블로고스피어에서 에델만의 기업 신뢰도에 타격을 받을 수 있을 만큼 이슈화가 되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본사에서는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글로벌 네트워크에서 진행되는 모든 PR 프로그램을 진단하고, 지역별 컨퍼런스콜을 진행하여, 이번 사례를 통해 배운 것과 주의해야 할 사항들을 에델만 직원들과 공유했습니다. 다른 컨퍼런스 콜과 달리 모든 직원의 참여가 권고사항이 아닌 필수사항으로 진행될 정도로 자사의 확고한 의지를 공유하기 위한 노력은 지금 생각해보니 꽤 강했다고 봅니다.

어쨌든 이번 포스팅에서는 상기 언급한 내용이 아니고, 상기 케이스를 통해 저는 두명의 Influential Blogger의 대화를 접하게 됩니다.

먼저 아거님 -  지난해 10월말 워싱턴 오피스의 케이스를 접하고 국내에서는 얼마나 관련 내용을 알고들 있을까 궁금했습니다. 그래서 구글을 통해 검색을 해 보았는데, 에델만이라는 키워드로 상위랭크되어 있는 아거님의 글을 접하게 됩니다. 가짜 블로그로 위기맞은 에델만 PR 

아거님의 글들을 통해 관련 사건에 대한 이해와 함께 진정한 블로깅이라는 것이 이런 것이구나 라는 자극을 받고, 이글루스에서 본격적으로 개인 블로깅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참고로 아거님의 포스팅을 보면, 국내대학에서 심리학을 전공하셨고, 미국으로 유학을 가 PR 분야로 미국 중서부 대학교에서 교수를 하는 것으로 파악이 됩니다. 특히나 개인 블로그를 오래전부터 해오셨고, 블로그로 학위를 받으셨고, 글의 깊이가 있기에 저와 같은 국내 다수의 블로거들에게 영향을 끼치는 분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싶네요.

여튼, 아거님의 포스팅과 함께 블로그 관련 책들을 통해 블로깅의 실제를 접하던 중 리차드 에델만이 지난해 10월말 방한을 합니다.

두번째 리차드 에델만 - 리차드 에델만은 여럿 블로그 관련 책에서 대표적인 CEO 블로거로 소개될 정도로 손꼽히는 CEO 입니다. 사촌이와 이야기하던 중 블로그를 접하고, 2004년부터 ‘6AM’라는 제목으로 주 2회, 1시간씩 투자해 포스팅을 하고, 전 세계 에델만 직원 및 블로거들의 댓글이 수십 개씩 달리는 나름 영향력이 있는 블로글 운영하고 있지요. 리차드는 비지니스 차원에서 한국과 중국에 방문하면서, 자신의 블로그 포스팅을 위해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블로그, 소셜 미디어에 익숙한 직원들과 대화를 나누었습니다.  자신의 느낀 바를 포스팅하기 위해 국내 현황에 대한 질문을 하고 그것을 노트하고 또 질문하던 리차드의 취재 노력을 보면서 블로깅 열정이라는게 이거구나 하고 또 한수 배울 수 있었습니다. Observations on the Chinese and Korean Blogospheres

리차드가 뉴욕으로 돌아가고 수일 후, 개인적으로 한국내용을 잘 전달했나 싶어 리차드의 블로그에 방문했습니다. 글을 확인하던 중 ???? 가 표시된 트랙백을 발견했는데, 아거님의 트랙백이였습니다. 무슨 내용인가 해서 클릭하여 들어가 보았습니다. 우리는 우리끼리 논다? - 리차들의 글 내용에 대한 아거님의 피드백을 정리한 글이였죠. 그런데 한글로 글을 남긴지라 리차드의 블로그에서는 일련의 ??? 로 표시되어 나왔습니다. 그래서 리차드의 이해를 돕기 위해 관련 포스트의 주요 내용의 정리하여 이메일을 보내던 중 하나의 사건이 일어났습니다.

리차드의 블로그를 관리해주던 IT 담당 직원이 아거님의 트랙백을 지우게 된 것입니다. 지금은 아거님의 관련 글 내용이 업데이트 되어 있지만, 아거님의 에델만씨는 왜 트랙백을 지우는가? 글을 읽고 트랙백이 지워진걸 확인하게 되었습니다.

아차 싶었습니다. 왜냐하면 리차드는 지난 방한에서 동아일보와 에델만 글로벌 CEO “CEO 블로그에 댓글 달게 하세요” 인터뷰를 했는데, CEO 블로그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CEO 블로그에 댓글을 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메시지를 전달했는데, 트랙백을 지웠다는 것은 일종의 아이러니한 사고라 여겨질 수 있는 일이였죠.

곧바로 리차드에게 메일을 보냈습니다. "현재 아거라는 블로그의 트랙백이 지워졌고, 아거님은 추가 포스팅을 통해 이에 대한 궁금증을 표현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관련 트랙백을 다시 보일 수 있도록 조치가 필요하며, 관련 블로거와 대화를 하심이 좋다"라는 내용이였습니다.

뉴욕과의 시간차이가 있었지만, 내부 담당 직원에게 관련 사항을 원상복귀하기 위한 리차드의 메일에 cc가 되어 진행상황을 업데이트 받을 수 있었고, 리차드는 아거님과 메일을 통해 대화를 하게 됩니다. 그리고 아거님은 자신의 블로그를 통해 리차드로부터 메일을 받았고 트랙백이 원상복귀되었다는 글을 올리게 됩니다.

지금 생각나는대로 정리하긴 했지만, 쥬니캡의 블로깅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던 두명의 블로그가 신속한 대화를 나누는데 있어 저의 개인적인 노력이 긍정적인 결과를 끌어내면서 블로깅의 실제를 느낄 수 있었던 사례입니다. 그래서 Introducing Influential Blogger 게시판에 Richard Edelman아거님을 가장 먼저 소개합니다. @JUNYCAP

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지난 3월 13일 일본에서 전일본공수(ANA) 여객기가 랜딩기어 고장으로 앞바퀴가 내려오지 않은 상황에서 동체착륙을 시도하는 장면이 NHK 를 통해 생방송으로 보도된 사건이 있었습니다.

아무런 사상자나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을 뿐 아니라, 기장의 침착한 대응으로 항공기 탑승자, 미디어, 시청자들의 비난의 목소리 보다는 칭찬의 목소리가 높아 보입니다. 어떤 요인들로 그랬는지 주요 언론보도를 기반으로 숨막히는 동체착륙 드리마를 가상의 시나리오를 다시 엮어 보았습니다.

먼저, 사고 정황 파악을 위해 SBS 특파원이 보도하는 영상 기사를 보시겠습니다.

일 여객기 아찔한 비상착륙, 긴박했던 생중계 현장
네이버   SBS [세계]  2007.03.13

승객 56명과 승무원 4명을 태운 전일본공수(ANA) 소속의 74인승 봄바르디에 DHC-8 프로펠러 여객기는 13일 오전 오사카공항을 이륙해 코우치공항으로 향하던 중이었다. 도착 예정 시각 6분 전인 8시 49분 기장(36)은, 앞바퀴가 나오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된다.

(오전 8시 49분)
기장 : "관제탑!, 중대한 고장이 발견되었다. 앞바퀴가 나오지 않는다"
관제탑: "바퀴가 나왔는데 기내에서 인지하지 못한 것일 수 있으므로 일단 활주로 위를 저공비행해 봐라"

(오전 9시17분)
저공비행을 했지만 역시 바퀴는 나오지 않는다. 기장은 일단 상공을 선회하기로 결정한다. 상공 선회는 한 시간 넘게 이어진다. 기내가 술렁이기 시작한다. 불안해하는 승객에게 기장이 기내 방송을 한다.

기장: "여러분, 앞바퀴가 나오지 않아 선회하고 있으나 만일 동체 착륙을 하게 되더라도 평소에 훈련을 했기 때문에 문제없습니다. 안심하세요."

기내는 다시 침착을 되찾는다.

(오전 10시 26분)
기장은 10시26분 제1차 시도를 감행한다. 기장은 "뒷바퀴의 착륙 충격으로 혹시 앞바퀴가 (저절로) 나올지 모른다"는 생각하고, 착륙을 감행했으나, 여전히 앞바퀴가 나오지 않아 상공으로 재상승한다.

이제 동체 착륙밖에 없다!

상공을 선회하면서 기장은 비상착륙 시 혹시나 발생할지 모를 화재에 대비하고 기체를 가볍게 하기 위해 일단 여객기 안의 기름 대부분을 바다에 버린다.

다시 공포가 휩싸인 일부 승객은 메모지나 명함 뒤에 가족에게 남기는 글이나 기내에서 일어난 일들을 적기 시작한다.

소방차 수십 대와 구급차의 사이렌 소리가 울려퍼지고 자위대 요원들까지 긴급 출동해 침을 삼키며 활주로 옆에 대기한다. 탑승객을 마중나왔던 친척이나 친지들은 비상사태임을 뒤늦게 감지하고 공항 터미널에서 눈물을 흘리며 기도한다.

(오전 10시 50분)
기장: "앞으로 연료가 10분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동체 착륙을 시도합니다. 다시 한번 말하지만 전 평소에 (이런 상황에 대비해) 많은 훈련을 했습니다. 안심하세요."

승객들은 냉정을 되찾는다. 승무원들의 지시에 따라 앞자리와 뒷자리에 몰려 앉아 두 손을 이마에 대고 낮은 자세로 구부린다.

(오전 10시54분) 
뒷바퀴가 활주로에 닿는다. 흰 연기가 올랐지만 기수는 위에 뜬 상태였다. 그리고 10여 초 후 드디어 기수가 활주로로 내려온다.

"쿵, 쿵, 쿵". 3~4차례에 걸쳐 기수는 지면과 마찰을 일으키며 불꽃이 일어난다.
아슬아슬한 순간에 긴장이 흘렀다. 그러나 수초 후 속도가 떨어진 여객기는 멈춰선다.
TV에서는 "성공입니다. 성공입니다"라는 흥분된 목소리가 반복된다.

환호는 기내 승객들로부터도 터져나왔다. 여객기가 멈춰서자 승객들은 일제히 손뼉을 치며 환호한다. 방송을 진행하던 기자는 거의 울먹거린다. 소방차가 달려와 여객기 동체에 물을 발사해 동체를 식히는 등 긴급 안전조치를 취했고, 5분 후 한명의 부상자도 없이 모든 승객들은 안전하게 기내를 빠져나온다.

상기 사례를 기반으로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에 대해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위기관리는 크게 두가지 분야로 구성이 됩니다. 실제 위기를 관리하는 Operation Leve 차원과 위기가 발생하고 나서 주요 이해관계자들과의 커뮤니케이션을 관리하는 Communication Level 차원의 위기관리가 그 두가지 영역입니다.

저는 동체 착륙으로 한명의 부상자도 발생하지 않았던 성공 요인에는 사고 여객기 기장의 탁월한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그 주된 요인이 아니였나 생각해 봅니다.

올해 36살인 젊은 기장이 침착하게 대처할 수 있었던 것은 재직하고 있는 일본 항공사의 철저한 교육이 바탕이 되어 있었을 것입니다. 철저한 교육은 평소 발생할 수 있는 이슈를 규명하고, 이를 직원 교육으로 체득화하는 제도가 있었기 때문이라 생각됩니다.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 차원에서 관련 사고 당시 침착성을 유지했던 여객기 기장을 조금 더 칭찬해 보겠습니다.

-위기 발생을 감지하여 통제센터에 연락을 취한 후 승객들에게 현재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 대한 진실을 이야기했다.
-기장은 여객기 동체 착륙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하는 최악의 사태까지 생각을 했겠지만, 승객들이 가장 염려하는 사항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그들의 관심사항인 안전한 착륙에 대한 의구심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승객들을 안정시키고, 그들의 협조를 구하기 위해 훈련을 많이 해왔다는 긍정적인 메시지를 전달했다.
-상황 악화로 인해 불안함에 휩싸인 승객들을 안정시키기 위해 최신 정보를 지속적으로 전달했으며, '평소 훈련을 많이 했기 때문에 걱정하지 말라'는 긍정적인 메시지를 반복 전달했다.

그냥 스쳐 지나갈 수 있는 기사였지만, 젊은 기장의 냉철한 사고에 기반한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위기관리에 있어 Key learning point들이 있다는 생각에 몇자 적어보았습니다. @JUNYCAP

상기 포스트 유용하셨다면 쥬니캡 블로그를 구독하세요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어제 저녁 혜민아빠님 주최로 개최된 15명의 블로거들이 참여한 제2회 주제가 있는 포럼에 다녀왔습니다.

제2회 주제가 있는 포럼 "개인 블로그 마케팅" 어떻게 하는가?
# 오프모임 일짜 : 3월 13일(화)
# 오프모임 시간 : 저녁 7시 정각 (시간 엄수)
# 참석인원 : 최대 15명
# 모임 장소명 : 토즈 , 강남대로점

이번 모임에 늦지 않기 위해 여러가지로 신경을 썼는데, 어제 오후 급하게 진행된 고객 미팅을 진행했는지라 행사에 약 30분을 늦게 되어 혜민아빠님을 비롯 참석 블로거들에게 죄송한 마음이 들었습니다.

기존에는 기자 블로거나 업계 블로거들을 개인적으로 만나 대화하는 수준이였지만, 어제 만남에서는 다양한 관심사를 갖고 블로깅을 하는 블로거들을 한자리에서 만나 의견을 나누다 보니, 블로그에 대한 관심 영역이 더욱 넓어지게 된 계기가 되었습니다.

