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ny's Blog is open for sharing personal experience and knowledge on keywords regarding Business communications, Public Relations, Marketing Communications, Organizational Communicaitons, Soft Skills, Social Media
저는 개인적으로 구글의 알리미와 구글 리더기를 고객사 소식 및 제가 관심이 있는 키워드를 놓치지 않게 곧 잘 활용합니다. 주요 고객사 이름과 고객사 이슈를 주요 키워드로 하지만, 주요 키워드 중에 하나가 '에델만 이중대'입니다.
[상기 이미지는 클릭해서 보시면 보다 선명해지고요]
그런데, 오늘 '에델만 이중대'로 재미있는 소식이 한토막 전해져 왔네요. 개요는 이렇습니다. 하단 링크를 클릭하고 들어가시면, 코리아타임스의 4월 18일자 기사 'New Tools Emerging in Corporate Crisis Management'의 전문이 다음 신지식인에 올려져있고, 이를 빨리 해석해달라는 부탁을 올렸는데, 누군가 관련 기사를 번역해서 올려줬네요. 다음 신지식 좋네요. 번역해서 올려달라 하면, 이용자들이 번역도 해서 올려주고.
여하튼, 제가 4월 중순에 코리아타임스 한제인 기자님의 전화를 받고, 기업의 위기관리 관련 인터뷰를 짧게 했는데, 관련 기사가 게재되었었네요. 제 주요 키워드가 '에델만 이중대'였지, 'Edelman Lee Joong-Dae'가 아니였던지라, 관련 기사의 모니터링을 놓치고 있었는데, 누군가 관련 기사를 번역해줘서 구글 알리미 키워드에 잡혔던 것이죠.
해석 빨리 부탁드립니다.ㅠ - Daum 신지식 ... 기업인 에델만에서 기업 위기관리를 전담하는 컨설턴트 이중대씨는 말하고 있다. ... 라고 이중대 씨는 말합니다. "대부분의 기업이 보통 이러한 경우 외부의 사람 ...
관련 기사에서 Edelman Lee Joong-Dae의 주요 코멘트 모음:
``Public apology is the first and one of the most important steps in managing a corporate crisis,'' said Lee Joong-dae, a Seoul-based consultant specializing in crisis management at Edelman, a global public relations firm. ``Once bad news breaks, companies must get on the case right away because the first few days and weeks are crucial to saving its image.
``Samsung has its work cut out for it both inside and outside the company,'' said Lee, explaining that organizations usually tend to pay attention only to how people see them from the outside, but employee sentiment is equally important. ``Simply donating money to charity won't be enough this time.''
Managing a crisis also follows a trend, though, so companies should consider what works and what no longer does,'' said Lee, adding that the latest methods involve communicating via video, such as on YouTube.
모아놓고 보니 꽤 많이 나왔군요. ㅎㅎ
기업의 이슈관리 및 위기관리를 위해서는 상황 파악(모니터링)이 기초적이면서 가장 중요한 사항입니다. 그런데, 모니터링이라는 작업은 자신만의 독특한 지식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나름대로 개인 브랜드가 중요한 분들에게도 꼭 필요한 작업이기 마련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구글 알리미를 통해 여러가지 일을 합니다. 고객 비즈니스와 관련 부정적인 내용의 글이 게시되면, 고객사에 이를 알리어 개선안을 갖고 관련 블로그에 연락을 취하라 카운셀링 해드리기도 하고요.
개인적으로는 자신의 블로그에 제 글이나 강의 내용을 링크 걸어주시거나 소개해주시면 꼭 방문하여 감사하다는 코멘트도 남겨 드리곤 합니다. 간혹 제 외부 강의에 만족하지 못한 글을 남긴 분에게 사과의 말도 남겨드리고, 에델만 코리아의 발표 리포트를 인용하시면 고맙다는 인사도 드립니다.
이렇듯 저의 다양하고 소소한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녀석이 바로 구글 알리미와 같은 온라인 모니터링 툴입니다.
여러분들도 재직하고 계신 회사의 온라인 명성관리 혹은 개인의 브랜딩 관리 차원에서 구글 알리미와 같은 무료 모니터링 툴을 활용하심이 어떠실까 하여 간만에 포스트 하나 올립니다.
동영상 PR 플랫폼 전문업체인 태그스토리에서 "1만원으로 할 수 있는 동영상 PR"이라는 제목으로 사진 동영상 기획에서 PR영상 제작까지 원스톱으로 서비스해 주는 <1만원 동영상 제작 이벤트>를 오는 5월 7일까지 진행합니다.
동영상 제작을 원하는 회사나 개인이 사진을 보내주면 스토리 기획에서부터 영상 제작까지 전과정을 진행해 준다네요.
태그스토리가 PR 및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실무자들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 짧게 정리해보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우리의 메시지를 소비자들이 동영상을 통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우리의 소비자들은 길고도 긴 택스트나 사진 이미지 파일로 구성된 콘텐츠는 스코롤의 압박을 느끼게 됩니다. 관련 기업에서 전하고 싶은 메시지가 많으면 많을수록 관련 소비자는 짜증이 나는 법이죠. 그런데 태그스토리에서 제공하는 동영상 서비스는 액자형으로 사진이나 동영상을 보여주기 때문에, 추가 스크롤 없이 동영상을 통해 메시지를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2. 제품 및 기업에 대한 사용자들의 자발적인 바이럴 효과를 확보할 수 있다. 태그스토리 동영상 퍼가기 기능을 통해 국내 주요 웹서비스 업체들이 제공하는 블로그, 커뮤니티 게시판 등에 관련 동영상을 쉽게 재포스팅을 할 수 있습니다. 콘텐츠 내용이 일반 소비자들도 많은 관심을 보이는 제품이나 스토리로 구성이 되어 있다면, 사용자들이 자발적으로 배포를 하는 과정 속에서 바이럴 효과를 얻어갈 수 있습니다. 물론 관련 콘텐츠가 정말 흥미로울수록 바이럴 효과는 더욱 크겠지요요.
