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
미국의 대표적인 마케팅 잡지인 Advertising Age에서 마케팅 블로거인 Todd Andrlik가 영어권 내에서 PR, Marketing & Media 주제로 포스팅 하는 영향력 블로거 150 리스트를 정리한 내용(Power 150 on August 13th which ranked the top 150 blogs in PR and Marketing)을 발표하였습니다. 선발기준은 요기 참고
(참고로, 426개의 블로그까지 확인 가능)

에델만 관계자 중에는
Richard Edelman, Steve Rubel, Phil Gomes 등이 포함되었네요.

150개의 리스트 중에 몇가지 블로그를 추천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1.1위를 차지한  Seth Godin를 만약에 구독하고 계시지 않다면, 강추입니다. 다양한 읽을꺼리가 넘쳐나고요. 근래에 The Dip이라는 책을 냈는데, 호코치님이 자신의 블로그에서도 4차례 소개한바 있을 정도로 PR & Marketing 전문가들에 도움이 되는 글을 많이 생산해 냅니다.

2. 국내에도 번역되어 나온 "Citizen Marketers: When People are the Message의 두 저자
Ben McConnell and Jackie Huba가 운영하는 Church of the Customer

3. 캐나다 내 20여명의 마케팅 전문가들이 팀 블로그 형식으로 글을 올리는  One Degree 온라인 마케팅 관련 다양한 글들을 접하실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벤치마킹하기에 좋은 블로거들이 많사오니, RSS 피드 등록해서 즐블하세요~

123456››

Viewing 1 to 50 of 426 Blogs (View All)

Google PageRank Bloglines Stats Technorati Stats Todd's Score Score
1. Seth's Blog US 7 20 30 13 70
2. Micro Persuasion US 7 20 30 12 69
3. Pronet Advertising US 7 18 30 13 68
4. Search Engine Watch US 8 20 29 11 68
5. Search Engine Land US 7 20 30 11 68
6. Adrants US 6 20 28 13 67
7. Online Marketing Blog US 6 19 29 13 67
8. Adverblog IT 6 20 26 14 66
9. Marketing Pilgrim US 7 18 29 12 66
10. Publishing 2.0 US 6 19 27 13 65
11. PSFK US 6 20 27 12 65
12. tompeters! US 6 20 27 12 65
13. SEOmoz Blog US 5 20 29 11 65
14. adgoodness CA 6 17 27 14 64
15. What's Next Blog US 6 18 26 14 64
16. Church of the Customer US 6 20 25 13 64
17. Ads of the World BH 6 18 29 11 64
18. Brand Autopsy US 6 19 23 14 62
19. Logic+Emotion US 6 15 27 14 62
20. adfreak US 5 18 26 13 62
21. MIT Advertising Lab US 6 18 25 13 62
22. Duct Tape Marketing US 0 19 29 13 61
23. AdverBox IT 6 17 25 13 61
24. Diva Marketing Blog US 6 14 26 14 60
25. Ypulse US 6 16 24 14 60
26. Groundswell US 6 19 25 10 60
27. russell davies england 6 16 23 14 59
28. jaffe juice US 6 15 24 14 59
29. Marketing & Strategy Innovation Blog BE 6 18 22 13 59
30. Influential Marketing Blog US 6 14 25 13 58
31. Web Strategy by Jeremiah US 4 15 27 12 58
32. Search Engine Guide US 7 14 27 10 58
33. Global Neighbo[u]rhoods US 6 18 24 10 58
34. Marketing Profs Daily Fix US 6 11 26 14 57
35. Compete Blog US 6 13 25 13 57
36. Houtlust NL 5 16 21 14 56
37. This blog sits at the US 6 14 23 13 56
38. Coolz0r - Marketing Thoughts BE 6 16 21 13 56
39. ConverStations US 5 13 25 13 56
40. CenterNetworks US 6 11 26 13 56
41. Strumpette US 5 14 24 13 56
42. GrokDotCom US 6 13 25 12 56
43. BlogWrite for CEOs US 6 17 18 14 55
44. I believe in adv IT 5 13 24 13 55
45. NevilleHobson.com england 6 15 21 13 55
46. ClickZ US 7 18 18 12 55
47. The Marketing Technology Blog US 6 11 26 12 55
48. Niche Marketing PL 5 12 27 11 55
49. Drew's Marketing Minute US 5 11 25 13 54
50. Influx Insights US 6 15 18 14 53
OPML of all feeds OPML file for all Power 150 feeds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요즘 틈날때마다 하단의 시티즌 마케터라는 책을 읽고 있습니다. 조선일보 IT 팀장으로서 IT와 뉴 미디어 관련 해박한 지식을 기반으로 한 기사를 생산하시던, 이제는 태그스토리 대표로 계신 우병현 사장님과 회사 직원들이 스터디 차원에서 준비했다던 CITIZEN MARKETERS의 한국 번역판입니다.