또한, RSS Feed로 블로거들을 접하다가 실제로 만나 대화를 나누다 보니, 아무리 뉴 미디어가 다수 생기고, 그 영향력이 높아진다고 하더라도, 사람간의 신뢰가 기반이 된 관계 구축을 위해서는 오프라인 만남이 중요하다는 것을 느끼기도 했습니다.

관련 포럼의 전체 진행은 혜민아빠님께서 해주셨습니다. 블로거로서 만나 계속 대화하고 있는 TNC Blogger
꼬날님과 맥퓨처님도 만날 수 있었고, 블로그 나라, 정호씨, 작은인장, 밀피유, 매혹, 웹탱고, elyu, 김성태, 정욱님 등이 참여하셨습니다. 원래 2시간으로 되어있는 행사는 참가자 규모가 많고, 논의내용에 대한 의견들이 다양했던지라 3시간에 걸쳐 진행이 되었습니다.

1부 : 온라인을 통한 질문 내용 정리 및 여러분의 의견 수렴
2부 : 참여하신 분들의 블로그 운영은 어떻게 하시고 있는지? 향후 어떻게 운영 하실 것인지?
3부 : 궁금한 사항들 질문 및 토의

논의사항들은 혜민아빠님의 [포럼후기]제2회 주제가 있는 포럼 "개인 블로그 마케팅" 어떻게 하는가?, 꼬날님의 ''개인블로그 마케팅" 포럼 .. 글들과, 편집장님의 주제가 있는 포럼 "개인 블로그 마케팅" 어떻게 하는가?를 다녀와서..., 글과 사진 및 영상이미지를 통해 나루터님의 「개인 블로그 마케팅」 모임 동영상 영상을 통해 행사 내용을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나루터 님과 편집장께서 올린 영상 자료에 제가 짧게 PR2.0의 개념을 설명하는 부분이 나옵니다. 두분께서 친히 편집하여 올려주셨습니다. 감사 드리며, 영광입니다.

하단은 어제 참가자들 사진입니다. 반가웠고, 또 뵙겠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오랜만에 저희 회사가 지면에 보도되었습니다.

직원 氣 살리기 “으랏차차” 네이버   동아일보 [경제]  2007.03.14 오전 08:09

요즘 에델만 코리사에서는 "당신의 발이 소중합니다"라는 주제로 직원들이 가장 소중히 여기는 구두를 찍은 사진 전시회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미술 전시회, 음악 연주회를 즐겨 찾으시는 Hoh 사장님의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기획되고, Jace가 사진 촬영하여 준비되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관련 전시회의 제목은 '스트리트 스마트(Street Smart).'로 설정하여 커뮤니케이션의 현장에서 '발로 뛰면서' 일하고 있는 PR 컨설턴트들의 일상과 열정에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에델만 직원들은
촬영 당일 자신이 가장 아끼는 신발을 신고 와서 사진을 찍었으며, 벽에 걸릴 사진 위에 그 신발이 자신만이 갖고 있는 개인적인 의미를 직접 펜으로 적었습니다.

예를 들자면 이런 식이죠.
"3년 동안 열심히 뛰어다니며 일한 나 자신에게 준 선물은 이 뱀가죽 구두",
"중요한 클라이언트 미팅마다 신었던 자신감을 주는 하이힐",
"에델만에서 678일동안 동거동락한 친구같은 구두"

사진에 찍힌 구두도 참 다양하지만, 관련 사진에 얽힌 직원들의 스토리도 참 다양하네요. 직원들의 또 다른 면을 보고 느낄 수 있는 기회라 생각됩니다. @JUNYCAP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사용자 삽입 이미지
PR을 업으로 하는 실무자분들, 혹시 그런 생각들을 하시나요?

PR 업계에서 10년 내지 15년의 경력을 쌓고 나서, PR이 아닌 다른 직종에서 성장을 할 수 있다면, 어떤 직종이 가능할까? 그것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자기 자신의 관심사, 실력, 경력, 네트워크 등에 철저한 평가와 함께 사회적 변화의 흐름을 읽는 눈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5년 뒤에 PR업계를 떠나 새로운 출발 혹은 새로운 비즈니스 가능성을 도모하고 싶으신 업계 동료들에게  도움이 될만한 기사가 발표되어 공유합니다.

[정책/자료]
[커리어] '금융자산운용가' 향후 5년 뒤 가장 유망한 직업 네이버  연합뉴스 보도자료 경제, 전문지 | 2007.03.12 (월) 오전 9:25

취업전문업체인 커리어가 HR관련 학계, 연구소, 기업체, 공공기관에 종사하는 전문가 30명을 대상으로 지난 2월5일부터 25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해 그 결과를 토대로 '2012년 유망직업 베스트 10'을 선정, 발표했습니다.

관련 결과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53.3%(16명)가 '금융자산운용가'를 선택했습니다. '금융자산운용가'는 항목별 평균점수 합계인 평균총점 50점 만점에 42.09점이라는 높은 점수를 얻어 '2012년 유망직업' 1위에 올랐다. 또 급여수준, 업무성취도, 사회적 위상 3가지 항목에서도 모두 1위를 차지했습니다.

커리어의 보도자료에 따르면, 과거에는 종신고용이 중요시 되었다면 이제는 '챌린징'(challenging) 할 수 있는 직업, 즉 성과위주의 프로젝트형 직업이 각광받는 시대로 넘어가고 있기 때문에, 금융자산운용가처럼 안정성보다는 성취도나 전문성이 강한 에이전트 성격의 직업이 유망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합니다. 

또한, 현대사회는 크게 시장경제원리와 사회복지정책을 기반으로 움직이고 있는데, 이 같은 상황에서는 시장 자본주의의 핵심산업인 경영, 금융, 마케팅 분야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게 되며, 특히 저출산ㆍ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실버산업과 관련된 직업들은 계속해서 증가할 것이라고 합니다.

20위까지의 순위를 추가적으로 살펴 보겠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상기 직업 중에 PR & Communications을 업으로 하는 실무자들이 새로운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직업은 6위 브랜드 관리사와 7위 마케팅 전문가가 될 것입니다.

보도자료에도 언급이 되어 있지만, 시장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기업마다 무수히 많은 브랜드를 출시하고 있기 때문에 기업의 브랜드와 제품과 소비자들을 이해하고 있는 PR실무자들이 브랜드 및 마케팅 관련 직업으로 업종 변경을 충분히 할 수 있다는 생각입니다. 실제로, PR을 업으로 하다가 기업 내 브랜드 및 마케팅 담당자로 실제적인 변화를 하시는 분들이 상당수 발견되기도 합니다.

PR 실무자의 가능성을 조금 더 확대하면 하단과 같은 시나리오가 가능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입니다.

2위 경영컨설턴트 관련, 기업 경영에 있어 조직 내부 커뮤니케이션 및 리더들의 커뮤니케이션이 중요시되면서, PR과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에 백그라운드를 갖고 있는 PR실무자들의 새로운 전문적인 커뮤니케이션 서비스가 가능할 것이라 예상합니다. 외국에서는 PR 카운셀링을 하시는 전문가 분들 중 리더십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전문적으로 제공하는 분들도 있더군요.

3위 실버시티 관련, 부유한 고령자 그룹이 많아짐에 따라, 이들을 타겟으로 하는 제품 및 서비스는 시간이 지날수록 다양하게 출시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관련 실버 시장을 타겟으로 한 PR 전문회사의 출현도 가능하리라 생각합니다. 실제로 PR회사 KPR이 지난해 중순, 실버사업을 전문으로 하는 컨설팅업체를 설립하기도 했습니다.  
실버사업 전문 컨설팅업체 등장 네이버 중앙일보 경제 | 2006.06.29 (목) 오후 6:37

상기 순위에는 없지만, 새로운 직업군으로 PR2.0 전문가는 어떨까요? 웹2.0 환경으로 인해 B2C 성격의 제품 마케팅 및 PR에 있어서 이제 온라인 마케팅 회사와 PR회사들의 영역다툼이 시작될 것이라 예상합니다. UCC를 키워드로 한 일반 소비자들의 제품 개발, 제품 PR, 제품 구매에 대한 관여도가 높아짐에 따라 소셜 미디어와 웹에 능한 소비자들을 이해하여 그들을 대상으로 PR &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하는 새로운 개념의 IMC 서비스가 제공가능할 것이라 예상됩니다.

여러분들은 어떻게 보십니까? @JUNYCAP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세계적인 브랜드 전략가 마틴 롤(Martin Roll)이 지난주에 한국에 방한하여 수일간 체류했습니다. 지난해 10월 '아시아의 글로벌 브랜드'의 국내판을 출간한 마틴은 이번 기회에 자신의 책을 보다 많이 알리는 기회로 활용하고자 방한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마틴은 브랜드 분야의 전문 컨설팅 회사인 'Venture Republic'의 설립자이자 사장이며, 세계적인 브랜드 전략가로서 많은 기업의 경영 자문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국제광고 분야에서 15년 이상의 경력을 쌓았고, 글로벌 마케팅과 브랜드 전략, 브랜드/제품 광고, 기업 커뮤니케이션 등 다양한 분야에서 경영자로도 활동해 왔습니다.

또한 프랑스 인시아드(INSEAD)와 중국유럽국제공상학원(CEIBS) 등 세계 유수의 경영대학원에서 초빙 교수로 활동하고 있으며, 경영진의 리더십 육성에 초점을 맞춰 기업의 주주 가치 제고를 성공적으로 이끌고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번 방한을 위해 에델만 코리아와 마틴은 일종의 짧은 제휴를 체결하여 진행했습니다. 마틴은 3월 7일 에델만 코리아의 주요 고객사 CEO, PR & 마케팅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강의, 3월 9일 에델만 코리아 직원들을 위한 강의를 2차례 진행하고, 에델만 코리아는 마틴의 방한일정에 맞게 국내 미디어들과의 인터뷰를 어랜지하고, 인터뷰 제반사항을 지원해 주었습니다.


하단은 매일경제에 커버된 마틴의 인터뷰 기사입니다.
마틴 롤 대표 "기업가치의 37%가 브랜드" | 매일경제 | '인물파파라치' | 2007.03.09 08:51

마틴의 인터뷰 기사와 2개 강의에서 발표한 주요 내용을 짧게 정리하면 하단과 같습니다.

more..

상기 내용들을 전달하며, 마틴은 아주 다양한 사례들을 소개해주었습니다. 마틴에게 부탁하여 그의 강의 발표자료를 아시안 브랜드 전략 - 마틴 롤 링크합니다. 관련 내용들 중 12페이지 내용은 PR & Communications 담당자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생각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애플의 iPod과 같이 시대의 아이콘이 될 수 있는 브랜드를 개발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 3가지:

1. 브랜드 정체성을 보여줄 수 있는 신화를 창조하라!: 관련 제품만이 갖고 있는 정체성으로 브랜드를 풍성하게 하고, 관련 브랜드가 일정한 역사적 순간에 사회적 요구와 관련한 신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가치를 부여해야한다.
2. 스토리 텔러들을 참여시켜라!: 다양한 스토리 텔러들이 관련 브랜드를 소비자들에게 스토리로 전달할 수 있도록 그들을 참여시켜야 한다.
3. 강력한 브랜드 스토리를 전파시켜라!: 관련 브랜드 스토리를 널리 퍼지도록 하여, 브랜드 관련 강력하고, 차별화되는 스토리 라인을 구축하여 브랜드에 생명력을 불어 넣어야 한다.

상기 요소들은 브랜드의 중요성을 인식한 Marketing Communicator & Marketing PR 실무자들이 활용해야 하는 커뮤니케이션 전략 혹은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마틴의 강의 내용을 포스팅하기 위해 마틴에게 자료들을 요청했는데, 이 양반 참 적극적이십니다. 자신의 프로파일과 강의자료도 보내주시고, 연락처도 보내주시고, 제 블로그에 'guest entries' 방식으로 글도 포스팅하고 싶으시다네요.

마틴의 최신 블로그 포스팅이 궁금하시거나, 그와 커뮤니케이션을 시작해보고 싶으신 분들은 그의 북 블로그 Asian Brand Strategy 에 방문하시거나, 회사 홈페이지 Venture Republic.com에 방문하시면 될 듯 합니다. 한국 기업들의 브랜딩 노력에 대해 워낙에 관심이 많으시니, 브랜딩이라는 키워드에 대한 의견이 있으신 분들은 적극적으로 마틴과 커뮤니케이션 해보심이 좋을 듯 합니다.

꽤 두꺼운 그의 저서 '아시아의 글로벌 브랜드' 의 책 내용을 숙독하면서 공유할만한 내용이 있으면 또 포스팅하겠습니다. @JUNYCAP

상기 포스트 유용하셨다면 쥬니캡 블로그를 구독하세요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다른 사람들(블로거, 기자, 칼럼니스트 등)이 작성한 콘텐트를 다시 포스팅하는 것은 특정 주제 관련 대화에 참여한다는 느낌을 가질 수 있으며, 나의 블로그에 추가 방문자를 유도할 수 있는 아주 좋은 방법입니다.

그러나, 다른 사람들의 글을 그대로 복사해서 포스팅하는 것은 내 블로그 방문자에게 결코 가치 있는 일이 되진 않을 것입니다. 그래서, 다른 사람의 글을 성공적으로 리포스트 할 수 있는 방법 4가지를 소개합니다.