3. 추가 배포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널리 알릴 수 있다. 태그스토리는 국내 온라인/오프라인 주요 매체들과 제휴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기 때문에, 태그스토리를 통해 동영상을 배포하면, 동시에 수많은 언론매체에 자사 관련 동영상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PR 실무자가 제공하는 보도자료의 참고자료로 동영상을 함께 제공되면 온라인 기사 하단이나 상단에 추가적으로 콘텐츠를 노출할 수 있습니다. 물론 관련 콘텐츠를 기사상 참고자료로 채택하는 여부는 언론사의 편집권이기 때문에 장담할 사항은 아니지만서도. 태그스토리를 통해 언론사 배포 서비스를 활용하시려면 물론 태그스토리측에 일정금액을 추가 지불하셔야 됩니다.
4. 막강한 동영상 통계기능을 통해 온라인 마케팅 효과를 분석할 수 있다. 태그스토리가 가지고 있는 가장 강점은 동영상별로 평가할 수 있는 통계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동영상별로 사용자수(UV) 및 재생횟수 통합 집계가 가능하며, 관련 동영상이 외부 사이트에 게재되어 플레이가 될 시 관련 URL과 사이트별 재생 통계를 집계하여 보여줄 수 있습니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사례를 설명해보자면, 지난해 12월말 에델만 캐나다의 부탁으로 Stage 3 Media라는 고객사가 제작한 웹 기반 TV 드라마인 Santuary(셍츄리)관련 동영상을 국내 주요 드라마 커뮤니티 사이트들과 동영상 공유 사이트들에 업로드한 적이 있습니다.
상기 동영상은 생츄어리의 여주인공인 아만다 태핑의 인사말을 업로드한 것입니다. 물론 태그스토리 자체 사이트에서 관련 동영상을 리뷰한 횟수를 보여주지만, 관련 동영상의 하단을 보면, 지난 수개월간 어느 외부 사이트에 관련 동영상이 업로드되어 플레이 되었는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제 블로그에서 재생된 횟수가 가장 많지요. 만약 관련 동영상을 배포하면서 보도자료를 함께 배포했다면, 동영상에 대한 관심도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었을 것입니다.
5. 추가 온라인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전략을 도출할 수 있다. 상기 URL들을 보고 눈치 빠르신 분들은 파악하셨겠지만, 보도자료와 태그스토리의 동영상 배포 서비스를 함께 진행하면 관련 제품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짐에 따라, 이에 따라 동영상이 배포되는 외부 사이트도 많아지게 될 것입니다. 상기 사례에서 보듯이 외부 사이트는 제품 관련 토픽을 장악하고 있는 개인 블로그, 온라인 커뮤니티 사이트, RSS 서비스 제공사이트, 또 다른 동영상 공유사이트일 수 있습니다. 참으로 다양하지요. 그중에서도 관련 제품에 관심을 갖고 있는 개인 블로그와 온라인 커뮤니티 사이트를 규명할 수 있다는 것이 태그스토리의 아주 큰 장점입니다. 동영상 보도자료를 지속적으로 배포하며 콘텐츠를 쌓아가는 과정 속에서 우리의 제품 영역군에 관심을 갖고 있는 블로그와 온라인 커뮤니티 사이트를 추가 분석할 수 있고, 그들과의 관계 구축을 통해 기업들은 온라인 상에서 보다 투자대비비용 효과적인 온라인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혹은 온라인 커뮤니티 참여 프로그램을 똑똑하게 진행할 수 있을 것입니다.
내용이 길어졌네요. 어쨌든 PR 및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담당자라면 태그스토리를 주목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저도 태그스토리의 강은규 차장님의 이메일 고지를 받고, 개인적인 이벤트를 위해 동영상 제작을 의뢰하여 어제 밤에 드디어 받았습니다. 관련 내용은 또 다른 포스팅으로 올릴 예정이고요.
조회 전체: , 오늘 , 어제: 기업 블로그, 쉽게 생각했다간 낭패 - 디지털데일리 기사/375
구글 알리미로 잠들기 전에 접한 기사입니다. 디지털데일리의 심기자님이 '기업 블로그' 특집 관련 세번째 기사를 작성하셨네요.
기업 블로그, 쉽게 생각했다간 낭패 디지털데일리 - South Korea 에델만 이중대 부장은 "블로그를 통해 기업의 중요정보가 유출될 수도 있고, 이미지가 실추될 수도 있다"면서 "블로그 개설 전에 참여할 직원들에 대한 교육은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이 때문에 기업들은 블로그 가이드라인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기업 블로그를 운영하지 않는 기업이라도, 직원들이 개인적으로 ...
현재 주요 언론매체에서는 블로그를 마케팅 혹은 개인 브랜딩 차원으로 접근해서 관련 기업들의 블로그 사례 혹은 영향력 있는 블로거들을 리스트화하여 소개하는 기사들을 많이 보도하시는 것에 반해, 심기자님의 기사들은 일선 기업들이 어떻게 하면 똑똑하게 기업 블로그를 런칭하고, 운영할 수 있는지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이번 기사에도 제 코멘트가 다수 소개되었습니다.