벤 맥코넬 | 우병현 | 미래의창 | 2007년 08월 20일
책소개 새로운 마케팅 모델에 성공적으로 적응한 기업들과 그렇지 못한 기업들의 사례를 보여주며 커뮤니케이션과 마케팅의 전통적인 개념이 평범한 시민들인 시티즌 마케터들에 의해 민주화되고 있는 현장을 소개한다.


관련 책을 다 읽고 나서 몇가지 인상적이었던 내용들을 정리할까 하다가 8월 22일자 머니투데이에 우대표님의 CEO 칼럼이 게재되었기에, 관련 책 내용을 읽으면서 느낀 사항을 몇가지 정리하여 올립니다.

1. 관련 책을 읽으시면, 웹2.0으로 비롯된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환경의 변화 흐름(소비자 파워의 증대,  뉴 미디어를 통한 개인들의 정보 전달력 증대, 투명한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 등)과 다수의 실제적인 사례를 접하실 수 있다.
2. 아직 한국에서는 그리 많이 언급되는 단어는 아니지만, 소셜 미디어라는 용어의 실제적인 개념을 습득할 수 있다.
3. 소비자의 제품 구매 의사 결정시 소셜 미디어의 영향력이 증가되고 있으며, 다수의 외국 기업들은 이를 기업의 마케팅과 PR활동에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대표적인 실패사례로 기록되지 않기 위해서는 새로운 변화를 제대로 이해하고 관련 활동을 진행해야 한다.
4. 과거 Mass Media 시대에 전문 언론인으로 대표되는 오피니언 리더들과의 관계(Media Relatioins) 구축에 힘써왔던 PR 및 마케팅 전문가들은 이제 Social Media 시대의 흐름에 맞추어 긍정적/부정적 입소문의 진원지인 블로거 관계(Blogger Relations) 혹은 시티즌 관계(Ctitizen Relations) 혹은 매니아 관계(Mania Relations)라는 새로운 관계 구축 및 관련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짜는데 시간을 투자해야 한다.
5. 기업의 온라인 브랜드 및 명성관리에 있어, 소셜 미디어의 역할 및 중요성은 시간이 흐를수록 더욱 강조될 것이다.

하단의 글은 우병현 대표님의 CEO 칼럼인데, 블로그로 대표되는 소셜 미디어의 중요성을 짧은 시간에 이해하시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CEO칼럼]사람들이 메시지다 네이버   머니투데이 [경제]  2007.08.22 오후 12:20
[머니투데이 우병현 태그스토리 대표]지난 11일 토요일 오후 4시 서울 압구정역 근처 한 빌딩에 이른바 '파워 블로거'라고 불리는 네티즌 글쟁이 50여명이 모였다. 벤처기업인 태터앤컴퍼니사가 파워 블로거들의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한 행사였다. 부산 등 전국...