1) 나만의 생각을 반영하라(Your Thoughts)!: 매우 쉬운 방법입니다. 메타사이트 및 포탈 사이트 블로그 검색 서비스를 통해 매우 인기 있는 포스트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 동의할 수도 있고, 반대할 수도 있겠죠. 이에 대한 자신만의 독특한 의견을 포스팅하세요.

2) 관련 내용을 확장하라(Expand upon it)!: 어떤 블로거가 올린 글이 개인적으로 매우 익숙한 경우에는 관련 내용을 이해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내 블로그 방문자 중에는 관련 주제가 생소할 수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전문 블로거가 남긴 글을 바탕으로 관련 내용을 더욱 상세하게 추가 설명하거나, 나의 방문자가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관련 글을 확장하십시요. 관련 방식으로 관련 주제에 아직 생소한 방문자들에게 추가 내용을 설명함으로써 보다 다수의 방문자들의 지속적인 방문을 유도할 수 있을 것입니다.

3) 글을 요약하라(Summarize)!: 나의 블로그 방문자에게 도움이 될 만한 주제로 외국 블로거나 전문 블로거가 800단어 이상의 글로 포스팅을 했습니다. 관련 글을 200단어 이내로 요약하여 포스팅하고, 관련 주제에 관심이 많은 방문자들이 관련 내용이 추가적으로 궁금한 경우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링크를 걸면 됩니다.

4) 다른 블로그를 여행하라(Time Travel): 유명 블로거 및 전문 블로거의 블로그를 방문하여, 그들의 지난 글들을 살펴보세요. 관련 블로거들이 어떠한 이야기를 했는지 알 수 있습니다. 2005년에 남긴 관련 블로거의 글이 현재 시점에 맞지 않는 경우들도 있을 수 있습니다. 관련 블로거의 생각의 변화를 접하면서, 나의 글을 조금 더 독특하게 올릴 수 있는 기반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리포스팅(Re-posting)이 제대로 이루어지면, 추가 방문객을 유도하고, 그들과 대화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다른 블로거들이 이미 말해왔던 콘텐트를 이용하여 매우 간단히 새로운 블로거들의 방문을 유도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리포스팅을 하는데 있어 원래 글의 출처를 꼭 링크를 통해 밝혀야 하며, 나의 블로그에 올리는 포스팅에는 나만의 톡특한 생각이 반영되어야 할 것입니다.

관련 글은 Online Marketing Blog에 올려진 Thomas McMahon의 4 Ways to Successfully Re-Post Others Content 를 기반으로 정리해서 올립니다.
@JUNYCAP

상기 포스트 유용하셨다면 쥬니캡 블로그를 구독하세요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한겨레PR Academy 선배와 후배들의 Interactive Dialogue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개인적으로 한겨레 PR Academy라는 대학생 대상 PR 교육과정의 강사로서 강의를 하곤 합니다. 관련 교육 과정에 참가하는 학생들은 11주간의 기간 속에서 기사 모니터링, 독자 기고문, 사보기획안 작성 및 발표, PR 기획안 작성, 가상의 PR회사의 프로파일을 설립, 관련 기획안 작성 후 경쟁 비딩 PT 등 다양한 과제를 수행합니다.

11주라는 시간동안 5~6명이 한팀을 이루어 공부하는 과정 속에서 그들은 PR 업계에 대한 용어들을 접하고, PR적 사고하는 법 & 팀원들과 일하는 법 & 미디어를 바라보고 해석하는 법 등을 배우게 됩니다.

현재 19기 30여명 학생들이 교육을 받고 있는데, 요새 수행하고 있는 과제 중 하나가 'Interview'하는 법입니다. 관련 코너는 자신이 인터뷰하고 싶은 PR Academy 출신 선배 실무자 혹은 PR업계 실무자들을 만나 그들을 취재하고, 주요 내용을 인터뷰 기사 형식으로 올리는 작업입니다.

여러 가지 인터뷰 기사 중 공감이 갈만한 11명 후배들의 인터뷰 내용을 발췌해 봅니다. 그들의 PR에 대한 정의, PR하면서 갖고 있는 고민과 생각, 앞으로의 계획 등 그들의 다양한 스토리를 볼 수 있습니다. PR실무를 하면서 PR업에 대한 열정을 유지하고 사는 것이 그리 쉬운 작업이 아니지만, 아직도 그들의 식지 않는 PR에 대한 열정을 접할 수 있어 저에게도 긍정적인 자극이 되네요.

자, PR Academy 선후배간의 Interactive Dialogue를 느껴보시죠! @JUNYCAP

5기 황상현(PR회사 메타커뮤니케이션즈 근무) 인터뷰 내용 중 부분 발췌

사용자 삽입 이미지

남동신: 마지막으로 PR을 하려는 후배들을 위해 이것만은 꼭 갖춰야 한다고 생각 하는 것이 있다면 어떤 것인지 말씀 해주세요. 그리고 19기에게 한마디 해주세요.

황상현: PR업을 위해서는 항상 새롭고 다양한 분야에 대한 관심을 갖는 것이 중요한 것 같아요. 최근 트랜드를 읽고 트랜드에
맞춰가기 보다는 한발 더 앞서가는 그런 자세가 중요 하지요.

음…… 후배들에게 한마디라…… 먼저 PR은 정말 열정 없이는 못하는 것 같아요. 열정은 Base!! 냉점 함과 전문지식을
갖추라고 말해주고 싶네요.

19기에 저와 같이 업종 변경이 있다고 그랬지요? 업종변경을 하려는 19기분들!! 이런 것을
갖추지 않는다면 PR 업을 3년 정도 하고 났을 때 또 다시 흔들 흔들리게 될 거에요. 계속 PR을 해야 하는지 말아야 하는지…… 업종 변경에서 느껴지는 한계를  이겨내기 위해 이론적으로 자신을 계속 발전 시키기 위해 노력 한다면 업종 변경에 성공할 것이고 그렇지 못하다면…… 실패 하고 아마 다시 업종 변경을 위해 헤메이게 될지도 모르지요. 하지만 업종변경이든 아니든 앞에서 제가 말한 것들은 PR을 함에 있어 도움이 될 거에요. (취재: 남동신)
4기 박선희(Yahoo Korea 근무) 인터뷰 내용 중 부분 발췌

사용자 삽입 이미지
# 홍보 인에게 중요한 것은..

홍보는 다양한 사람을 많이 만나기 때문에 사람을 좋아하고, ‘신뢰’를 가지고 인간관계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씀하셨습니다.

“다른 일도 그렇지만 특히 홍보는 사람을 많이 만나기 때문에 진심이 아니라 일이라고 생각하고 사람을 만나면, 그것이 스트레스가 되기때문에 진심을 가지고 인간적으로 대하는 것이 중요해요. 하지만 ‘선’을 지키는 센스는 당연히 필요하답니다.

아! 그리고 항상 홍보인은 ‘을’의 입장이기 때문에 클라이언트와 공중(미디어) 간에서 그 둘의 입장에서 행동해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내 입장이 아니라 그들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말하는 점도 중요해요.”
(취재: 고영숙)
4기 이아영(Edelman Korea 근무) 인터뷰 내용 중 부분 발췌

사용자 삽입 이미지
Q: 마지막으로 PR을 하면서 진정으로 하고 싶은 일이 있다면요?


"최종적으로 제가 하고 싶은 일은 PR을 통해서 사회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일이에요.
그 일을 하기 위해서 저는 지금 제 포트폴리오를 만들고 있는 거고요. 여러분도 여러분의 장기적인 꿈을 위해 하나하나 만들어간다고 생각하면 일하는 게 지겹지는 않을 거에요. 하루하루 반복이 아니라 내 꿈을 향한 한걸음이라고 생각한다면 말이죠."
(취재: 장원우, 조준필)
6기 홍지은(풀무원 근무) 인터뷰 내용 중 부분 발췌

사용자 삽입 이미지
"PR은 스토리예요. 현대 고 정주영 회장님이 북에 소를 데리고 갈 때, 1000마리가 아닌 1001마리를 데리고 간 스토리 알죠? 1마리는 원금이고 1000마리는 이자라는 스토리. 같은 현상을 보아도 '스토리'를 만들어 낼 줄 알아야 해요. PR은 스토리를 좋아해요."

Q. PR의 역할이 상당히 넓고, 중요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마지막으로 PR인이 되고 싶은 후배들에게 해주고 싶은 말씀이 있으시다면?
 
A. 제품, 회사, 브랜드에 대한 애정을 가져라! 라고 말하고 싶네요. 또 그런 말이 있지요. 아는 사람은 좋아하는 사람만 못하고 좋아하는 사람은 즐기는 사람만은 못하다고요. 힘들어도 즐길 줄 아는 자세가 중요하다고 봐요.
(취재: 이화경, 김효은)
3기 김세희(브릿지 커뮤니케이션즈 근무) 인터뷰 내용 중 부분 발췌

사용자 삽입 이미지
Q. 선배님만이 가진 PR RULE이 있으신지요?

제가 생각하는 PR은 1을 10으로 창조하는 것 이라고 생각해요. 사실을 기반으로 소비자들에게 알리는 것이잖아요. 룰이라고 하기에는 조금 그런데, 저는 제 자신과 약속을 해요. 절대로 거짓말은 하지 말자 이건데요, 거짓말로 알리는 건 PR이 아니잖아요. 수업시간에 배워서 알겠지만, 피할 건, 피하고 알릴 건 알리는 게 PR 이라고요.

Q. 한겨레 PR아카데미 19기 후배들에게 하시고 싶으신 말씀이 있다면요?
 아카데미를 다니는 목적을 PR에 대해 많이 알 수 있는 기회로 생각해 주었으면 좋겠어요. 그렇게 된다면 PR아카데미 과정 수료 후에 자신을 발전시킬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거든요. 물론 취업을 위한 아카데미가 될 수도 있지만 취업을 목표로 둔 공부는 한계가 있다고 생각해요. PR에 대한 열정만 있다면 후배님들은 멋진 PR인이 될 수 있을거라 믿어요. 지금 한겨레  PR 아카데미를 통해서 새내기 PR인이 되었다고 생각하구요. 열심히 하세요. 무엇이든 열심히 하면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을 꺼예요.
(취재: 작은 김나영)
13기 김미란(Edelman Korea 근무) 인터뷰 내용 중 부분 발췌

사용자 삽입 이미지
‘PR아카데미는 내 인생의 터닝 포인트’

PR아카데미 후배들에게 해주고 싶은 조언을 부탁 드렸다. “지금 다들 제안서 때문에 고민되는 부분들이 많을 시기겠죠. 하지만 그런 고민들은 회사에 다니게 되면  실전에서 부딪치면서 금방 알게 될 것들이랍니다.

저는 아카데미를 다니면서 PR보다 더 중요한 것을 얻었다고 봐요. 바로 나에 대해서 알게 됐다는 것. 나는 무엇을 잘하고, 무엇이 부족한지 말이죠. 자기 자신에 대해  먼저 고민해 보는 것 그게 가장 처음인 것 같아요. 노트에 자신에 대해서 적어보고 고민하는 시간을 충분히 가졌으면 좋겠어요. 자신에 대해 확실하게 알면 어디서든 나를 자신 있게 PR할 수 있게 되죠. 그런 다음  찾은 자신의 장점을 바탕으로 나를 적극적으로 showing하세요. 그리고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건 본인을 믿는 거예요.”
(취재: 노하나, 김혜미)
15기 이슬기(Daum Communications 근무) 인터뷰 내용 중 부분 발췌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감동은 진심을 다했을 때 움직인다.
인터뷰하는 내내 그녀는 행복해보였다. 입사한지 1년. 수많은 일들로 정신없이 지나간 시간이었지만 보람을 느낀 순간이 많았다고 했다. “특히 Daum에서 진행하는 ‘찾아가는 미디어’활동을 하는 시간은 항상 기다려져요. 오지 마을이라 카메라를 신기하게 만지작 거리는 아이들이 정말 순수해보이고, 저희가 가는 날이면 마을 잔치를 열어주는 주민들을 보면 저절로 행복감이 밀려와요.” 단순하게 업무로 생각했던 일들이 타인에게 기쁨을 선사한다는게 얼마나 행복한 일인지 아는 그녀는, 기자를 만날 때도 기자의 블로그를 미리 체크해두고 인사말을 건네는 것이 일상이 되었다고 한다.
진심을 다했을 때 사람의 마음도 움직이며, 이것은 결국 일의 성과로 드러남을 그녀는 누구보다도 잘 아는 것이다. 그래서 그녀는 포장을 싫어한다고 했다. “중요한 것은 정확한 Fact를 얼마나 신뢰감 있게, 설득력 있게 전하느냐에요. 그리고 무엇보다 진실성이 가장 중요해요. 포장이 아닌 진실성. 사실이 아닌 것을 그럴 듯하게 포장하는 것은 결코 PR이 아니예요.
(취재: 주리혜, 손경진)
6기 신보현(국립국장 근무) 인터뷰 내용 중 부분 발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언제나 꿈을 향해 노력하는 그녀>
 

 “제가 2009년쯤 남편의 직장일로  함께 스웨덴이나 스페인으로 잠시 떠나게 될 것 같아요. 가서 5년 정도 공부를 할 계획이에요. 지금하고 있는 일과도 관련해서, 문화예술에 관한 공부를 하고 싶고 특히 문화 정책에 관심이 많아요.