에델만 이중대 부장은 "블로그를 통해 기업의 중요정보가 유출될 수도 있고, 이미지가 실추될 수도 있다"면서 "블로그 개설 전에 참여할 직원들에 대한 교육은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에델만 이중대 부장은 ▲회사 정책 언급 금지 ▲저작권 존중 ▲블로그 독자 존중 ▲실수시에는 빠르게 인정 ▲사내 역할과 직책 공개 ▲개인정보 유출주의 ▲덧글 정책 수립 ▲경쟁사 언급 주의 ▲기업 커뮤니케이션 정책 준수 등이 블로그 가이드라인에 담겨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중대 부장은 ▲조직내 의견경청 문화 ▲비판적인 피드백에 대한 수용 ▲브랜드 구축에 대한 이해 관계자 관리▲투명성 의지 ▲직원의 사기·동기·의지 부여 등에 대한 가이드라인도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에델만 이중대 부장은 비즈니스 블로그 구축에 앞서 우선 기업목표를 세울 것을 주문했다. 명확한 기업목표가 있어야 그것를 달성하기 위한 블로깅 목표와 전략도 산출된다는 것이다.
제 코멘트가 꽤 많이 소개되어 소개하기 다소 쑥쓰럽기는 하지만서도, 외부 대행사를 통해 기업 블로그를 런칭하는 것이 아닌 자사의 인력들로 구성된 필진과 블로그 운영팀으로 직접 기업 블로그 운영을 챙기고자 하는 분들에게 큰 도움이 될 기사라 생각됩니다.
똑똑한 기업 블로그 운영에 관심 있는 분들은 꼭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심기자님의 4번째 기사가 기대됩니다!
조회 전체: , 오늘 , 어제: 에델만 코리아 블로거 및 에델만 디지털 팀블로그 소개 글/374
오늘은 저와 함께 에델만 코리아에 근무하고 있는 블로거 두명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Silvermouse라는 블로그 닉네임을 사용하는 이 친구는 저와 함께 기아 자동차의 영어권 자동차 블로그인 기아-버즈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처음 프로젝트에 합류했을 때는 블로고스피어가 무엇인지 감을 잘 잡지 못하던 이 친구가 요즘 자신의 개인 블로그에 포스팅하는 글들을 보면 블로깅에 대한 나름의 내공을 많이 쌓은 듯 합니다.
첫째로 제목을 잘 뽑네요. 자신의 주제를 쉽게 사람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비유도 잘하고요. 실무에서 쌓은 경험도 살짝 살짝 공유하고 있습니다. 기업 블로그(혹은 비즈니스 블로그)에 관심 있으시면 함 방문해 보시죠.
두번째로 소개하고 싶은 에델만 코리아 블로거는 Social Media Lab이라는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는 Josh Hwang입니다. 이제 6~7년 정도는 업계 선후배로 지내왔고, 이제 에델만에서 함께 근무하고 있는 친구입니다. 이 친구하고는 누리엔이라는 3D기반 SNS 업체 관련 비즈니스 블로그 런칭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요즘 기업의 블로그 활용에 대해 저와 가장 많이 이야기하는 후배이며, 블로그를 통한 사회적 이슈 메이킹에 관심이 많습니다. 상기 주요 3가지 포스트 중 2번째 3번째는 솔직히 그리 재미는 없습니다. 그런데 블로그 확산 사례는 꽤 재미있더군요.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이슈 메이킹에 관심 있으신 분들은 링크 함 클릭하시죠.
요즘 저희 회사에서 Technology 업계 PR 및 소셜 미디어 활용 PR 프로젝트들을 진행하는 회사 후배들과 함께 Edelman Digital이라는 팀 블로그의 런칭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다들 고객사 업무 우선이라는 원칙 때문에 시간들을 잘 내지 못해 런칭이 다소 미뤄지고 있습니다만, 조만간 좋은 팀 블로그로서 데뷰를 하겠습니다. 기대들 해주시와요!
두번째 글로는 소셜 미디어의 공격으로 위기에 빠졌다가 소셜 미디어의 적극적인 활용으로 기업 명성을 되찾고 있는 델컴퓨터의 사례를 종합편으로 소개했고요. 세번째 글은 지난 4월 6일 제 개인 블로그에 포스트한 온라인 기업명성 관리를 위한 위기관리 대응 10단계의 축소 버전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온라인으로 이슈가 증폭되는 사례가 많아짐에 따라 기업들이 과연 어떻게 온라인 위기관리 및 명성관리를 할 수 있는지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는 거 같습니다. 도움되는 자료들을 접하게 되면 개인적인 경험과 인사이트를 덧붙여 계속 공유해 나가겠습니다.
조회 전체: , 오늘 , 어제: 똑똑한 기업 블로그 (혹은 블로그 마케팅) 운영에 대해/369
저는 개인적으로 언론매체에 소개되거나 외부 강의를 할때 조심스러운 부분이 있습니다. 그것이 무엇이냐 하면 블로그 마케팅 전문가로 소개되는 것입니다. 아직 부족한 면은 있지만 저는 블로그 마케팅 전문가 보다는 소셜 미디어 전문가로 인식이 되었으면 합니다.
왜냐고요? 요즘 블로그가 언론매체에서 다양한 기획기사로 소개되면서, 많은 기업들이 블로그의 효용성을 인식하고 제품 세일즈 극대화 차원에서 접근을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블로그 마케팅이라는 이름으로 잘못 운영되는 경우를 많이 발견되고 있습니다.
제품 세일즈 극대화가 블로그 운영의 목표가 되면 가장 크게 우려되는 사항은 '블로그는 대화 커뮤니케이션 채널이다'라는 성격에서 벗어나게 된다는 것입니다. 요즘 블로그 마케팅이라는 이름으로 네이버나 다음과 같은 포털 사이트에 스팸 블로그(혹은 가짜 블로그 - fake blog)를 다수 오픈하고, 기업 관련 키워드로 구성된 콘텐츠를 노출하여 네티즌들의 트래픽을 유도하고, 트래픽 당 금액을 청구하는 제안서를 우연하게 보게 되었는데, 이건 정말 매우 위험한 발상입니다.