마지막 소식 : 북 세미나 주최로 우병현 대표와 저자와의 만남이라는 행사가 2007년 9월 12일 광화문 교보문고 본사 지하 1층 문화이벤트홀에서 진행되는군요.관심 있으신 분들은 하단 링크 클릭하시면 됩니다.

http://www.bookseminar.com/1527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비디오캐스팅을 통한 스토리텔링 제목의 포스팅을 통해 짧게 소개해 드린 바 있던,  Commoncraft 팀이 Video: RSS in Plain English, Video: Wikis in Plain English, Video: Social Networking in Plain English 에 이어 네번째 동영상을 업로드 했습니다.

이번에는 딜리셔스를 메인으로 소셜 북마킹의 개념과 활용 방법을 단순화하여 재미있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즐감하시죠. Video: Social Bookmarking in Plain English



상기 포스트 유용하셨다면 쥬니캡 블로그를 구독하세요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마텔 CEO의 동영상을 통한 사과 메시지 전달

며칠전 우마미 형님의 Mattel로부터의 교훈과 벤치마킹 포스팅을 통해 마텔의 제품 리콜 소식을 접했습니다. 아직 결혼 전인지라 관련 제품이나 회사에 익숙치 않은 면도 있었기에 관련 포스팅과 영상을 볼 때 까지는 미디어 트레이닝을 잘 받은 CEO의 인터뷰 사례이구나 느끼는 정도였습니다.

그런데 오늘 블로고스피어를 돌아다녀보니, 마텔의 회장이지 CEO인 Bob Eckert가 자사의 주요 소비자인 부모들에게 사과의 뜻과 향후 재발 방지를 위한 자사의 노력을 메시지화하여 이것을 동영상으로 올렸더군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상기 동영상으로 링크된 페이지를 들어가면, 관련 페이지는 CEO의 사과 서한과 사과 동영상, 리콜 제품 리스트, 연락처, FAQ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기존 홈페이지에 없었던 Dark site 성격의 홈페이지를 구성하여 올린 듯 합니다.

올해 2월 포스팅 했던 제트블루(JetBlue) 케이스를 통해 제트블루가 위기관리 차원에서 동영상 제작과 소셜 콘텐츠 미디어인 유투브를 활용했던 첫 사례라고 소개해 드린 적이 있는데요. 마텔은 상기 동영상을 유투브에는 업로드하지 않고, 자사 홈페이지에만 업로드 했더군요. 참고로 본사 홈페이지에 비해 한국마텔 리콜 관련 홈페이지는 감각이 여러가지로 떨어져 보입니다.

이제 마텔을 비롯한 다수의 글로벌 기업들이 위기관리시 동영상을 통한 CEO의 사과 메시지 전달을 적극 활용하는 것이 Crisis Communication의 중요 전략으로 자리 잡을 듯 하여 짧게 정리하여 올립니다. 과연 우리나라에서는 어떤 기업이 이런 모습을 보여줄까요? 그것이 궁금합니다. @JUNYCAP

상기 포스트 유용하셨다면 쥬니캡 블로그를 구독하세요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삼성 스타일의 블로거 관계

국내 대기업인 삼성 스타일의 블로거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기사가 있어 링크합니다. 거대 자본이 있어 가능한 스타일이지만, 블로거들과의 신뢰 관계 구축에는 그리 큰 효과 있을 것이라 생각되지는 않습니다. 아무튼 여러가지로 흥미로운 스토리입니다.

UCC, 블로거를 포섭한 '고맙습니다' 삼성 캠페인, 뒤가 구리다! 민중언론 참세상 - 서울,South Korea
고맙습니다'란 캠페인은 삼성(samsung)이란 재벌기업이 '해피투게더' '따뜻한 인터넷 세상을 만들자' '고마운 마음을 전하면 모두가 행복해진다'라는 보기좋은 이미지와 듣기 좋은 슬로건을 내걸고 블로거나 네티즌에게 관련 이야기나 뉴스, UCC를 제작해 포털사이트나 동영상 서비스 사이트에 등록하거나 해당 이벤트에 응모하면 추첨이나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제가 근래에 휴가를 다녀온지라 구독하고 있는 블로거들의 다 확인하지 못했는데, 금번 TNC에서 준비해주신 태터앤미디어 파트너 간담회에서 꽤 흥미로운 뉴스를 접하게 되었습니다.