그리고 후에는 인권과 동물보호에 관련된 일을 꼭 해보고 싶어요. 원래 중학교 2년 때 꿈이 정치가였는데, 사실 그 나이 때에는 생각하기 힘든 꿈이죠. 어렸을 때부터 어렵고 힘든 사람들을 보면 도와주고 싶다는 생각을 많이 했던 것이 그러한 분야와도 연관되어 지금도 그런 일들을 하고 싶은것 같아요.”  
- 그녀의 출산 Episode.

작년 11월 신보현 선배님은 사랑스러운 딸 다인이를 출산하셨다. 그런데 다인이가 태어나던 날도 신보현 선배님은 맡은 일에 대한 열정과 책임감으로, 다음날 시작되는 공연을 위한 모든 일을 수행하고, 기자들에게도 전화해서 꼭 내일 참석해 줄 것을 부탁하셨다. 그리고 늦은 저녁 퇴근 후, 배의 이상을 느껴 병원에 갔더니 의사 선생님이 ‘왜 이제야 오셨어요?’ 라며 깜짝 놀라며 바로 분만실로 들어가 아기 낳기에 힘쓰셨다고 한다. 다음날 아기를 낳고, 전날까지도 일하고 계시던 것을 알았던 기자들도 놀라며 축하문자 메시지를 많이 보내주셨다고 한다. 이 때 받은 문자는 딸 다인이에게 기념으로 보여주기 위해 저장해 놓으셨다며 웃으며 보여주시기도 하셨다.
(취재: 신사름, 최명희)
11기 문지영(위메이드 근무) 인터뷰 내용 중 부분 발췌

사용자 삽입 이미지
문지영, PR과 통(通)하다.

에이전시와 인하우스를 모두 경험해본 그녀는 어떤 것이든 그 안에서 배울 수 있는 것은 무궁무진하다고 했다. 인하우스에서는 내부, 외부 커뮤니케이션, 그 회사와 브랜드에 대한 전문성을, 또 에이전시는 짧은 기간에 다양한 클라이언트를 경험할 수 있고 경쟁 상황을 즐기는 법을 배웠다고 한다.
"기자들을 만나 이야기 나누는 저의 태도나, 말 한마디 한마디가 우리 회사에 끼치는 영향은 실로 대단합니다. 그게 바로 홍보의 매력이라고 생각해요. 또한 이 분야의 가장 중요한 자질은 홍보에 대한 마인드예요, 홍보경력은 전문성을 오래 가져갈 수 있기 때문에 그만큼의 비전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취재: (큰)김나영, 정아람)
9기 조정화(SK Telecom 근무) 인터뷰 내용 중 부분 발췌

사용자 삽입 이미지
Q, 그 외에 해주고 싶은 말씀들..
 

PR업무는 사람을 정말 많이 만나요. 하루가 사람을 만나는 일로 시작해서 사람을 만나는 일로 끝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에요. 이 일을 해야겠다는 생각을 한다면 한번더 진지하게 생각해보세요. 내가 사람 만나는 것을 정말 좋아하는가? 사람을 만날 때 편견을 갖고 있지 않은가? 선입견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하기 힘든 업무라고 생각해요.

제가 회사에 입사할 수 있었던 이유가 제가 가진 뛰어난 능력 때문에 아니라 누구에게든지 적극적으로, 편견 없이 대할 수 있는 저의 태도 때문이었다고 생각해요. 무엇보다도 중요한 점이에요.
저는 처음 프로파일 평가 때 킬을 당했어요. 오히려 그 경험 때문에 오기가 생겨 최종PT때는 일등을 할 수 있었어요. 여러분들도 해야겠다는 마음가짐만 잘 가진다면 좋은 결과가 있을 거라고 생각해요. 궁금하신 거 있으면 주저하지 말고 연락만 주세요.
(취재: 여지은)
6기 윤호진(커런트 코리아 근무) 인터뷰 내용 중 부분 발췌

사용자 삽입 이미지
나는 왜 PR을 하려고 하는가


아카데미를 나왔다고 PR업계에 당장 통용되는 인재가 만들어지는 것은 아니다. 인고의 시간을 견디고 쑥과 마늘을 100일간 먹을 수 있는 사람만이 성장할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내가 왜 PR을 하려고 하는가?’에 대한 명확한 답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분명한 목표 의식과 자기 분석만이 Self-motivation을 확고히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회사에 들어오는 후배들만 보아도 처음의 대단했던 의욕에 비해 대부분이 이겨내지 못했다. ‘3,6,9법칙’을 이겨낸 자만이 살아남을 수 있고, 발전할 수 있다. 치열하게 고민하고 나만의 것을 만들어야 한다. 아카데미를 다니며, 이것만 잘 정립한다면, 이미 반은 성공이다.

“뜬구름 잡는 소리 말고, 나만의 대답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해요.”
(취재: 조현경, 김용란)
16기 이유진(프레인 근무) 인터뷰 내용 중 부분 발췌

사용자 삽입 이미지
+ Prain


아카데미에서 Role모델을 정하라는 말을 많이 들었었는데, 프레인이 좋은 이유는 정말 Role모델이 확실히 그려지는 것이다. 아르바이트를 할 때부터 저런 PR인이 되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고,  매 단계 성장할 때 마다 Role모델이 확실히 보인다. AE 1년차에는 누구, 부장의 모습은 누구, 이런식으로 각 모델이 확실하다. 목표를 갖고 정말 열심히 매진할 수 있게 한다.
 
+
 
지금부터 2~3년은 무조건 배우는 시간이라고 생각한다. PR인은 위기나 프로젝트 건당 컨설팅이 가능한 진짜 전문가들이라는 것, 내가  PR을 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될 수 있게한 능력과 전문성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정말 열심히 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사소하게 전화를 받는 하나하나 부터, 기자들을 대하는 예절까지, 무엇보다 학생이 아니라 프로라는 마음가짐으로 책임감을 가져야 할 것이다.
(취재: 이지훈, 김민경)

사용자 삽입 이미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지난 2월말부터 Hoh 사장님이 에델만 코리아 웹사이트에서 운영하시던 CEO 블로그를 설치형 블로그인 테터툴즈로 주요 콘텐츠를 옮기는 작업을 본격적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에델만에서는 지난 2004년부터 글로벌 차원에서 각 국가 오피스를 대표하는 경영진들의 블로그 운영을 권고하였고, 그러한 흐름으로 Hoh 사장님의 기존 블로그는 운영되어 왔습니다.

기존 웹1.0 기반으로 개발된 에델만 코리아의 홈페이지에서 운영되는 Hoh 사장님의 현재 블로그는 reply만 걸수 있고, trackback를 걸수 없는 등 웹2.0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실현하기 위해 업그레이드가 필요합니다. 또한, 조만간 에델만 코리아는 홈페이지 내에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는 국내 오피스의 주요 경영진과 직원 블로그를 링크하여 소규모 블로그 포탈 개념의 페이지를 런칭할 계획입니다. 이러한 계획의 일환으로 Hoh 사장님은 블로그를 테터툴즈에 오픈을 준비하고 계신거죠.

오늘 가장 최신으로 올라온 나는 블로그를 하고 있었나...New Media vs. New Mind 라는 제목의 포스팅 내용을 보면, CEO Blog을 운영해오던 Hoh 사장님의 마인드 변화를 느낄 수가 있습니다. 만약 PR업계에 근무하시는 블로거이시라면, 아무쪼록 상기 링크된 글을 참고하시고, Hoh 사장님께서 더욱 적극적으로 블로거들과의 대화를 확대하고, 대화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격려의 댓글 부탁 드립니다. 쌩유~~ @JUNYCAP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7년 3월 8일 점심시간에는 에델만 코리아 Hoh 사장님이 사내직원을 대상으로 "Reimagine your PRofessionin the age of PR crisis & opportunity"에 대한 주제 발표가 있었습니다. 관련 내용은 블로그와 소셜 미디어 등 웹2.0 커뮤니케이션 환경이 국내 PR실무자들에게 의미하는 바와 앞으로 어떠한 고민을 하고 준비를 해야 할지에 대한 주제발표였습니다.


NHL의 전설적인 아이스하키 영웅 웨인 그레치키(Wayne Gretsky)가 하단과 같이 이야기 했답니다.
“Most people skate to where the puck is, I skate to where the puck is going to be."

Hoh 사장님께서 인용하신 상기 문구는 웹2.0 커뮤니케이션 환경 변화를 follower로서 뒤늦게 이를 쫓아가지 말고, 업계의 leader로서 뉴 미디어의 특성을 먼저 접하고, 고객들의 니즈를 준비해야 한다는 것을 설명이였습니다. 참고로, 에델만의 지난 2006년 신뢰도 조사에 따르면, 블로그와 소셜 미디어의 부상으로 기존 메인스트림 미디어에 대한 공중의 신뢰도는 계속 떨어지고 있으며, 나와 같은 사람들(person like myself)에 대한 정보 신뢰도가 계속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근래에 네이버, 다음 등 포털사이트들은 기존 콘텐츠 검색에 있어 다소 패쇄적이었던 내부방침에서 벗어나, 다양한 웹2.0 관계 기업들과의 제휴를 통해 검색엔진으로 정보를 찾는 네티즌들에게 보다 다양하고 신뢰도 있는 정보검색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상기 흐름을 접하는데 도움이 되는 책들이 추가 발간됨에 따라 이글루스에 지난 12월 11일에 올렸던 "웹2.0 시대에 PR을 어떻게 해나가야 할 것인가?"의 내용을 업데이트합니다.
--------------------------------------------------------------------------------------
웹2.0이라는 키워드가 IT산업에서 키워드로 부상이 되어 비즈니스 환경이 변화되고, 조선닷컴의 개편 추구 등 미디어가 변화를 추구하고 있는 시점에서 PR 실무자들도 변화에 대한 고민을 갖아야 할 시기가 도래했다는 생각입니다. 아직 블로그, 위키피디아, 팟캐스트 등 뉴미디어를 PR & 커뮤니케이션 차원에서 어떻게 활용해 나가야할지 계속적인 논의가 필요한 사항인데, 이러한 변화는 PR실무자들에게 기회이자 위기의 요인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라 생각됩니다.

하단 리스트는 발간순서에 근거하여 정리하였지만, 웹2.0 시대의 변화를 경제학적 관점에서 쉽게 배우고 싶다면, 웹2.0 경제학=> 웹2.0 비즈니스 전략 => 웹진화론 순서로 읽기를 추천하며, 소셜 미디어에 대한 이해를 하고 싶다면, You! UCC를 추천하며, 블로그 마케팅을 이해하고자 하면, 블로그 마케팅(홍대리가 블로그를 만든 까닭은?) => 블로그 마케팅 => 웹2.0 마케팅 순서로 추천하며, 블로그 저널리즘을 접하고 싶다면, 블로그 파워 => 블로그 1인 미디어의 가능성과 한계 순서를 추천합니다.

정유진의 웹2.0기획론은 상기 책들을 읽고, 어느정도 지적 수준이 된 후 웹2.0 기획까지 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경우 추천합니다. 자 그럼 저의 추천도서를 통해 PR 실무자들이 Professional PR Blogger로 거듭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블로그 - 1인 미디어의 가능성과 한계(2005년 8월): 한국언론재단에서 블로그와 관련된 다양한 현상들을 고찰하고 블로그의 1인 미디어로서의 역할과 기능, 저널리즘 차원에서의 가능성과 한계를 평가하고 진단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블로그 파워(2005년 11월): 현재 인터넷신문 아이뉴스24에서 대기자로 활동하고 있는 김익현 기자가 저널리즘 관점에서 블로그 현상의 밑바탕에 깔려있는 힘을 탐구한 책.  


블로그 마케팅(홍대리가 블로그를 만든 까닭은?)(2006년 4월): 블로깅 네트워킹 회사 b5media 대표이자, 세계적인 블로그 컨설턴트인 제레미 라이트 (Jeremy Wright)가 쓴 블로깅 마케팅 번역본. 미국사례를 중심으로 블로그의 역사, 블로그 마케팅 전략, 전술, 각종 원칙 및 사례가 이해하기 쉽게 정리되어 있다.


웹진화론(2006년 9월): 일본 IT 분야의 지적(知的) 리더이자 젊은이들 사이에서 인기 블로거로 통하는 우메다 모치오(梅田望夫)의 『웹 진화론』은 올해 2월에 일본에서 출간된 이후 6개월 만에 30만 부가 넘는 판매를 기록하며 장기 베스트셀러에 진입한 책이다. 일본내 인기 블로거인 저자는 지식 세계를 개편한 구글, 인터넷이 주목하는 롱테일 현상, 불특정 다수의 블로그와 오픈소스 등에 대해 거침없이 분석한다. 그리고 인터넷 미래에 대한 낙관주의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10년을 바꿀 '힘의 싹'으로 기술혁신을 제시하면서, 바로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사회를 근본적으로 바꿔나가므로 꼭 명심하라고 조언한다.

블로그 마케팅(2006년 10월): 블로그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해 전세계에 판매하는 전문기업인 식스 어파트(Six Apart)에서 닛산, 마츠시타전기산업 등 총 25개의 블로그 마케팅 사례를 분석한 책. 분석내용이 그리 깊지는 않으나, 홍보담당자 블로그, 독자 참가 블로그, 판촉 블로그 등 총 7개 분야의 블로그 사례를 이해하기 쉽게 정리하고 있다.


웹 2.0 경제학(2006년 10월): IT칼럼니스트이자, 한국마이크로소프트에서 근무하고 있는 김국현 부장이 쓴 책. 웹2.0과 블로그를 비롯한 뉴미디어 환경에 익숙하지 않은 초보 블로거들이 쉽게 웹 2.0을 접근할 수 있도록 경제학적으로 풀어내고 있다.