물론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인지도 확보하는 것이 목표라서 진행하는 것이고, 나름 효과가 있다고 말한다면 더 이상 반론하고 싶지 않지만, 기업이 블로그를 운영할 하고자 할때는 제품에 대한 타겟 소비자들의 인지도 확보를 메인 목표로 잡기 보다는 기업이나 브랜드에 대한 타겟 소비자들의 신뢰도를 쌓는 것을 메인 목표로 잡아야 합니다.
오늘 네이버에서 블로그 마케팅으로 키워드 검색을 하다가 매우 흥미롭고 반가운 글을 접하게 되었습니다. Marketing Consultant라는 블로그를 운영하시는 스윙맨님이 블로그 마케팅 이것만은 하지마라!!! 라는 포스팅을 하셨는데요. 인트로와 그 내용이 인상적입니다.
일명 착한 마케팅을 중요하게 여기는 스윙맨님은 '웹과 블로그를 잘 모르는 클라이언트들을 사탕발림으로 속여서 울궈먹는 대행사들이 너무 밉고, 클라이언트들을 돕고 싶다' 면서, '블로그 마케팅 이것만은 하지마라'라는 제목으로 15가지의 체크 항목을 소개하면서, 만약 3개 이상이 자사 블로그 운영에 해당되면 블로그 마케팅을 잘못되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고 소개하고 있습니다.
많은 경험과 지식을 기반으로 국내 블로그 마케팅의 맹점을 잘 짚어낸 글이라 생각되오니, 블로그 마케팅을 진행하시거나 진행을 고려하시는 분들은 필독하시길 제안 드립니다.
또한 스윙맨님의 포스트에 영감을 얻어 '똑똑한 기업 블로그 운영'에 대한 개인적인 의견을 덧붙여보고자 합니다.
기업이 블로그를 운영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세일즈 극대화를 제일 우선의 목표로 삼지 말아야 합니다. 블로그는 제품 인지도 확보를 위해 마케팅 세일즈 차원에서 진행할 때 보다 기업 및 브랜드에 대한 신뢰도 확보를 위해 명성관리 및 이슈관리 차원에서 진행할 때 더 큰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블로그 운영에 익숙하고, 똑똑한 블로거들은 자사 제품에 대한 기업 브로셔 형식의 용비어천가식 기업 블로그를 접하게 되면 거부반응을 갖게 되기 때문에 기업은 이점을 유념해야 합니다.
두번째로 중요한 것은 기업이 블로그 운영을 직접 챙겨야 한다는 것입니다. 블로그 콘텐츠 작성에 대한 고민으로 인해 자사 기업명과 브랜드에 대한 콘텐츠를 외부 대행사에 일임하게 되면, 블로그 활용에 대한 내부 역량을 전혀 확보할 수 없습니다. 외부 대행사와의 계약 종료 시점 이후에는 전혀 활용도가 떨어지게 되는 가장 큰 이유 중에 하나가 내부 역량을 쌓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블로그 초기 런칭시 블로그 디자인, 블로고스피어와 블로그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교육 및 내부 블로거 트레이닝, 자사 제품 및 기업에 대한 업계 영향력 블로거와 대화 내용 진단 등에 있어 외부 대행사의 도움을 받을 수 있겠지만, 블로그 운영에 대한 노하우는 기업이 직접 챙겨야 합니다.
세번째로 중요한 것은 블로그는 쌍방향 대화 커뮤니케이션 채널이라는 점을 유념해야 합니다. 2002년까지 웹을 기업이 구축하는 시대였다면, 2002년 이후부터는 개인이 웹을 구축하는 시대입니다. 다시 설명하자면 개인들이 블로그라는 웹을 구축할 수 있음에 따라 개인들은 특정 토픽에 대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게 되었고, 기업에 대한 불만사항을 이슈화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채널인 블로그를 오픈하고 이를 홈페이지처럼 활용한다면, 전혀 블로그 운영에 대한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자칠 잘못 운영하면 개인 블로거들의 공격을 받을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합니다.
다음으로 똑똑한 기업 블로그 운영에 대한 실제적인 팁 다섯가지를 덧붙여 적어보겠습니다.
1. 기업 블로그 URL을 보다 많이 알려라! : 기업 홈페이지에 꼭 자사 기업 블로그의 주소를 배너 형식으로 링크해야 합니다. 기아자동차는 국가별 기업 홈페이지에 자사 기업 블로그인 기아 버즈의 주소를 링크하여 보다 많은 방문자의 블로그 방문을 유입하는데 효과를 얻고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기업 블로그 URL을 자사 기념품, 비즈니스 카드에도 노출하실 수도 있겠습니다. 직원들에게 기업 블로그를 읽도록 독려하고, 그들의 네트워크를 통해 기업 블로그를 추가적으로 소개하는 것을 권장하는 것도 꽤 효과적입니다.
2. 기업 블로그에 코멘트를 달게 하라! : 만약 기업 블로그에 코멘트를 달지 못하도록 한다면, 현재 고객 및 잠재 고객과 대화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없습니다. 개인적으로 지난 연말에 국내 비즈니스 블로그 업계 결산 자료를 준비하면서 NHN Story라는 기업 블로그를 처음 방문하고, 댓글을 달 수 없다는 것을 보고 깜짝 놀라곤 했습니다. 국내 어느 기업 보다도 서비스 사용자들과의 대화 속에서 성장해온 기업의 블로그라고 하기엔 실망하여 다시 방문을 하진 않습니다. 블로그는 대화 커뮤니케이션 채널입니다. 기업들은 소비자들이 코멘트와 트랙백을 통해 기업과 대화할 수 있도록 해야 지속적인 관계가 구축될 수 있을 것입니다.