국내 대표 블로거 중 한명인 떡이떡이님이 그동안 활발한 블로깅 활동으로 키운 영향력을 인정 받아 소속에 변화가 있다는 소식이였습니다. 다음주부터 보게 될 명함 속 @Chosun.com  관련 포스팅에서 떡이떡이님은 그동안 소속 변화를 모색해왔던 고민들과 향후 펼쳐보고 싶은 다양한 실험에 대한 자신의 기대감도 적고 있습니다.

소속은 변했지만, 여럿 블로거들에게 영향력 블로거의 전형을 보여주고 있는 서기자님의 열정 계속 기대되는 바입니다.

지난 7월 중순에는 또 다른 블로거 그만님이 매경인터넷에서 야후 코리아로 소속을 옮기고, 출근 첫날이라는 글을 올려 많은 블로거들의 격려를 받기도 했습니다. 지난 태터앤미디어 파트너 간담회에서 블로거들에게 도움이 될 만한 내용도 발표하고, 스스로를 업자라 부르며 활발한 변신을 추구하고 있는 모습이 보기 좋았습니다.

예전에 아거님이 포스팅한 글 중 PR은 인사하기에서 출발한다 라는 글을 통해 2006년 초 중소기업 규모의 PR회사 소속이던 스티브 루벨이 활발한 블로깅 활동만으로 에델만 본사의 Me2Revolution 담당 수석 부사장으로 이직하게 되어, 많은 블로거들의 축하인사를 받았다는 소식을 접했던 것이 기억납니다.

상기 그만님과 떡이떡이님은 올블로그 선정 2006년 100대 블로그에서도 상위에 속했던 영향력 블로거라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또한 스티브 루벨도 북미 영어권을 대표하는 영향력 블로거이고요.

상기 언급한 블로거분들은 열정적인 블로깅 활동으로 개인을 브랜딩화하고, 자신의 주제(토픽)에 대한 영향력을 근거로 새로운 기회를 도모했다는 공통점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앞으로 국내에도 다수의 블로거들이 열정적인 블로깅 하나만으로도 다양한 기회를 도모하는 사례가 왕왕 발생하기를 기대해 봅니다. 건승합시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지난 8월 11일 압구정동에서는 국내 블로고스피어에서 자기만의 토픽으로 활발한 블로깅 활동을 통해 개인 브랜드를 구축한 20여 이상의 블로거들이 대거 참석하는 행사가 진행되었습니다.

관련 행사는 국내에서 설치형 블로그툴 태터툴즈를 기반으로 사업을 전개하는 TNC에서 수개월간 준비해온 블로그 네트워크 미디어인 태터앤미디어 파트너들을 위한 설명회 자리였습니다. 행사의 자세한 내용은 칫솔님, 떡이떡이님라디오키즈님 포스트 참고하시면 됩니다.

저는 태터앤미디어의 파트너이자 주제 발표자로 참석을 했습니다. 그동안 온라인상에서만 서로의 존재를 알았던 블로거들이 대거 참석하여 서로의 존재를 알게 되었고, 연합 네트워크의 탄생을 통해 새로운 가능성을 함께 모색하는 것이 큰 의미라 생각이 듭니다.

향후 운영 방안은 TNC측에서 여러가지 고민을 해 주실 것이라 생각되고요. 소속 블로거들의 자질, 법률 문제, 광고 수익 배분 등 여러가지 발생할 수 있는 이슈에 대한 논의또한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되지 않나 생각이 듭니다. 파트너 블로그로서 관련 주제들로 참고할 만한 자료들이 있다면 포스팅 주제로 올려볼까 합니다.
 