웹 2.0 비즈니스 전략(2006년 10월): IT 컨설턴트인 이준기 교수와 임일 경영학 교수가 쓴 웹 2.0 전략서. 이 책은 웹 2.0의 개념을 설명하고 웹 2.0에 대한 이해를 돕고, 또한 왜 웹 2.0이라는 새로운 현상이 나타나는지를 학문적인 입장에서 설명하였다. 또한 웹의 새로운 변화의 흐름 속에서 기업들은 어떤 영향을 받을지, 웹 2.0에서의 성공적인 비즈니스 전략은 무엇인지에 대한 답을 제시하고 있다.  


정유진의 웹 2.0 기획론 (2006년 12월): 웹 기획 및 컬럼니스트로 활동하고 있는 정유진씨가 쓴 책. 실제로 실리콘밸리에서 성공한 웹 2.0 서비스를 분석해 웹 2.0을 어떻게 비즈니스에 활용할 수 있는지 알려준다. 성공사례를 통해 저자는 지금까지 웹이 어떤 새로운 금맥을 개척해 왔으며, 거기서 찾아낸 원석을 어떻게 가공하여 사람들을 열광시키는 빛나는 보석으로 탈바꿈 시켰는지 짚어 내면서, 강력한 웹 2.0 서비스를 만드는 13개의 키워드를 제시한다. 상기 다른책들보다 기술적인 내용에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제일 먼저 도전하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마케팅 사관학교의 You! UCC(2007년 1월): 2006년 연말부터 국내외 모든 언론매체들은 2006년의 빅뉴스로 너도나도 UCC를 꼽고 있고, UCC 열풍은 2007년에도 계속 이어지고 있다. 또한,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은 UCC 사용자들을 상징하는 ‘You’를 2006년 ‘올해의 인물’로 선정하면서 UCC에 대한 관심을 더욱 고조시키고 있다. 과연 UCC는 무엇이며, You는 왜 조명받는 것일까? 이러한 물음에 답할 수 있도록, 마케팅 전문가 김영한씨가 이끄는 마케팅사관학교 7기 학생들은 2006년 여름부터 수차례의 프레젠테이션과 스터디를 통해 UCC 성공 기업들의 전략을 분석했고, 그 결과물을 세상에 내놓게 되었다. 이 책은 두 가지 점에서 의미가 있다. 즉 세계 최초의 UCC 관련 책이며, 사용자(독자)가 직접 쓴 UCC북이라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다나카 아유미의 웹2.0 마케팅 북(2007년 1월): 2001년 닷컴 거품이 붕괴 된 이후 침체되어 있던 웹 시장에서 웹 2.0은 새로운 이슈이자 위기(危機)로 다가왔다. 최근 1, 2년 전부터 웹(Web)에 웹 2.0이라는 허리케인이 불고 있고, 국내 e-마케터들은 웹 2.0이라는 시대적 흐름을 어떻게 활용할지 고민에 빠져있다. 다양한 웹 서비스를 사용자가 취사선택하여 자기 입맛에 맞게 재구성할 수 있는 플랫폼이 웹 2.0이다. 웹 2.0은 AJAX, RSS처럼 아직은 개발자용 서비스로 인식되어 있지만, 소프트웨어가 아닌 데이터베이스를 손쉽게 재창조할 수 있는 길을 일반 사용자에게 열어 줌으로써 필수 플랫폼으로 인식되어야 살아남을 수 있는 것이 현실이다. 국내의 경우 네이버 블로그, 지식인, 싸이월드 등이 웹 2.0을 활용한 성공사례로 볼 수 있다. 이처럼 웹 2.0은 e-마케터에게 위기(危機)로, 준비하지 않은 자에게는 위험(危險)일지 모르지만, 이 책을 펼친 당신에게는 분명 기회(機會)가 될 것이다.



정리해놓고 보니, PR 관점에서 정리된 블로그 관련 책이 국내에서 아직 나오질 않았네요. 참고로, 제가 근무하고 있는 에델만 본사에서 블로그백서 라는 리포트를 4개 발간하여 국문버전을 공유하고 있습니다.참고로, 4번째 블로그백서 국문판은 오는 3월 중순에 공유될 계획입니다. 하단 링크를 클릭하시면 관련 자료를 접하실 수 있습니다.
에델만에서는 블로그 백서(Blog White Paper)를 발간하고 있습니다 

아무쪼록 관심있으신 분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하며, 좋은 책이 있다면 추천 또한 부탁 드립니다.
@JUNYCAP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오늘은 에델만 코리아의 소셜 네트워크 미디어(Social Network Media) 활용 사례를 간단히 공유할까 합니다.

먼저, 리스테린 제품에 대한 설명을 드리자면, 리스테린은 미국 치과의사협회(ADA)로부터 구취와 플라그를 유발하는 세균을 살균하고 치은염 등 잇몸질환 예방 및 감소효능에 대해 인증받은 유일한 구강청결제로서, 한국존슨앤존슨이 올해 3월에 국내에 처음 런칭하는 제품입니다.


2007년 3월 7일 오늘 국내 런칭을 알리는 보도자료가 배포되었는데, 에델만 코리아 내 리스테린팀은 공식적인 언론홍보에 앞서 싸이월드의 타운 서비스를 통해 소비자들에게 직접 알리는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구축하였습니다.

리스테린팀은 전혀 관련 제품이 국내 소비자에게 전혀 인지도가 없는 브랜드이기 때문에, 인지도 확보를 위해 싸이월드의 타운 서비스를 선택했습니다. 지난 2월 21일 공식 미니홈피 런칭 이후 약 2주 동안 6,500여명이 방문을 했고, 920여명의 싸이월드 이용자와 일촌관계를 맺게 되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리스테린 미니 홈페이지, http://town.cyworld.com/listerine]


방명록이나 게시물 댓글 등을 통해 방문자들의 댓글을 살펴보면, "사용해 보겠다. 이런 효과가 있구나"라는 긍정적인 코멘트들도 많이 얻어내었고, 지난 주말부터 싸이월드 타운 메인의 이벤트로 노출되었다고 하더군요.

리스테린 UCC의 경우 드라마타이즈 + 클립무비 형식으로 제작 진행되며 일주일에 1편씩 업로드되고 있습니다. 현재는 싸이 타운에 업데이트되고 있으나, 이후에 다음 아고라, 네이버 붐업, 판도라 TV등에도 계속 업로드 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리스테린팀이 진행하는 온라인/오프라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제품의 핵심 메시지는 하단의 키워드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 입 속 유해균 99.9%를 30초 내 살균
  • 미국 치과의사협회 (ADA)로부터 플라그와 치은염 예방 및 감소 효능을 인증받은 유일한 구강청결제
  • 구취의 원인균을 최대 3시간 동안 억제

리스테린팀은 타운서비스를 통해 상기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사회적 키워드가 되고 있는 사진, 만화, 동영상 등UCC(User Created Contents)를 활용하고 있는데, 보도자료와 같이 딱딱한 메시지 전달 보다는 보다 친근하게 관련 소식들을 알리고 접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현재에는 리스테린팀이 자체제작한 작품들이 많지만, 향후 일반 네티즌들의 참여를 활발히 유도할 계획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

또한, 도토리를 얻고자 하는 단순 방문자들의 제품에 대한 참여도 및 로열티를 강화하고자
온라인 이벤트를 오프라인으로 연동하는 프로그램을 진행 중에 있습니다. <리스테린과 함께 하는  ‘세상에서 가장 건강한 키스’이벤트>라는 이벤트를 진행하는데, 관심있는 분들의 활발한 참여 부탁 드리고요.

more..

리스테린의 국내 런칭소식도 알리고, 싸이월드라는 Social Network Media 활용사례도 공유할꼄 간단히 정리해보았습니다. 리스테린의 성공적인 제품 런칭과 함께 사랑 받는 브랜드로서 거듭나길 기대해봅니다. @JUNYCAP

상기 포스트 유용하셨다면 쥬니캡 블로그를 구독하세요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Elinor Mills 라는 Staff Writer가 미국 광고주 협회(American Association of Advertisers) 연례 미디어 컨퍼런스 및 트레이드 쇼에서 발표된 사례들을 정리한 CNET News.com 기사입니다. P&G와 Microsoft 관련 사례를 발췌합니다.

프록터 앤드 갬블(Procter & Gamble): 질레트(Gillette)와 크레스트(Crest)에서부터 다우니(Downy)와 커버걸(CoverGirl)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브랜드를 소유하고 있는 이 회사는 브랜드 충성도를 높이고 신규 고객을 끌어들이는 방법으로 고객을 위한 웹 사이트들을 후원. 예를 들어, P&G는 야후와 협력하여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카페사」(Capessa) 온라인 커뮤니티 사이트를 만들었고, 야후 또한, GM(General Motors) 브랜드를 좋아하는 사람들을 위하여 「폰티악 언더그라운드」(Pontiac Underground) 사이트를 만듦.

MS는 인터넷을 사용하는 고객들을 참여시키는 방법을 모색. MS의 X박스용으로 만들어진 게임인 「기어즈 오브 워」(Gears of War)의 광고 중에서 누군가가 편집을 하여 비지스(Bee Gees)의 「스테잉 얼라이브」(Stayin' Alive)에 맞추어 놓은 광고 사례. 새로운 「짜집기」 광고를 유튜브에 게시되었는데, 엄청난 인기를 끌어, 관련 게임이 연말연시 시즌에 가장 잘 팔리는 비디오 게임이 됨. MS는 미국의 위성 라디오와 RSS, 그리고 유럽의 모바일 TV와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전 등과 같이 새로 나타나고 있는 미디어를 세계의 여러 지역에서 시험해 보는데 총 광고 예산의 3 퍼센트를 할애하고 있고, 2010년까지 MS의 대부분의 광고는 온라인이 될 것.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모든 블로그 마케팅 캠페인을 전개할 때 유념해야 하는 세가지 중요한 요소들이 있습니다 :

사용자 삽입 이미지

콘텐츠(Contents), 빈번함(Frequency) 배포(Distribution)


콘텐츠(Contents): 블로그에 포스팅되는 내용은 흥미로워야 하며, 블로그 독자들에게 도움이 되어야 합니다. 자신만의 독특한 목소리를 개발하고, 다른 블로거들이 동의하지 않은 콘텐츠를 포스팅하는 것에 대해 두려워해서는 안됩니다.

빈번함(Frequency): 블로그 콘텐츠를 자주 포스팅하는 것은 블로그의 인기 및 업데이트 횟수에 있어 직접적인 관계가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합니다. 하루에 2개 내지 4개의 포스팅을 하게 되면, 블로그 검색엔진 최적화를 통해 트랙백이 약 50% 이상 증가될 수 있습니다.

배포(Distribution): 블로그와 RSS에 생소한 사람들로부터 듣게 된 공통된 이슈는 어떻게 블로그와 RSS를 찾을 수 있는가 입니다. 블로그 마케팅이 대단한 것은 블로거 스스로가 블로고스피에서 링크를 걸고, 디렉토리 및 블로그/피드 검색 엔진을 통해 자신의 블로그와 RSS/Atom 피드를 알릴 수 있다는 점 입니다. 또한, 블로거는 기존의 디렉토리, 써치엔진 및 웹사이트 링크를 통해 자신의 블로그를 알릴 수도 있습니다. 블로그 노출을 위한 기회는 기존 웹1.0 기반의 웹사이트를 알리는 것보다 더 많이 알려질 수 있습니다.

온라인 마케팅 블로거 Lee Odden의 Blog Marketing Tips에서 주요 부분만 발췌햇습니다. @JUNYCAP

상기 포스트 유용하셨다면 쥬니캡 블로그를 구독하세요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사용자 삽입 이미지
Naked Communications(한국 번역본 - 블로그 세상을 바꾸다)의 저자이자 미국 내 영향력 블로거 중 한명으로 꼽히는 Robert Scoble이 소셜 미디어의 개념을 지난 2007년 2월 16일 What is social media? 이라는 포스팅을 통해 아주 이해하기 쉽게 정리했습니다.


Scoble의 내용을 근간으로 소셜 미디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간략 번역해 봅니다. 주요 내용은 하단과 같습니다.

뉴 미디어를 이해하는 최고의 방법은 올드 미디어와 비교해 보는 것입니다. 주위를 함 둘러보시면 어떤 미디어들과 함께 생활을 하고 계십니까? 아마도 하단의 미디어들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신문(Newspapers)
  • 잡지(Magazines)
  • 텔레비전(Television)
  • 라디오(Radio)
  • 책(Books)
  • CDs.
  • DVDs.
  • 사진들(A box of photos)
  • 우편서신, 카탈로그(Physical, paper mail and catalogs)
  • 전화번호부(Yellow Pages)

그렇다면, 현재 읽고 계시는 바로 이 미디어(블로그)는 어떻습니까? 상기 언급한 올드 미디어와 차별화디는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을까요?