3. 귀사의 고객이 어느 곳을 주로 방문하는지 파악하라! : B2B 비즈니스가 아니라면, 소비자들의 활용도가 높은 제품이나 서비스라면 각 제품군별로 이미 온라인상에서 소비자들이 모여서 자신들의 의견 및 견해 그리고 최신 정보를 공유하는 커뮤니티가 존재하고 있습니다. 포털 사이트 내에 카페가 될 수도 있고, 독립 도메인의 커뮤니티 사이트 혹은 업계 내 영향력 블로그 일수도 있습니다. 포인트는 이것입니다. 우리의 타겟 소비자들이 어떤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그들의 대화에 동참하여 자사 기업 블로그를 추가적으로 알리고 자사 블로그를 통해 그들과의 대화를 도모해야 합니다.
4. 기업 블로그를 프로모션 하라! : 런칭 초기 블로그 운영에 자신이 어느 정도 붙게 되면, 메타 사이트와 블로그 전문 검색 사이트를 통해 자사 브랜드에 대해 포스트한 블로거들의 내용을 찬찬히 살펴보고, 자사 기업 블로그 포스트와 동일한 주제인 경우 그들의 포스트에 코멘트를 남기고 트랙백을 보내시기 바랍니다. 만약 영향력 블로그라면 그들의 독자 블로거들의 방문을 유도할 수 있을 것입니다. 런칭 초기에는 자사 기업 블로그 관련 보도자료를 업계 미디어에 배포할 수도 있으며, 타겟 소비자들이 자주 방문하는 언론매체 사이트나 커뮤니티 사이트에 배너광고를 걸어도 큰 효과가 있을 것입니다.
5. 전문적인 블로거를 혹은 블로그 전문 대행사를 고용하라! : 자사 구성원들이 블로그를 비롯한 소셜 미디어 활용에 대한 역량이 없다면, 블로그 운영에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이 있는 블로거들을 풀타임으로 고용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겠습니다. 타겟 소비자들의 소셜 미디어 활용은 계속적으로 증가할 것이기기 때문에 관련 인력을 자사 온라인 마케팅의 책임자로 채용하고, 기업 내 다양한 스토리를 블로고스피어에 맞게 전달하고 대화할 수 있는 책임과 권한을 주어야 합니다. 만약 직원 채용이 부담스럽다면, 기업 블로그 운영에 대한 레퍼런스와 관련 지식을 보유하고 있는 전문적인 외부 회사와 블로그 초기 런칭을 함께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상기 언급한 사항들이 기업 블로그 운영을 고려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건승!
[기획/ 기업 블로그시대-1] 기업들도 블로그로 간다 디지털데일리 - South Korea 기업 이름을 내걸고 비즈니스 블로그를 개설하기도 하고, CEO나 임원들이 개인적으로 블로고스피어에 뛰어드는 경우도 쉽게 만날 수 있다. 물론 아직 대다수의 기업들은 블로그가 낯선것이 사실이다. 수많은 댓글과 트랙백으로 이어지는 블로그를 개설했다가, 자칫하면 욕설로 도배될까 두렵기도 하다. 그럼에도 기업 블로그는 피할 수 없는 ...
상기 파랗게 링크된 기사는 그 첫번째 시리즈 기사이고요. 블로그가 기업의 위기관리, 이슈관리를 위한 필수도구로 떠오르고 있다는 내용의 사례로서 올블로그의 박영욱 대표가 자신의 블로그를 통해 이슈관리를 한 사항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비즈니스 블로그 전문가인 에델만코리아의 이중대 부장은 "비즈니스 블로그는 단순한 마케팅 툴이 아니라 위기관리, 이슈관리를 위한 필수적인 도구"라고 지적했다.
현재 비즈니스 블로그를 운영하는 일부 기업들이 블로거들과의 소통은 배제한 채 신제품이나 행사소개에 그치고 있다는 것이다.
이 부장은 "기업이 블로그를 통해 해야 하는 것은 광고나 홍보가 아니라 블로거들과의 대화"라고 강조했다.
심기자님은 지난 4월 2일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비즈니스 블로그 특강을 진행하면서 뵈었고, 마친 기업 블로그를 특집으로 다루시고 있어서, 제 의견이 짧게 전문가 의견으로 소개될 수 있었습니다. 심기자님 감사드리고요. 앞으로 소개될 3개의 추가 기획기사의 내용이 기대됩니다.
참고로, 제가 존경하는 영향력 블로거인 아거님께서 어제자로 닷네임코리아의 더러운 손 이라는 포스트를 하셨습니다. 관련 포스트에서 언급되는 회사에 대해서 개인적으로 아는 바가 없지만, 아거님께서 2차 걸쳐 시리즈를 올리는 것을 보니 문제가 큰 회사인가 봅니다. 이슈 메이킹 동참 차원에서 링크를 짧게 걸어봅니다.
요즘 이슈관리 및 이슈관리의 주요 커뮤니케이션 채널로서 블로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저도 관련 주제로 기업들이 블로그를 어떻게 운영할 수 있는지에 대해 추가 스터디 좀 하고, 도움이 될만한 내용을 정리한 포스트들을 공유하겠습니다. 건승!
커뮤니케이션즈 코리아라는 국내 최초의 PR 회사를 1980년대 후반 설립하시고, 한국PR업계의 성장을 견인해오시던 커뮤니케이션즈 코리아 김경해 사장님께서 <Big Think, Big PR>이라는 개인 블로그를 오픈했습니다.
먼저 PR 대행사 업계의 대선배이신 김경해 사장님이 CEO 블로그를 오픈했다는 것에 대해 너무나 축하드린다는 말씀을 전하고 싶습니다.