아무튼 미국 및 일본에 비해 비즈니스 블로그 발전 속도가 2~3년이 늦게 이루어지고 있는 국내 블로고스피어의 큰 변화에 PR Blogger로서 동참할 수 있다는 점을 큰 영광으로 생각합니다.

관련 행사를 준비하고 진행하느라 수고 많으셨던 TNC 관계자 여러분들께 감사 드립니다. 특히나 젊은영 팀장님이 말씀하신 2008년 8월의 모습을 기대해보겠습니다. 건승!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지난해 7월 ‘와이프(Wife)’와 ‘블로거(Blogger)’를 합친 ‘와이프로거(Wifelogger)’라는 신조어를 만들어낸 LG경제연구소의 리포트에 따르면, 국내 전업주부 540만명 중 59%인 318만명이 인터넷을 이용하고 이 중 9%인 28만명을 주부 블로거로 추정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들 와이프로거들은 이름만 걸어놓은 블로거가 아니라 디지털카메라로 살림 노하우도 전하고 동영상 촬영도 하는 적극적으로 자신의 영향력을 행사하는 블로거라는 것이 주목할만하며, 연구소가 추정한 추세라면 ‘와이프로거’ 200만명 시대도 곧 도래할 태세라고 하는군요.

요즘 와이프로거라는 키워드로 제 블로그를 방문해주시는 분들이 꽤 있는 것을 보면, 앞으로도 이들 특정 블로거들의 영향력은 계속적으로 커져 나갈 것이라 생각이 듭니다.
관련 포스팅 : 2007/06/21 와이프로거 조명 기사를 읽고

미국에도 와이프블로거와 동일한 개념의 블로거 그룹이 있는데, 미국에서는 이들은 마미 블로거 혹은 맘 블로거라고 칭하고 있습니다.

흥미로운 것은 이들 맘 블로거들이 활동할 수 있는 블로깅 커뮤니티 사이트인 BlogHer라는 곳이 미국에 있고, 이곳에서 올해 세번째 여성들의 블로깅 컨퍼런스가 시카고에서 개최되었는데 800명 정도의 여성들이 참가하고 Sponsors included AOL, GM, Dove, Google and Yahoo 등 기업들이 스폰서 역할을 했다고 합니다.

관련 행사는 블로깅을 하는 여성들이 한자리에 모여 서로에 대해 배우고, 서로간에 소셜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는 기회로 활용하자는 것이 목표로 보입니다.
 
또 관련 행사의 영향력이 해마다 증가함에 따라 기업들의 스폰도 증가하고, 이에 따라 에델만 본사를 비롯한 많은 PR인들이 이들과 소셜 네트워킹을 구축하기 위해 다수 참가한 듯 합니다. 행사 기간 동안 혹은 행사를 마치고, Mommy blogger들은 PR인들에게 다음 사항을 요구했다고 하네요.

Susan Ehlinger가 포스팅 한 Blogger 07 Notebook : Marketing to bloggers 를 참고해 보면, 관련 행사에는 PR 전문가들이 마미 블로거들에게 접근할시 주의해야 할 사항들에 대해 많은 논의가 진행된 듯 합니다.

마미 블로거를 대상으로 블로거 관계 혹은 블로그 마케팅을 전개하고자 한다면, 일단 타겟 블로거의 내용을 구독하고, 그들의 글을 통해 그들을 이해해야 하며, 그들에게 연관 있는 자료를 보내야 하며, 다양성을 조사해야 한다 등의 조언을 했다고 합니다.

관련 컨텐츠를 충분히 리뷰하진 못했지만, 국내 보다 비즈니스 차원에서 블로그 활용도가 높은 상기 사례를 보며 크게 세가지를 느낍니다.