  1. 상기 언급한 올드 미디어는 변화되지 않습니다. 사회에서 어떠한 사항이 부정확하다고 결정하더라도, 신문은 기존에 커버한 자신의 스토리를 수정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블로그는 만약 포스팅한 주제가 틀렸다고 다른 블로거가 증명함과 거의 동시에 모든 독자들을 위해 관련 내용을 업데이트시킬 수가 있습니다.
  2. 블로그는 블로그 방문자와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습니다. 코멘트를 남길 수 있으며, 심지어 '멍청이'라고 부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올드 미디어와는 전혀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가 없습니다.
  3. 실시간으로 블로그 글에 대한 인기도를 감지할 수 있습니다. 각 포스트마다 얼마나 많은 코멘트를 얻었는지? 각 포스트마다 얼마나 많은 링크가 걸렸는지? 각 아이템별로 얼마나 많은 페이지뷰가 있는지 알수 있습니다(워드 프레스의 경우). Digg(뉴스공유사이트 - 한국의 뉴스2.0) 사이트에 방문하여 관련 포스트가 얼마나 많은 추천을 얻고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혹은 지난 수시간 동안 Techmeme(미국의 테크놀로지 뉴스 사이트)에서 어떠한 블로그 글이 가장 많은 링크를 얻고 있는지 알아낼 수 있습니다. 반면에 상기 언급한 어떠한 올드 미디어도 베스트 셀러 수준으로 알려지기 전까지는 관련 글의 인기도를 파악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4. 뉴 미디어인 블로그를 방문하면, archive를 통해 기존 모든 포스트들을 살펴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올드 미디어(미국 실리콘밸리 소재 San Jose Mercury의 경우)는 일정액의 구독료를 지불해야 관련 내용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접근한다 하더라도 블로그에서 지난 내용을 검색하는 것 만큼 쉽지는 않습니다.
  5. 블로그를 통해 다른 미디어를 믹스할 수 있습니다. 각 포스트는 문자, 음성, 영상 혹은 사진 이미지를 함께 포함시킬 수 있지만, 뉴스나 잡지에서는 가능하지 않습니다.
  6. 블로그에서는 매번 글들을 포스팅(발행)할때 마다 일정 위원회를 설득하고자 노력할 필요가 전혀 없습니다. 다른 미디어에서는 가능하지 않은 일이지요. CNN에 방문해서 "여보쇼, 내가 아주 쿨한 비디오 영상물이 있는데 이거 함 방영해 보시죠?"라고 이야기하면 그게 가능한지 생각해보세요.
  7. 뉴 미디어는 무한의 공간입니다. 상기 언급한 모든 올드 미디어들은 지면 및 방영시간이라는 제한요소가 있습니다(TV의 경우는 하루에 24시간 이내의 분량 — 반면에 유투브의 경우에는 하루 24시간 이상 분량의 영상물을 방영할 수 있습니다)
  8. 뉴 미디어는 링크가 가능하며 쉽게 재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신디케이드(연합하여 발행)가 가능합니다. 예를 들자면, 다른 블로그가 포스팅하자마자 수 초 이내에 나만의 블로그에 포스팅을 하면서 다른 블로그 내용을 링크할 수 있습니다. 올드미디어 중 어느 미디어도 가능하지 않은 특성입니다.  RSS 피드를 통해 알수 있는 나의 블로그 내용을 구글 리더기를 통해 재발행할 수도 있으며, 블로그 내용 중 일부를 발췌하여 자신의 블로그에 기입하면서, 관련 블로거가 무엇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지 포스팅할 수 있습니다.
  9. 뉴 미디어는 다른 서비스의 데이터와 함께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습니다. 블로그 오른쪽(Scoble의 블로그)에 위치한 아마존 광고를 함 체크해 보십시요. 관련 광고가 제 개인 혹은 워드프레스 닷컴 서비스 소유가 아니라는 것을 인식하셨나요? 관련 광고는 사실 내 스스로 조절할 수 없는 어떤 단체에서 제공되는 것입니다. 단지 아마존만이 다른 책들을 소개하는 이미지로 수정할 수 있는 것이지요. 많은 블로거들이 스스로 컨트롤 할 수 없는 단체에서 제공하는 물건들을 자신의 블로그에 보여주기 위해 widget을 설치합니다. 상기 언급한 올드미디어에서는 불가능한 일이지요.

"소셜 미디어" 혹은 '뉴 미디어"라고 언급하는 것은 어떤 일정 방식으로 상호간에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인터넷 미디어를 의미하는 것입니다. 다시 말하자면, 소셜 미디어는 PR Newswire를 통해 보도자료를 배포하는 것이 아니라, Channel 9(미국 MS의 개발자 블로그 커뮤니티)에 남긴 나의 비디오 포스팅 바로 밑에 "난 마이크로스프트 싫어(Microsoft sucks)"라고 남길 수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뉴 미디어를 어떤 단어로 부르든지 크게 상관할 바는 아니지만, 상기 언급한 올드 미디어와는 다른 어떤 특이한 일들이 발새하고 있다는 것을 수긍할 필요는 있다고 봅니다.

스코블이 상기 언급한 올드 미디어와 뉴 미디어의 차이점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또 다른 차이점은 없을까요? @JUNYCAP

상기 포스트 유용하셨다면 쥬니캡 블로그를 구독하세요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뉴스로 살펴본 삼성의 전략적인 PR 커뮤니케이션 노력

근래에 삼성의 전략적인 PR활동에 대한 기사를 다수 읽게 됨에 따라 이를 링크 걸어 봅니다.

삼성, 신입사원에 기자 대처 교육 네이버   미디어오늘 [사회]  2007.02.21 오전 11:45

삼성은 신입사원들에게 연수교육과정을 통해 언론관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있구요.

삼성전자, 임원용 홍보지침서 첫 발간 네이버   동아일보 [경제]  2007.03.02 오전 03:47

삼성은 사내 PR 지침서를 통해 사내 임직원들에게 전략적인 PR활동은 무엇인지 교육하고 있습니다.

삼성 노트북 배터리 폭발 논란 네이버   스포츠서울 [경제, IT/과학]  2007.02.28 오후 16:38

삼성은 자사 제품이 위기에 노출될시 뉴미디어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아는 듯 합니다.

삼성,社內전산망 ‘블로그’ 운영 네이버   파이낸셜뉴스 [경제]  2007.03.04 오후 16:30

삼성은 뉴미디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사내 직원들이 직접 이용하도록 권고하고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삼성그룹은 신입사원때부터 PR활동 중에서도 언론관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며, 임원들이 이슈관리에 있어 스마트하게 대처하도록 교육시키며, 유투브, 올블로그 등 뉴미디어의 변화와 영향력을 인식하고 있으며, 뉴미디어의 혜택을 직접 체험하고 얻고자 노력하는 기업입니다.

Public Relationsm이 비즈니스 목표에 맞게 시스템적으로 잘 운영되고 있다는 사례들이라 생각되어 짧게 정리합니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구글 알리미를 통해 루프트한자가 기업 블로그를 오픈했다는 소식을 접하고, 국내에서는 드문 비즈니스 블로그 오픈 사례인지라 추가 정보를 써치해보았습니다.

[TRAVEL NEWS24루프트한자, 다양한 정보 가득한 블로그 오픈 네이버 연합르페르 생활/문화 | 2007.02.27 (화) 오전 11:29
루프트한자, 포털사이트에 블로그 오픈 네이버 프라임경제 경제 | 2007.02.27 (화) 오후 7:38
루프트한자 독일항공, 여행 정보 제공 카페·블로그 개설 外 네이버 조선일보 생활/문화 | 2007.03.02 (금) 오후 3:00
[업계소식] 루프트한자, 주요 포털 사이트 블로그 오픈 네이버 매일경제 경제 | 2007.03.04 (일) 오후 2:23

상기 4개 기사를 살펴보니, 루프트한자가 인터넷 활용이 능한 국내 소비자들에게 더욱 가깝게 다가가기 위해 국내 대표적인 소셜 네트워킹 미디어 싸이트인 싸이월드에는 기업용 미니홈피인 타운을, 다수의 카페를 보유하고 있는 다음에는 카페를, 700만 블로그가 있다고 하는 네이버에는 블로그를 오픈했습니다.

루프트한자 국내 홈페이지를 들어가보니, 루프트한자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이라는 코너 이름으로 3개 사이트에 방문할 수 있도록 친절히 링크를 걸어놓으셨더군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래서 링크된 싸이트들을 하나하나 방문해 보았습니다.

싸이월드 - 루프트한자 미니 홈피(http://town.cyworld.com/lufthansa):
2007년 1월 22일 개설 이후, 2590명의 누적 방문자수가 있습니다. 3개 공간 중에서 가장 활발히 방문객들과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고 있는 편이이기는 하지만, 아마도 그것은 도토리의 힘이라 생각이 됩니다.

다음 - 루프트한자 공식 카페(http://cafe.daum.net/elufthansa):
2007년년 1월 22일 개설 이후, 32명의 회원가입이 있습니다. 루프트한자 이야기, 루프트한자 뉴스, 신나는 여행준비 & 팁, 재미있는 비행기 상식, 실속 있는 여행정보, 루프트한자 사진첩 등에는 루프트한자측의 몇가지 콘텐츠가 업로드되어 있고,  정회원 신청을 통해 회원들의 몇가지 글들이 올려져 있는 상황입니다.

네이버 - 루프트한자 공식 블로그(http://blog.naver.com/elufthansa):
2007년 1월 24일 개설 이후, 총 364명의 블로거 방문이 있으며, 총 11명의 블로거와 이웃이고, 5개의 콘텐츠 업로드가 있습니다. 다른 블로거들의 댓글은 전무하며, 3회의 포스트 스크랩이 있습니다.


주요 일간지에 보도까지 된지라, 잔뜩 기대하고 방문했는데, 다소 기대하는 바를 충족시켜주는 수준은 아닌듯 했습니다. 시간을 투자해서 살벼본지라 몇가지 개인적으로 느낀 바를 루프트한자측에 제안을 드린다면 하단과 같습니다.

1. 루프트한자 관련 conversation audit를 진행해야 합니다.
3개 공간을 통해 국내 소비자들과의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확대하는 것은 매우 긍정적으로 볼 수 있으나, 현재 운영되고 있는 상황을 보면, 네티즌들이 루프트한자에 대해 무엇을 궁금해하는지를 먼저 진단한 것이 아니라, 루프트한자가 전달하고 싶은 콘텐트를 정리하고 이를 일방향적으로 전달하는 모습이 역력합니다. 네티즌들이 궁금해하는 사항과, 염려하는 사항을 해결해준다는 목표가 있다면, 이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현재 사이버공간에서 루프트한자를 키워드로 이루어지고 있는 대화를 리뷰하고, 이를 분석하여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끄집어 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2. 싸이월드의 도토리를 뛰어 넘어, 방문자들과 실제적인 관계를 구축해야 합니다.
싸이월드의 타운 서비스는 일반 소비자들이 익숙하지 않은 제품이나 서비스를 런칭할때 인지도 확보에 있어 매우 효과가 높은 서비스입니다. 루프트한자 서비스를 알리는데 있어 나름대로 효과가 있을 수 있으나, 방문자들이 관심사항이 루프트한자의 상품 및 서비스 보다는 도토리에 포커스가 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사오니,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겠습니다.

3. 다음 카페를 인위적으로 만들기 보다는 기존의 항공 서비스 관련 커뮤니티를 지원해야 합니다.
보통 다음에서 파워 커뮤니티 사이트는 기업에서 운영하는 커뮤니티 보다는 특정 제품이나 서비스에 매니아적 성향을 보이는 네티즌들이 자체 개설하고, 이에 대한 관심이 많은 네티즌들이 추가로 가입한 후 그들간의 자료 공유 및 추가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통해 생성됩니다. 기존에 오프라인 베이스로 루프트한자에서 운영하던 고객 모임이 없다면, 현재 개설한 다음 카페의 추가 회원가입은 상당히 힘든 미션이기 때문에, 기존 다음에 개설된 커뮤니티 사이트를 분석하고, 만약 루프트한자에서 목표로 하는 사항과 관련이 있는 그룹이라면 그곳을 지원함과 동시에 루프트한자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기회를 도모하는 과정이 필요하겠습니다.

4. 네이버 블로그의 펌 커뮤니케이션을 극복해야 합니다.
블로그는 1인 미디어로서 자신의 의견, 생각 및 주장의 글을 올려야 합니다. 네이버 블로그는 700만의 사용자 규모를 자랑하지만, 블로깅의 핵심인 블로거간의 대화는 그리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공간은 아닙니다. 현재 루프트한자 블로그에도 3회의 자료 스크랩은 있지만, 다른 블로거의 댓글이 없다는 것은 지난 1달간 블로그 운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네이버 블로그 보다는 루프트한자 한국 홈페이지에 CEO 혹은 임원의 블로그를 오픈하고, 관련 블로그에 회사의 목소리가 아닌 회사에 속한 임직원의 글을 포스팅하고, 이를 기반으로 블로깅에 익숙한 네티즌들과 활발한 대화에 참여하는 것이 블로그의 실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5. 블로거의 관심에 맞는 키워드를 기반으로 콘텐츠를 개발해야 합니다.
현재 3개 사이트에 올려져 있는 콘텐츠는 기존 루프트한자 홈페이지에 올려져 있는 정보 혹은 새로운 서비스에 대한 보도자료를 기반으로 한 콘텐츠입니다. 블로깅에 익숙한 블로거들은 회사 홈페이지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정보를 굳이 블로그를 통해 중복해서 얻고 싶어하지 않습니다. 블로거들이 관심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이를 기반으로 콘텐츠를 개발하고, 내부 임직원이 자신의 신분을 밝히고, 콘텐츠를 개발하여 대화체로 업로드 함이 좋습니다.