1947년생이신 김경해 사장님의 커리어는 한국 PR업계의 역사의 한축이라 말할 수 있습니다. 1973년 코리아헤럴드 견습기자로 출발하여 1983년 한국 최초의 영문잡지인 비즈니스 코리아를 창간하는 등 언론인의 경험을 기반으로 1987년 국내 최초의 PR회사를 설립하였습니다. 1988년에는 글로벌 PR 회사인 힐앤놀튼과 업무제휴, 1993년 국내최초로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 세미나를 개최, 1995년 국내 최초 PR 교육기관 설립, 1999년 국내 최초로 국정홍보처의 민간홍보 컨설팅 대행업체로 선정 등 김사장님의 캐리어는 한국PR 업계에서 많은 부분 최초로 진행되어왔기 때문에 업계 성장과 함께 했고, 이를 이끌어왔다고 생각됩니다.
세계일보 2008년 4월 7일자로 김준모 기자님이 기업 블로그 관련 업계 소식속을 기획기사로 보도했습니다.
기업 ‘블로그 마케팅’ 뜬다 세계일보 - South Korea 6일 국내 주요 포털업계에 따르면 새로운 상품이나 서비스 및 브랜드 등을 알리기 위해 기업이 직접 운영 주체로 나서는 ‘기업 블로그’가 최근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올 1월 말 현재 다음에서 운영되고 있는 기업 블로그는 340여곳으로 지난해 9월에 비해 100곳 이상이나 늘었다. 네이버 역시 현재 운영 중인 기업 블로그 22개 가운데 절반 ...
관련 기사 말미에 제 의견이 전문가 코멘트로 소개되었네요.
하지만 기업의 블로그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지나친 상업화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홍보대행사 에델만코리아의 이중대 부장은 “블로그는 사적 영역의 개념으로 출발한 공간이다 보니 이곳에 기업이 참여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블로거들이 있다”며 “소비자와의 쌍방향 의사소통 채널을 구축하려는 목적보다는 마케팅 수단으로 블로그를 활용하려 할 경우 오히려 역풍을 맞아 신뢰도에 치명타를 입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조회 전체: , 오늘 , 어제: 온라인 기업명성 관리를 위한 위기관리 대응 10단계/365
인터넷 이용자의 증가와 웹2.0의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현재 기업의 위기 상황에서 가장 큰 충격을 주고 있는 것은 온라인 미디어이다. 인터넷은 거의 실시간으로 검색엔진, 이메일, 블로그, 파드캐스트, 동영상 공유사이트, 온라인 커뮤니티 사이트, 이미지 공유사이트 등을 통해 다양한 뉴스, 이미지 및 논평 등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이다.
신문, 잡지, 라디오 TV 등 4대 매체가 중심이던 시기에 기업들은 위기 상황에서 정보의 흐름을 관리(control)한다는 것이 어느 정도 가능했으나, 블로그로 대표되는 소셜 미디어 시대에는 이러한 정보 통제 자체가 불가능해졌다. 디지털 카메라, 카메라 폰, 비디오 폰 등은 위기 상황이 발생하자 마자 일반인들이 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 사건 및 사고에 대한 설명, 음향 및 이미지는 블로그, 동영상 공유 사이트, 소셜 북마킹 사이트 등 새로운 소셜 미디어들을 통해 빛의 속도로 전달되게 되었다.
기업 입장에서 더욱 불안한 것은 불완전하고, 부정확하며, 불충분한 위기에 대한 개인적인 분석과 논평들이 블로그, 모바일 폰, 이메일 등의 링크를 통해 빠른 시간 내에 전세계 블로거들에게 전달될 수 있다는 것이다.
고객센터에 불만내용을 갖고 전화를 하거나, 이메일을 보내놓고 무작정 기다리던 과거와 달리 웹2.0 시대의 소비자들은 동영상 공유 사이트나 다음 아고라 토론방 같은 뉴미디어를 활용하여 자신의 불만사항을 이슈메이킹하고 있다. 기업 내 위기 진단팀이 가동되기 이전에, 전세계 수백만의 오디언스들이 자신만의 위기를 평가 할 수 있는 시대가 온 것이다.
이제 기업들은 자사 명성관리 차원에서 온라인 위기관리에 대한 지식과 노하우 및 경험을 쌓아나가야 할 필요가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온라인 위기관리를 위한 10단계를 정리해보고자 한다.
Step 1: 위기로 발전할 수 있는 이슈를 사전에 규명하라! 보다 똑똑한 위기관리를 위해서는 어떤 종류의 위기상황이 자사에게 발생할 수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회사 주요 경영진들이 참가하여 향후 6개월에서 1년 이내에 발생할 수 있는 이슈를 규명하는 사전 이슈 규명 워크샵 혹은 포커스 그룹 인터뷰 등을 진행하여 현재 우리 기업에게 발생할 수 있는 잠재 이슈들을 파악하고, 이로 발생할 수 있는 위기상황의 유형을 미리 시나리오 개발 및 이슈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활동 등을 체크하는 과정 속에 우리 조직 내부의 이슈를 세심하게 파악해야 할 것이다.
Step 2: 온라인 불평 대응 팀을 조직하고, 평상시에 소비자 불만에 대응하라! 온라인 상의 소비자 불만을 대응할 수 있는 팀을 조직해야 한다. 관련 팀은 소비자 불평 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어야 하며, 온라인 미디어에 대한 친숙도 및 활용도가 높아야 하며, 사내 현업 부서와의 좋은 관계를 지닌 사람들로 구성이 되어야 한다. 관련 팀은 기존의 공식적인 소비자들의 불평/불만 접수 절차, 보상의 범위 등 오프라인 정책뿐 아니라 온라인 불평에 대한 대응정책을 확인하고, 만약 이러한 정책 및 프로세스가 없다면, 새롭게 마련해야 할 것이다. 안티사이트가 생기는 가장 큰 이유는 소비자들이 자신의 불만을 토로할 수 있는 공간이 없기 때문이다.