1. 맘 블로거가 대거 참가하는 블로그 커뮤니티 행사에 북미의 유력 회사들이 스폰서를 자처한다는 것은 맘 블로거라는 특정 블로거들의 영향력이 꽤 세다.
2. 맘 블로거들은 다수의 PR 전문가로부터 제품 PR을 위해 접촉을 받고 있는데, 관련 접근법이 맘 블로거들이 불만을 갖는 사례가 있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맘 블로거들에 대한 기업 및 PR 전문가들이 더욱 많은 이해가 필요하며, 이에 따른 Blogger Relations 노하우가 구축되어야 한다.
3. 국내에서도 제품 구매력이 높은 와이프블로거들이 하나의 영향력 행사 그룹으로 거듭나면서 상기 사례와 같은 행사의 가능성 개최 가능성이 높으며, 관련 블로거들을 타겟으로 하는 제품을 생산 및 PR하는 국내 기업 및 PR 전문가들은 그들에 대한 스터디와 그에 따른 현명한 접근법이 필요로 한다.

마지막으로 흥미로운 것은 미국 마미 블로거들의 글들의 링크를 통해 조금씩 여행을 하다 보니 Kimchi Mamas라는 블로그를 찾게 되었습니다.  아마도 미국에서 생활하는 한국계 주부들의 팀블로그 성격의 블로그라 생각되는데, 이번 행사에서 눈에 뜨는 블로그로 링크 걸리는 것이 흥미롭기에 저도 링크 걸어 봅니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Hoh와 PR Professional들과의 인터뷰 링크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지난 2007년 6월까지 에델만 코리아의 사장으로 재직하던 김호 사장님이 요즘 팟캐스팅에 한창 열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한달만에 11개의 관련 포스팅을 하시는 모습에 놀라울 따름입니다. 주요 내용 중에 에델만 코리아 및 PR Agency에 관심 있는 분들에게 도움이 될 만한 인터뷰만 링크하여 정리해 보았습니다.

입맛에 맞게 함 들어보시죠.

2007/07/19
h_podcasting 04: Interview with Margaret Key - Friends, Changes, and a Bottle of Wine... (2)
=> 현재 에델만 코리아에서 수석 부사장으로 재직 중인 Margaret Key와의 인터뷰, 에델만 코리아 근황, 외국인으로 일할 수 있는 배경, 에이전시에서 일하고 있는 이유 등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2007/08/07
h_podcasting 10: "PR서비스 산업은 내 고향" - 정용민 부장님 인터뷰 (12) 
=> 현재 OB맥주에서 PR팀장으로 일하고 있는 정용민 부장과의 인터뷰, 인하우스에서 4년째 근무하고 있으나, PR 서비스 산업이 자신의 고향이라며 또 다른 출발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2007/08/10
h_podcasting 11: Interview with Bob Pickard (3)
=> 현재 에델만 코리아와 에델만 재팬을 총괄하는 에델만 북아시아 로버트 피카드와의 인터뷰, 한국PR산업의 미래, 북아메리카와 아시아권 PR의 차이, 한국과 일본의 PR 차이를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블로그 & 소셜네트워크 컨퍼런스 2007

사용자 삽입 이미지
어제 오후 PLUTOmedia에서 주최하는 블로그 & 소셜네트워크 컨퍼런스 2007 행사에 다녀왔습니다. 성장 추세에 있는 블로그와 마이스페이스, 페이스북과 같은 Social Network Media 관련하여 국내 전문가들의 발표가 8월 9일과 10일 양일간에 걸쳐 진행된 행사입니다.
 
지난 비즈니스 블로그 서밋 보다는 참가인원들이 많지 않았지만, 소셜 네트워크 미디어 분야를 접할 수 있는 좋은 행사라 생각되네요. 개인적으로 여럿 전문가분들의 발표 내용을 듣고 싶었는데, 제 발표만 달랑하고 온 것이 조금 아쉽네요.