6. 블로거들과 대화를 시작해야 합니다.
현재 개발된 사이트들은 블로거들을 찾아가는 서비스가 아니라, 키워드 검색을 통해 찾아오게 하는 서비스입니다. 네이버에 루프트한자를 키워드로 검색을 하면, 다수의 블로거들이 루프트한자 기사를 포스팅한 것들을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관련 블로거들은 루프트한자의 서비스 및 상품에 관심이 많은 블로거들이기 때문에 네이버 블로그를 활발히 운영하고 싶다면, 네이버 루프트한자 블로그의 이름으로 그들의 글에 댓글을 달아야 하며, 그들의 궁금한 사항에 관련된 글을 트랙백을 걸어야 합니다. 관련 과정을 거듭할 수록 블로거들과의 대화가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며, 일정기간이후 블로그 개설에 따른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7. 루프트한자 내부 임직원들의 관심이 필요합니다.
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내부 블로그이든 고객들을 대상으로 한 외부 블로그이든 관련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성공이라는 방향으로 가기 위해서는 기업 임직원들의 관심과 열정이 필요합니다. 기업 내부 구성원들이 블로고스피어를 제대로 경험하지 않은 상황이라면 블로그 개설로 인한 혜택을 얻을 수 없기 때문에, 하루라도 빨리 블로그를 개설하고, 다른 블로거들과의 대화하는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접해야만 어떤 개선사항이 필요한지 발견할 수 있을 것입니다. 블로그는 특히나 내부 임직원들의 관심이 필요한 미디어입니다. 보잉의 마케팅 수석 부사장인 Radny Baseler가 운영하는 Randy's Journal이 참고할만한 사례가 될 듯 합니다.

8. 성공적인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진행을 위해 현재 조직의 목표와 역량을 진단해야 합니다.
루프트한자측에서 3개 사이트를 개설하면서, 계속적인 고민과정을 거쳤고, 계속 업그레이드 하는 과정이라 여겨지지만, 앞으로 보다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루프트한자와 소속 커뮤니케이션 전문가들이 현재 상황과 앞으로 나아가야 할바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핵심 질문을 근간으로 한 진단 프로그램을 진행해야 합니다. 3월 3일 업로드한 블로그 운영을 위한 자기진단 포스팅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

9. 위기상황시 운영 방안 및 가이드라인까지 고민해야 합니다.
루프트한자측이 3개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오픈하는데 있어 우선순위 중 하나는 Promotion PR 차원에서 자사의 서비스 및 상품을 네티즌들에게 효과적으로 알리는 것으로 잡혀져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만약 악천후로 인해 자사의 서비스에 대한 고객들의 불만이 증폭되게 되면, 관련 사이트는 고객들의 불만으로 가득찬 공간이 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관련 위기가 발생할시 어떻게 운영할지에 대한 내부 고민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사전에 만들어놓아야 할 것입니다. 제트블루 케이스 분석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

10. 일단 대화를 시작했다면, 지속적으로 커뮤니케이션 해야 합니다.
국내에서는 포탈사이트들의 블로그, IT벤처기업들의 블로그 몇 개 사이트를 제외하면, 비즈니스 블로그 운영이 그리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상황입니다. 루프트한자에서 공격적으로 3개 사이트에 네티즌들과의 대화창구를 마련했다는 점은 너무나 반가운 뉴스이며, 앞으로 훌륭한 운영을 통해 대표적인 성공사례로 뽑히게 되길 희망합니다. 앞으로 활발하고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보고 싶네요.
@JUNYCAP

상기 포스트 유용하셨다면 쥬니캡 블로그를 구독하세요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쥬니캡의 Tag 모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지난 5주간 60개의 글을 포스팅하면서, 기록한 주요 Tag들입니다. 올해 연말에는 얼마나 많은 포스팅을 통해 새로운 Tag들이 쌓여갈지 기대됩니다. 재미있는 것은요. 여럿 포스팅을 통해 블로그와 PR이라는 키워드를 계속 올렸는데, 지난주에는 이효리 라는 검색어가 가장 인기가 많더군요. 한번 포스팅했는데. 참 대단합니다. 역시 검색이 많이 되기 위해서는 일반 네티즌들이 관심이 많은 주제로 포스팅하는 것이 짱인 듯 하네요.

Tag
2014년 동계올림픽 Celebrity PR CEO블로그 CSR Communications Fire your pr firm IBM Marketing podcast PR PR 블로거 PR2.0 Press Conference PR생활백서 PR전문가 PR회사 PR회사 진출 RSS SERI Social Media video blogger Web2.0 X박스 360 Year-End Party 가상의 구인공고 검색엔진 최적화 기업 블로그 기업블로깅 기자 블로거 기자회견 김기자 꼬날 뉴 미디어 뉴스게이터 뉴욕타임즈 도모커뮤니케이션 컨설팅 떡이떡이 리더 스피치 리더십 메시지 리더십 커뮤니케이션 마가렛 키 마이 드림 마케팅 마케팅PR 메타사이트 미디어 미디어 인터뷰 미디어 트레이닝 방송국PD 보도자료 최적화 불량만두 브러더 월드 코리아 블로거 지침사항 블로거관계 블로고스피어 블로그 블로그 관계 블로그 글쓰기 블로그 마케팅 블로그 백서 블로그 시장 규모 블로그 운영 블로그 이유 블로그 정책 블로그 추천도서 블로그가이드라인 블로그가치 블로그관계 블로그백서 블로그용어 블로그지침사례 블로그특성 블로깅 블로깅 팁 블로터닷넷 비디오 블로그 비바 피나타 비스타 비즈니스 블로그 비즈니스 블로깅 비즈니스 비디오캐스팅 비즈니스 파드캐스팅 빌 게이츠 사과문 삼성경제연구소 서기자 소통 손용석 송년파티 쇼셜 미디어 쇼셜 미디어 마케팅 쉬프트커뮤니케이션즈 스티브 루벨 신문기자 썬마이크로시스템즈 아서 페이지 아이비 리 아카데미상 앨 고어 야후 어드바이스 10개 언론 인터뷰 에델만 에델만블로거 에드워드 버네이즈 엑스박스 360 연설문 영화감독 오길비 온라인 마케팅 온라인 쇼셜 미디어 온라인 위기관리 올드 미디어 웹2.0 위기관리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 위키피디아 유투브 이효리 이효리베드신 인사이드PR 인컴브로더 자기진단 잭윌치 제트블루 쥬니캡 직원블로거 초보블로그 최진순 기자 추천 블로그 릴레이 추천 파드캐스트 칫솔 카테고리 변경 캐나다 PR실무자 캐리어블로그 커뮤니케이션 제안 커뮤니케이션 코리아 컨텐츠 배포 네트워크 키워드 테크노라티 파드캐스트 파드캐스팅 파워블로거 펀경영 푸틴 대통령 플래시먼 힐러드 하버드법률대학원 한국PR기업협회 해고된 블로거 핵심 메시지 환경문제 힐앤놀튼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공유, 개방, 참여라는 세가지 키워드를 중심으로 한 웹2.0 커뮤니케이션 환경이 비즈니스에 영향을 끼침에 따라 여러 기업들은 단순한 의문을 가지게 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과연 우리 기업은 블로그를 개설해야 하는가?
개설한다면 어떤 블로그를 개설해야 하는가?
누가 관리할 것인가?
무엇을 목적으로 해야 하는가?
어떤 용도로 쓸 것인가?



사실 이러한 질문은 의외로 훨씬 깊은 고민을 통해 해답을 찾을 수 있는 질문들입니다. 에델만은 기업과 커뮤니케이션 전문가들이 블로그와 블로그를 활용한 전략에 대해 현명한 판단을 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질문 리스트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1. 귀사는 관련 공중(타겟 소비자)과의 대화에 참여할 의지가 있는가?

2. 고객을 지원하기 위한 귀사의 전략은 무엇인가?

3. 귀사는 블로그 정책을 보유하고 있는가? 있다면, 직원들이 알고 있는가?

4. 귀사의 직원들은 회사 웹사이트의 블로그에 글을 올리는가? 직원 개인 웹사이트에 글을 올리는가? 직원이 스스로 운영하는 개인 블로그에 대한 회사의 정책이 있는가? 있다면, 직원들이 알고 있는가?

5. 귀사의 PR 회사는 블로그 전략을 가지고 있는가? 관련 PR회사는 블로그를 중요하게 생각하는가? PR 회사 블로그 전략을 가지고 있다면 그 내용은 무엇인가? 관련 PR회사는 귀사를 위해 블로그 전략을 작성 및 제시한 적이 있는가?

6. 귀사가 블로그를 가지고 있다면 히트 수가 얼마인지, 누가 링크하는지, 어떤 코멘트가 있는지 관심을 가지는 사람이 있는가?

7. 지난해, 지난 분기, 또는 지난달에 귀사나 귀사의 브랜드가 블로그와 커뮤니케이션 포럼에서 몇 번이나 언급되었는지 알고 있는가?

8. 어떤 것이 이슈로 떠오르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귀사는 블로그와 온라인 대화를 모니터링하는가? 이 업무를 누가, 얼마나 자주 수행하는가? 어떤 데이터를 수집하며, 누구에게 이 데이터가 전달되는가?

9. 블로그와 온라인 대화를 모니터링하고 있다면, 부정적인 정보 발견에 대한 대응절차도 보유하고 있는가? 누가 대응하는가? 어떤 경우에 대응이 이뤄지는가?

10. 귀사는 기존 소비자나 비판자(고객 데이터베이스 포함)가 얼마나 활발한 활동을 펼치는지, 얼마나 영향력이 큰 블로거인지 알고 있는가? (예: 이들과 대화할 때 블로그 활동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블로깅에 대한 질문을 하는가?)

11. 명망 높은 미디어 블로거와 소비자 블로거 등 블로거 유형 간의 차이를 이해하고 있는가?

12. 재무 애널리스트, 미디어 대표자, 여타 외부 이해관계자들이 귀사를 분석하고 있다면, 이들이 어떤 블로그를 참고하는지 알고 있는가?

13. 신제품, 이벤트, 또는 캠페인을 런칭할 때, 귀사는 해당 정보를 블로거에게 전달하는 전략을 보유하고 있는가?

14. 블로그 만들기가 쉽다는 점을 감안하여 블로그 포맷의 일부 요소를 귀사의 웹 사이트에 적용한다거나, 이를 쉽게 적용할 수 있다는 결정을 내린 적이 있는가?

15. 귀사는 정직성, 진실함, 유머감각을 가지고 블로깅의 세계에 들어갈 의지가 있는가?

상기 15가지 질문에 대한 해답을 달면서, 우리 기업 혹은 조직이 얼마나 비즈니스 블로그를 통해 블로거들과 준비가 되어 있는지 혹은 활발히 운영하고 있는지 자체진단할 수 있을 것입니다.

만약 자기진단을 통해 귀사가 ‘일방향적인 마케팅 화법’과 회사를 무조건 옹호하려는 커뮤니케이션 태도를 극복할 수 없다면, 아마도 블로깅을 시작하는 것을 고려하지 않은 것이 좋을 것입니단. 블로그는 양날의 칼과 같아서 잘 운영하면 매우 득이 되겠지만, 잘못 운영하면 독이 되기 때문입니다. @JUNYCAP

상기 포스트 유용하셨다면 쥬니캡 블로그를 구독하세요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사용자 삽입 이미지

비즈니스 관점에서 봤을 때, 직원 블로그, CEO 블로그, 브랜드 블로그 등 비즈니스 블로그를 운영해야 하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겠습니다. 그러나, 블로그 운영 방식 및 이유는 블로그 운영을 통해 무엇을 얻고 싶은지에 따라 달라지게 될 것입니다.


블로그는 무엇인가 보여준다는 점에서는 비디오, 프린트, 오디오 등의 커뮤니케이션 채널과 유사하지만, 다른 블로거들과의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속에서 계속적인 대화가 이루어진다는 점이 바로 블로그 운영의 묘미를 느끼게 하는 특성이라 생각됩니다.

자, 그럼 비즈니스 블로그를 운영해야 하는 이유를 크게 9가지로 정리해보겠습니다.

1. 전문가가 된다
자신과 회사를 업계 내에서 아이디어 리더로 포지셔닝 한다. 썬 마이크로시스템즈의 CEO 조너던 슈워츠는 대표적인 CEO 블로거이다. 슈워츠는
Jonathan's Blog 운영을 통해 회사가 속한 업계와 회사 전체가 직면하고 있는 다양한 주제에 대해 주 단위로 포스팅을 하면서, 업계에서 실추된 회사의 브랜드를 강화하고, 자신을 스스로 업계의 전문가로 포지셔닝 해오고 있다. 미국의 대표적인 파워 블로거인 Steve Rubel은 활발한 블로깅을 통해 자신을 업계의 전문가로 포지셔닝하였고, 그런 노력을 통해 중소기업 규모의 PR회사에서 글로벌 PR회사인 에델만의 수석 부사장으로 스카웃트 되기도 하였다. 북미 및 유럽의 많은 마케팅 및 PR 관련 블로거들은 활발한 블로그 운영을 통해 자신을 업계의 전문가로 포지셔닝하기 위해 부단히도 노력하는 모습을 많이 볼 수 있다.

2. 고객관계를 개인화한다
판매가 주요 목적이 아닌 포럼에서는 고객과 보다 개인적인 관계를 맺게 된다. 블로그는 고객의 논의에 참여하고 조언과 정보를 제공하거나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빠른 수단이다. 블로그를 활발히 운영하게 되면, 업계의 주요 키워드에 대한 포스팅의 숫자가 많아지게 되고, 관련 키워드 검색을 통해 잠재 고객과의 접근 가능성 또한 높아지게 된다. 블로그를 통해 관련 전문가가 자신의 노하우를 많이 공유하게 되면, 관련 전문가에 대한 고객들의 신뢰도는 높아지게 되고, 관련 검증과정을 통해 비즈니스 성사 가능성은 높아지게 될 것이다.