소비자들과의 대화를 중요하게 여기지 않았던 웹1.0 시대에는 홈페이지에 Q&A 게시판을 삭제하는 것이 추세였으나, 이제 소비자들은 자신의 블로그, 온라인 커뮤니티 사이트 및 안티사이트등에 자신의 의견을 활발하게 개진하면서 이슈 메이킹을 하고 있다. 초기 대응을 통해 관련 이슈가 위기상황으로 발전되지 않기를 희망한다면, 기업은 홈페이지에서 소비자 게시판을 운영해야 하든, 아니면 이메일을 통한 불만 접수만을 하든 소비자가 불만사항을 쏟아낼 창구를 마련하고 그들과의 대화 커뮤니케이션을 진행해야 한다.
Step 4: 자사 관련 소셜 미디어 우주를 진단하라! 자사 제품의 사용자들이 자주 찾는 인터넷 포털 사이트 내 동호회 사이트, 독립 도메인을 갖고 있는 커뮤니티 사이트, 안티사이트, 소비자 불만 포털 사이트, 소비자불만 고발 사이트 동영상 공유 사이트, 이미지 공유사이트, 영향력 블로그 등을 리스트업 하고, 타겟 소비자들의 대화 내용을 모니터링하고 내용을 분석해야 한다. 영향력 블로그는 올블로그, 블로그 코리아 등 블로그 메타사이트 혹은 나루와 같은 블로그 전문 검색 사이트를 활용하여 자사 키워드 관련 영향력 있는 블로그를 리스트업하고, 자사 기업에 대한 호의도를 분석해야 한다. 또한, 주요 동영상 공유사이트, 사진 공유사이트를 리스트업 하고, 현재 공유되는 이미지 및 동영상을 진단하라. 마지막으로 규명된 소셜 미디어의 활용에 익숙해져야 한다.
Step 5: 이슈 키워드를 리스트업하고, 온라인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라! 1단계 이슈규명 워크샵에서 도출된 이슈들이 발생할시 네티즌 입장에서 포탈사이트에 검색할 수 있는 키워드를 리스트 업 해야 한다. 또한, 위기 상황 발생시 네티즌들이 관련 키워드 검색을 통해 자사의 보도자료, 동영상 발표, 비즈니스 블로그에 방문하여 기업 입장을 숙지할 수 있도록 포탈사이트 검색 결과 최적화 방안을 미리 도출해 내야 한다. 관련 키워드는 위기 상황 발생시 집행해야 하는 검색 광고 키워드로 또한 활용될 수 있다.
키워드를 리스트업 하고 나면, 4단계에서 규명된 자사만의 연관 소셜 미디어에서 어떠한 대화가 오고 가는지 주기적으로 모니터를 진행해야 한다. 관련 업무를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아이퀵과 같은 온라인 모니터링 전문 회사의 서비스를 활용하거나, 온라인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해주는 스펙트라의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만약 예산 미확보로 인해 자체적으로 진행하는 것을 희망할 경우 구글 알리미와 블로그 메타사이트 및 블로그 검색 엔진 사이트 활용을 통해 온라인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Step 6: 온라인 불평글의 상황을 평가하라! 온라인 커뮤니티사이트, 온라인 카페, 블로그 등에서 불평글에 발견되면, 불평글의 상황 변수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선택해야 한다. 주요 상황 변수 가운데에서도 불만의견 개진자의 불평글과 관찰자들의 댓글 사이에 컨센서스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계속적인 확인 작업이 필요하다. 또한, 불평글이 단순한 불평글인지 아니면 사실을 근거로 이뤄졌는지 참고 사진이 첨부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해야 한다. 관련 불평글의 사회적 반향 가능성에 대한 판단은 언론의 입장에서 주목할만한 시의성이 있는지 중대성이 있는지에 따라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Step 7: 책임의 수용 여부에 따라 온라인 대응 방향을 결정하라! 인터넷 포럼에는 불평글을 올리는 '의견 게시자,' 이 글에 댓글을 붙이는 '댓글 작성자,' 글을 쓰지는 않고 이 글들을 읽기만 하는 '관찰자' 등 크게 세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온라인 대응 방향을 결정할 때는 기업 본인의 입장이 아니라 관찰자(네티즌) 입장에서 판단해야 한다. 관찰자들이 봤을 때 문제가 있다고 믿는데, 기업만 문제가 없다고 주장하는 것은 매우 위험한 대응법이다. 관찰자들은 의견 게시자들의 불평글을 읽게 되면 문제의 책임이 기업에 있는지 불평자에 있는지 판단하기 때문에 관찰자가 문제의 책임소재를 어떻게 판단하느냐에 따라 대응선택을 잘 선택해야 할 것이다.
불평글의 상황 변수들에 따라 전략 선택은 계속 조정되어야 하며, 주요 커뮤니케이션 전략은 다음과 같다. 수용 전략 : 책임을 받아들이고 사과, 시정조치, 보상 약속을 하는 것. 방어 전략 : 책임을 인정하지 않고 불평자를 공격하거나 책임을 제 3자로 돌리는 것 중립 전략 : 책임 여부에 대한 판단이 모호한 상태에서 책임 소재에 대한 판단에 관계없이 기업이 소비자의 불만에 기본적인 관심만 표명하거나 단순한 설명을 하는 것. 무대응 전략 : 인터넷 상에서 아무런 응답을 하지 않는 것.
대응전략 전개에 있어 유의해야 할 사항이 있다. 기업은 책임이 없다고 대놓고 주장하지 않아야 하며, 기업의 잘못이 있으면 책임을 인정해야 하며, 가능한 한 소비자에 대한 관심 표명과 설명을 해야 하며, 전략적 무대응은 최소한의 경우에 한정해야 한다.
Step 8: 자사의 웹사이트 및 인트라넷 사이트를 적극 활용하라! 먼저, 위기상황이 터지게 되면 불안감에 빠진 경영진 및 직원들을 안심시키고, 이들로부터 이해와 협조를 구하기 위해 인트라넷을 위기관리의 허브로 활용해야 할 것이다. 온라인 위기 대응 시 외부 커뮤니케이션을 위해서는 자사의 홈페이지 및 기업 블로그를 적극 활용해야 하며, 홈페이지에서 ‘위기 대응’ 정보는 찾기 쉬워야 한다.