8월 9일자 주요 발표 내용은 하단 crearti님과 legendre 님의 포스트를 참고하시구요.

블로그 & 소셜 네트워크 컨퍼런스 2007
블로그 & 소셜 네트워크 컨퍼런스 2007을 다녀왔습니다.

지난 비즈니스 블로그 서밋 발표자 중 한분이였던 알라딘커뮤니케이션의 김성동 팀장님께서 행사 관련 글을 남기셨네요.

무사히 [블로그 컨퍼런스]발표하다. 다행...

저의 발표 내용이 행사 참가자 분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그리고, 일일히 인사는 못 드렸지만, 반가웠습니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시간이 되면, 꼭 한번 포스팅하고 싶은 분의 블로그가 있었습니다. 제가 에델만 코리아 입사할 당시 저의 입사를 축하해주는 여러개의 웰컴 메일 중에 짧지만 특유의 포스(force)를 느끼게 하는 분이 있었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대우자동차에서 사회생활을 시작했었는데, 이메일 주신 분도 현대-기아자동차맨으로 캐리어 성장을 해오신지라 짧은 메일 속에 큰 관심을 보여주셨지요.

그분이 바로 2003년 7월부터 약 4년간 에델만 코리아의 회장으로서,  2004년 3월부터 약 3년간 현대종합상사 대표이사로 재직하셨던 전명헌 회장님이십니다.

수년동안 두 회사의 회장 및 대표이사를 겸임하셨던지라, 에델만 코리아에 상주하시지는 않았지만, 중요한 사내행사가 있으면 꼭 참석하시어 힘찬 악수로 자신의 젊음을 전달하시고, 특유의 열정적인 에너지에 찬 메시지와 분위기로 회사 직원들에게 긍정적인 롤 모델이 되어주셨던 분이죠. 몸과 마음이 정말 젊은 분입니다.

수개월전부터 전회장님이 블로그를 시작했다는 소식을 접하고, RSS 피드를 통해 구독하곤 했는데, 지난달 26일 에델만 북아시아의 대표인 Robert Pickard가 전회장님에게 그동안 감사하다는 내용의 이메일을 받았습니다. Thank you, Chairman Mark Juhn 그리고 전회장님은 사람은 떠나야 할때를 알아야 한다는 내용의 답장 메일이 전직원들에게 공유가 되었구요. 

지난 8월 2일자 전자신문에 전회장님의 블로그를 소개하는 기사가 올라왔네요. 60대 중반의 나이에도 불구하고, 지난 수십년 자동차회사, 종합상사에서 펼쳐온 자신의 스토리를 관련 사진과 함께 한국어와 영어로 병행하며 스스로 올리시는 모습을 보면 '자신의 일에 열정을 갖고 산다는 것이 이런 것이구나!'라는 긍정적인 생각을 갖게 되곤 합니다.

우리나라 자동차회사의 역사에 관심이 있으신분 중역(현재 퇴임을 하셨으나) 블로그 운영시 가이드라인을 잡고 싶으신 분들에게 도움이 되실 듯 하여 저의 짧은 생각과 기사 링크합니다. 전회장님 그동안 감사드리며, 건강하세요. 또 뵙겠습니다.

전명헌 회장님 블로그

[나의 홈피] 전명헌 전 현대종합상사 사장, 전자신문 - South Korea
지난달 26일 포스팅된 '에델만 회장직을 사임했습니다' 같은 경우 전 직원에게 보냈던 e메일을 그대로 실어 당시의 아쉬움을 그대로 느낄 수 있게 했다. 직원이나 지인들의 댓글에 일일이 단 코멘트는 블로그 관리에 꽤 많은 신경을 쓰고 있다는 뜻. 포스트 주제를 짧은 단어로 표현한 태그(Tag) 리스트로는 현대자동차 및 기아자동차의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