3. 좋은 뉴스가 있을 때나 나쁜 뉴스가 있을 때 신뢰의 환경을 제공한다
공중과 만나는 블로그를 개설하고 운영함으로써 기업은 고객과 신뢰 관계를 구축할 수 있다. 회사에 좋은 뉴스가 있을 때, 고객들은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에 대해 이미 신뢰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블로거에게 물을 것이다. 그리고 나쁜 뉴스가 있을 경우, 고객과 이미 구축된 신뢰가 그 무엇보다도 좋은 위기관리 수단으로 작용한다. 지난 2월 23일에 포스팅한
소셜미디어(CEO 블로그 & 유투브)를 활용한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 사례 - 제트블루(JetBlue) 케이스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이제 기업들은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 상황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뉴미디어를 활용해야 한다.

4. 미디미디어 관계를 개선한다
미디어가 수동적으로, 때로는 무관심하게 보도자료를 받는 것이 아니라 미디어가 정기적으로 기업이 어떤 뉴스를 가지고 있는지를 체크하는 채널을 만드는 것이 모든 PR 컨설턴트의 꿈이다. 클라이언트의 보도자료를 1회성으로 끝내지 않고, 클라이언트 홈페이지의 보도자료 RSS를 기자들이 구독하게 되면, push 성격의 활동이 아닌 pull 성격의 활동으로 업무가 개선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블로그를 활발히 운영하게 되면, 기자 대 PR실무자의 관계에서 블로거 대 블로거로서 업계 이슈에 대해 보다 평등한 입장에서 활발한 토론 및 의견을 나눌 수 있는 관계로 개선될 수 있다.

5. 내부 공동작업을 촉진한다
블로그를 작업공간으로 활용하여 프로젝트 멤버들이 보고서를 쓰거나 이메일을 검색하지 않고도 서로의 진행 상황 등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구글은 회사 자체의 블로깅 제품인 blogger.com을 사용하여 수백 개에 달하는 내부 블로그를 개설, 관리하고 있다. 이러한 내부 블로그 중에는 프로젝트 공동작업을 위해 사용되는 것도 많지만, 남은 콘서트 티겟을 팔거나 퇴근 후 스포츠 활동 파트너를 찾는 등의 직장 내 사회활동에 사용되는 것도 있으며, 일부는 PR, 품질관리, 광고부서 등을 위한 블로그와 같이 대중의 영역까지 확대되고 있다.

6. 지식관리를 강화한다
블로그를 사용함으로써 2가지 이익을 얻을 수 있다. 먼저, 블로그는 독자들이 원하거나 필요로 하는 정보와 자료를 쉽게 찾을 수 있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분명한 이익 때문에 여러 조직에서 블로그를 내부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다른 이점은 블로그가 블로거에게 일종의 ‘작은 대학’과 같은 기능을 하는 것이다. 블로그
게시글이 지식을 개발하고 공유하는 대화를 창출하기 때문이다. 블로깅은 커뮤니티 실무교육과도 같다. 썬마이크로시스템즈는 직원들의 생각을 담은 마스터 블로그를 개설했는데, 이 블로그는 회사 내부적으로 지식관리 도구로서 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7. 인재 채용을 개선한다
블로그를 통해 회사가 아이디어 리더로서의 평판을 구축하게 되면 업계의 주목을 받게 된다. 업계 사람들은 귀사가 올리는 글을 읽고 토론하게 될 것이다. 그렇게 되면 회사를 매력적인 일터로 보게 될 가능성이 높다. 지난 2007년 2월 중순 엔씨소프트 오픈마루스튜디오는
자체 기업 블로그를 통해 회사의 비전과 인재상을 구글과 애플, 그리고 만화 슬램덩크를 통해 친근하고 쉽게 소개하여 자사의 인턴을 채용하는 과정을 모두 공개하여 국내 게임업계에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8. 아이디어나 제품을 테스트한다
블로그는 비공식적이다. 블로그는 사람들이 자주 코멘트를 할 수 있는 대화의 일부이며, 블로그는 가치 평가를 제공할 수 있다. 아이디어를 게시하고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는지 살펴보라. 사람들이 그 게시글에 링크를 거는가? 그들의 의견은 어떠한가? 보다 적극적인 방식으로 기업들은 영향력이 있는 블로거들을 초대하여 그들에게 제품을 테스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도 하며, 국내 다수 기업들 또한 관련 활동들을 활발히 진행하기 시작했다.

9. 검색엔진의 검색 순위를 높인다
구글 등의 검색엔진은 자주 업데이트를 하고 다른 사이트에 링크를 걸며, 무엇보다 다른 사이트들이 링크를 많이 걸어놓은 사이트에 높은 점수를 부여한다. 일반 기업 홈페이지에 블로그를 개설한 후 다양한 키워드에 대한 꾸준한 포스팅이 이루어진다면, 관련 홈페이지의 검색 순위는 하루가 다르게 올라가게 되며, 관련 과정을 통해 자사의 제품 및 서비스가 타겟 고객에게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 질 것이다.
@JUNYCAP

상기 포스트 유용하셨다면 쥬니캡 블로그를 구독하세요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사용자 삽입 이미지
RSS 무엇인가?

RSS(Really Simple Syndication) 사이트 블로그 간의 자료 교환 배급을 위한 확장성 생성 언어(XML) 기반의 일종의 규격을 의미합니다.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매우 간단한 배급(RSS) 주소를 RSS 리더에 등록만 두면 직접 방문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자료가 교환되어 편지함의 이메일을 열어 보듯 쉽게 변경된 내용을 읽을 있어 뉴스·날씨·쇼핑 서비스나 블로그 자주 업데이트되는 사이트들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개인의 기록과 일상 관심사를 표현하는 블로그는 대부분 RSS 필수 사항으로 블로그의 변경 내용이나 타인의 불로그의 변경 내용이 즉시로 나타나게 되어 있습니다. 용도가 다양하기 때문에 'RDF Site Summary', 'Rich Site Summary' 등으로도 부르며, 업계 표준을 둘러싸고 공개 프로젝트인 아톰 프로젝트와 경쟁 관계에 있습니다.

 

RSS 정보의 과부화 현상을 관리하는데 어떻게 도움을 있는가?

RSS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뉴스 소스를 자신의 니즈에 맞게 관리해주는데 도움을 줍니다. RSS 리더 혹은 애그리게이터(aggregator) 통해 자신이 구독하고자 희망하는 뉴스와 블로그의 콘텐츠를 등록하면, 관련 콘텐츠가 포스팅될 마다 자동적으로 관련 최신 뉴스를 접할 있습니다. 관련 과정을 통해 RSS 계속 업데이트되는 콘텐츠를 모니터링하는 과정을 매우 효율적으로 진행할 있도록 도와줍니다. 그러나, 만약 너무 많은 블로그 포스트와 뉴스 사이트를 구독하게 되면, 사용자의 피드백을 체크하는 것이 너무 시간 소비적일 있기 때문에, 일정 주기가 지나면, RSS feed 업데이트 필요가 있습니다.

 

RSS 나의 클라이언트에 중요한 것인가?

RSS 통해 PR 및 마케팅 실무자들은 대내외 고객들의 관심을 반영된 토픽을 제공하는 뉴스 피드를 구독할 있으며, 이를 통해 게임의 룰에서 보다 유리한 위치를 가질 있습니다. RSS 통해 PR 및 마케팅 실무자들은 주요 일간지와 월간지의 온라인 뉴스에서부터 클라이언트의 제품 서비스에 영향력을 행사할 있는 다수의 블로그의 콘텐츠까지 다양한 온라인 소스를 거의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있으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클라이언트 관련 마켓에서 사용자들이 어떠한 염려사항을 갖고 있고, 무엇에 대해 가장 대화를 나누는지 파악할 있습니다.

 

RSS 리소스 리스트(리더, 피드, )

 

포털

·         [네이버뉴스 - 가장 많이 뉴스]

·        [네이버뉴스 - 만평]

·         [다음미디어 - 가장 많이 기사]

·         [다음미디어 - 깜짝뉴스]

RSS 페이지

·         [조선일보 RSS 페이지]

·         [오마이뉴스 RSS 페이지]

·         [야후 뉴스 RSS 페이지]

·         [naver2rss] - 네이버 뉴스 섹션별 RSS 제공

RSS Tools

·         [Naver News to RSS Feed] : 네이버 뉴스 검색 결과를 RSS

·        [Google News to RSS Feed] : 구글뉴스의 검색결과를 RSS

·        [ZDNet Korea News to RSS Feed] : ZDNet 한국의 뉴스를 RSS

RSS Reader

·         RSS리더 연모 - 한글 블로그 사용자 RSS리더, 연모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제공

·         RSS리더 Fish - 온네트 제작 RSS Reader 피시, 다운로드 안내

·         한RSS - 웹기반 RSS리더, RSS 디렉토리 검색 제공.

 

PR 실무자 및 마케터들은 Contents aggregation & contents remix 주목해야 합니다.

PR 및 마케팅 업계 실무자들을 포함하여 콘텐츠 생산자 배포자들은 점점 더욱 content aggregator 되어 것입니다. PR 전문가들은 자신의 클라이언트의 세부적인 정보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관련 콘텐츠를 찾고, 편집하고, 다시 재작성해야 필요가 있습니다.

 

만약에 클라이언트가 새로운 제품 혹은 서비스를 런칭한다고 생각해보십시요. 그렇다면, 시장에서 경쟁제품들에 대한 모든 적절한 정보들과 더불어 사용자 포럼 기타 CGM(Consumer Generated Media, 사용자 생산 미디어) 사이트에서 고객들이 이야기하는 바를 정리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해야 필요가 있습니다.

 

기존에 PR실무자들은 포털 사이트의 뉴스 검색을 통해 메인스트림 미디어의 지면분석을 통해 언론매체의 주요 관심사항, 기사 & 매너 등을 파악했다면, 앞으로 PR 및 마케팅 실무자들은 기존의 방식과 더불어 클라이언트 제품 서비스 관련 주요 키워드를 설정하고, 블로고스피어에서 관련 키워드를 활발히 올리며, 다른 블로거들에게도 영향을 미치는 파워블로거를 파악하고, 그들의 RSS 등록하여, 그들이 염려하는 사항과 대화의 주제를 파악해야 필요가 있습니다. 블로거들과 대화를 시작하기 전에 관련 과정을 통해 해당 블로거들의 생각하는 바를 이해해야 하며, RSS 기술은 작업에 도움을 것입니다.

상기 포스트 유용하셨다면 쥬니캡 블로그를 구독하세요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사용자 삽입 이미지
블로그 콘텐츠 배포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5가지 팁(5 Tips for Content Distribution Networks)를 통해 미국 온라인 마케팅 블로거인 Lee Odden을 짧게 소개한 바 있습니다. 그는 미국 TopRank Online Marketing의 CEO이며, Misukanis & Odden Public Relations라는 회사의 공동 창업자라고 합니다.


Lee가 최근에 RSS Ray라고 하는 온라인 마케팅을 주제로 하는 온라인 라디오 쇼(파드캐스팅)에 에 출연하여, 소셜 미디어 마케팅(Social Marketing Media), 블로그 마케팅(Blog Marketing), 보도자료 최적화(Press Release Optimization), Hiring Social Media Consulatnt라는 네가지 주제로 인터뷰를 진행했습니다.

RSS Ray라는 파드캐스팅에는 IBM의 Mike Moran, 파워블로거 Robert Scoble 등이 출연했으며, SEO, 온라인 마케팅, 블로그 마케팅 관련 다양한 저자들이 출연 예정이라 합니다.

하단 링크된 오디오 파일을 통해 상기 4개 주제에 대한 내용들을 참고하실 수 있겠습니다. 하단 내용은 Lee Odden의
The Power of Social Media, Blogs and Online PR에서 가져온 내용들입니다.

Segment 1 - Social Media Marketing:
What is social media? Why is social media becoming important for business marketing? How does the trust fostered by editorial visibility help marketers attract customers? How does social media affect search engine rankings? What businesses should use social media as a marketing tool? Are there certain channels within the social media space that are more attractive than others? Are certain industries more suitable to market via social media? What are some common mistakes people make with social media marketing?

Segment 2 - Blog Marketing:
When should a business use a blog for marketing? What is an online media room and what can it do for a company’s marketing or PR efforts? Why is a RSS feed important?

Segment 3 - Press Release Optimization:
Why are press releases so important for the 21st century? Consumers are viewing news sites and consuming press release information directly, more so than in the past. Are a lot of marketers understanding the power and effectiveness of press releases as marketing tools? Six tips for effective press release optimization. Can press releases be written to actually sell something? Should landing pages be used in conjunction with a press release? How can you measure the results from press releases? Tips for writing press releases and the importance of using multiple media formats and social media with press releases. How to go about implementing a program of marketing with press releases. How should you approach influential bloggers and journalists? Should companies go outside for help to produce social media and press release content? How does TopRank help businesses improve conversions and brand visibility online?

Segment 4 - Hiring a Social Media Consultant:
What are some criteria for evaluating a social media marketing consultant? What does TopRank write about on it’s blog? What kinds of companies does TopRank work with?

@JUNYCAP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