위기 상황이 전개되면, 기자 및 타겟 소비자들은 관련 정보에 목말라 하기 때문에, 현재 자사가 바라보는 위기 진단 상황, 경영진의 공식적인 입장 및 대응 방향, 위기 관련 자사 미니사이트, 핫라인 등을 정리하여 지속적으로 관련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자사에 위기 대응에 대해 심각한 비난이 일어날 경우, 이를 잠재울 수 있는 대비되는 정보들을 개발하고, 이를 전달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또한, 블로고스피어의 콘텐츠를 분석하고, 잘못된 정보가 있을 경우 이를 바로잡으려는 커뮤니케이션 활동 또한 병행이 되어야 한다.
기업 위기 대응 노력에는 경영진들의 참여가 필요하며, 제트블루와 마텔 사례에서 CEO가 동영상을 제작하여 타겟 소비자들에게 배포했듯이 위기 상황에 대한 염려, 위기관리를 위한 자사 노력, 재발방지를 위해 약속 등을 진심으로 전달하는 경영진의 목소리가 담긴 영상을 제작하여 비디오 뉴스 릴리즈(VNR) 형식으로 콘텐츠를 배포하는 것도 적극 고려해야 할 것이다.
Step 9: 지속적인 온라인 미디어 커뮤니케이션을 전개하라. 위기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시기가 위기발생초기와 마지막 순간이며, 위기상황 종결을 누구도 확실히 규정짓기 힘들기 때문에, 위기 관련 정보가 있을 때마다 미디어들에게 자사 관련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해야 한다. 기업이 제시하고 진행한 솔루션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받은 사람들, 자사 핵심 멤버들에 대한 스토리를 포함하고, 재발방지를 위한 기업의 노력, 장기적 기업의 사회적 책임 노력 등의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전달하여 기업의 실추된 기업 명성을 회복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Step 10 : 기업 명성 및 브랜딩 현황을 파악하고, 긍정적인 콘텐츠를 최적화하라! 기업의 위기 상황으로 소비자들의 인식은 변하게 되고, 기업의 명성 및 제품 브랜딩은 타격을 입기 때문에, 기업은 이를 바로잡기 위한 커뮤니케이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위기상황 발행 후, 자사 명성 및 제품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 조사를 진행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 및 캠페인을 기획하여 진행해야 한다.
위기 상황 관련 부정적인 온라인 뉴스, 블로그 포스트의 검색엔진 노출을 약화시키고, 자사의 노력 및 변화된 모습과 관련한 콘텐츠가 보다 검색에 노출되는 실제적인 방안을 고민이 필요할 것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현재 운영하고 있는 기업 홈페이지, 마이크로사이트, 블로그, 파드캐스트 등의 콘텐츠를 생산 및 배포하는 과정을 통해 위기 연관 키워드에 대한 토픽을 장악하여 자사에 긍정적인 콘텐츠를 최적화하고, 자사의 개선 노력에 대한 타겟 소비자들과의 지속적인 대화를 통해서 그들과의 신뢰 관계를 회복하는데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개인적으로 비즈니스 블로그를 주제로 강의를 하면서 꼭 빼놓지 않고 설명하는 페이지가 있습니다. 관련 내용은 하단과 같습니다.
관련 내용을 추가로 설명드리자면, 2005년 5월 미국 대표 주간지인 비즈니스 위크(Business Week)가 'Blogs Will Change Your Business'라는 제목으로 블로그를 커버스토리로 다룬 것입니다.
2002년 본격 등장한 블로그가 이제 기업 비즈니스에 유의미하기에 관련 주간지에서 전반적인 내용들을 커버하고 있지요 관련 기사에서는 블로그 포스팅 스타일로 작성이 되면서, 여럿 유명한 영향력 블로그들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관련 기사가 이야기하는 것은 크게 4가지이고 저는 제 강의에서 관련 사항을 꼭 강조하곤 합니다.
1. 블로그는 사람들이 서로 대화하는 방법을 변화시키고 있고, 2. 기업이 타겟으로 하는 고객들과 커뮤니케이션하는 방법을 변화시키고 있고, 3. 소비자들이 정보를 얻을 때 블로그가 정보의 루트로서 혹은 최종목적지로 활용되고 있으며, 4. 블로그는 기업 PR에 있어 새로운 도전 및 기회의 요소를 제공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랬던 비즈니스 위크가 지난 2008년 2월말 관련 주제의 기사를 'Social Media Will Change Your Business' 라는 제목으로 바꿨습니다. 2005년 당시와 2008년 현재를 비고했들 때 많은 사람들이 마이크로 블로그라 할 수 있는 twitter를 즐기고 있고, Myspace, Facebook 등 소셜 네트워킹 미디어들이 많은 인기를 누리게 됨에 따라 비즈니스 위크가 제목 자체를 변경한 것이죠.
관련 제목에서 블로그를 소셜 미디어로 바꾼 것은 그만큼 새로운 소셜 미디어가 증가되었고, 소셜 미디어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라 생각됩니다. 전체적인 기사의 내용 전개는 변화가 없으나 블로그 연관 수치, 기사에 소개된 영향력 블로거 근황 등 20여개 사항들을 수정 보완해서 다시 사이트에 업데이트 했습니다.
아직 관련 기사를 접하지 않으신 하단 링크의 기사를 함 살펴보시죠.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Juny's Blog is open for sharing personal experience and knowledge on keywords regarding Business communications, Public Relations, Marketing Communications, Organizational Communicaitons, Soft Skills, Social Mediaby 쥬니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