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단 포스트는 제가 작년까지 근무한 에델만 코리아, 캘리포니아 아몬드 협회 홍보를 담당하고 있는 팀으로부터 SOS를 받아 올리는 포스트입니다.

 

참고로 에델만코리아는 캘리포니아 아몬드 협회의 대외 홍보를 5년간 담당해오고 있는데요. 이번에 홈페이지를 개편하면서, 블로거들의 관심을 이끌어내기 위한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벤트 제목: ‘캘리포니아의 숨겨진 보물을 찾아라

이벤트 최종 우승자에게는 캘리포니아를 직접 방문할 기회도 준다고 하네요. 제 블로그 방문하시는 분들은 보통 PR, 마케팅, 브랜딩 차원에서 소셜 미디어 활용에 대한 관심이 많은 분들인데요. 이벤트 참여하는 방법이 어찌 보면 어렵지만, 어찌 보면 간단할 수 있으니, 많은 참여를 추천 드립니다.

 

하단 공지에서 보실 수 있듯이 25세에서 45세 블로그 운영자라면 누구나 참여 가능하고, 오는 6 7()까지 모집한다는군요. 응모방법은 자신의 블로그에 하루 한줌 아몬드 즐기기에 대한 글과 함께 30초 분량의 UCC를 만드는 것인데, 동영상 촬영 가능한 휴대폰으로 일상생활을 찍는 정도로 간단하게 포스팅 하면 된다고 합니다.

 

포스팅은 캘리포니아 아몬드 협회 이벤트 홈페이지에 해당 포스팅의 URL을 남기면 자동 응모되고, 자세한 사항은 캘리포니아 아몬드 협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고 하니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벌써부터 여름 휴가 계획을 짜고 계신 분들이 많을텐데요, 간단한 UCC 제작으로 캘리포니아에서 여름을 보내는 것은 어떨까요? 쥬니캡 블로그 구독자나 방문자 분들 중에 혹시라도 최종 우승자로 선정되신다면 캘리포니아 기념품은 필수입니다. J 건승!

 

, 이벤트 참여를 위한 링크는 요기 클릭!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작년 7 27 트위터 링크의 힘(쥬니캡 블로그 유입 경로 분석) 이라는 내용의 글을 블로그에 포스팅한 적이 있습니다. 내용의 요지는 당시 블로그 일평균 방문자 평균이 1,000명 정도인데, 트위터를 통해 블로그 글 링크를 공유하니, 방문자 수가 40% 정도 늘어나게 되었다. 그래서 트위터는 개인이나 기업이 갖고 있는 정보 컨텐츠를 널리 알리고, 블로그 방문자를 유입하는데 효과가 있다 이런 글이였는데요. 당시에 트위터 팔로우어 규모가 기억이 나진 않았지만, 1,000명 정도였다고 생각이 듭니다.

 

그런데 어제 실로 오랜만에 '트위터 RT를 이끌어내는 10가지 팁' 이라는 제목의 블로그 포스팅을 하고, 올린 글을 다시 살펴보니 트위터의 링크 공유 파워가 적어도 배는 되었다는 생각이 들어 간략하게 몇가지 이미지와 파인딩 포인트를 정리하여 공유함다.

 

솔직히 요즘 소셜 링크 설립 후 초기 비즈니스 프로세스 구축하고, 고객사 서비스와 외부 특강 등에 집중하느라 개인 블로그에 컨텐츠 업데이트에 소홀했습니다. 그래서 하루 방문자가 600~700명 정도 유지되었는데요. 관련 방문자 수치 정도가 유지된건 3.5년동안 블로그에 컨텐츠를 많이 업로드하고 외부 글에 링크된 덕분이라 생각됩니다.

 

여하튼 오늘 텍스트큐브 통계 자료로 살펴보니, 어제 트위터 RT를 이끌어내는 10가지 팁을 올리고 나니 평상시 방문의 3배 정도의 수치가 기록되어 있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주요 유입경로를 봐도 어제는 트위터를 통한 유입이 대다수를 차지했고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러한 방문자 효과를 낼 수 있었던건 철저히 트위터를 통해 제 블로그 내용을 공유했기 때문인데요. 트위터를 통해 공유한 링크의 클릭수와 RT 수를 분석해서 알려주는
http://bit.ly를 통해 살펴보면, 1.600여번의 정보 링크 클릭과 100여번의 RT가 있었음을 볼 수 있습니다. 페이스북을 통해서도 2번의 정보 공유가 있었는데, 그것은 제 페이스북 페이지와 소셜 링크 페이지를 통해 공유한 수치고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여하튼 블로그를 운영하는 많은 분들이 트위터도 함께 연계해서 많이 활용하시지만, 평상시 트위터를 통해 소셜 네트워킹 활동에 힘쓰신다면 상기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점을 보여드리기 위해 실제 수치들을 정리하여 공유함다! 도움되셨으면 함다! 건승!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요즘 기업 소셜 미디어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기업 소셜 미디어 전반에 걸친 대화 중에 트위터 RT(Re-tweet)에 대한 대화가 많아 나오곤 합니다. 그중에서도 어떻게 하면 트위터를 운영하면서, RT를 많이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문의가 있는데요. 그동안 개인적인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정리해서 공유함다.

 

먼저, 제 블로그 방문하시는 분들은 RT가 무엇인지 아시죠? 혹시라도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저희팀이 정리한 소셜 미디어 용어 정리에 포함된 내용으로 간단히 설명해 드리자면 하단과 같습니다.

 

Re-tweet or RT: 가치를 인정 받았거나 트위터 사용자 팔로워들에게 도움이 될만한 메세지를 가져다가 트위터 사용자의 트위터내에서 반복하는 행위(이메일을 회신하는 것과 같은 원리임)

RT의 효과에 대해 쉽게 그림으로 설명드리자면 하단과 같습니다.(출처: Ogilvy PR 360 Digital Influence 팀 자료)

사용자 삽입 이미지

 

RT의 개념을 조금 더 설명 드리자면, 이런 것입니다.

@junycap이라는 트위터 사용자가 트위터에 메시지를 올리면, 5,000 여명의 트위터 팔로우어들이 메시지를 접하는데, 해당 메시지가 맘에 든다고 생각하는 1/100 정도인 50여명 정도가 해당 메시지를 리트윗해주는 것이죠. 그런데 그 50명의 팔로우어들이 1,000명인 경우도 있고, 1만명이 넘어가는 경우도 있는데, 2차적으로 RT를 유도할 수 있게 되면 관련 메시지는 널리 아주 널리 퍼지게 되는 것입니다. 한마디로 소셜 네트워킹으로 피라미드처럼 효과를 이끌어낼 수 있는데, 이런 부분으로 인해 요즘 기업, 브랜드 및 정부조직에서 트위터 계정 오픈이 많아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 그럼 트위터 대화공간에서 어떻게 하면 RT를 많이 받을 수 있을까요? 요 글은 RT를 많이 받을 것이라 예상을 하고 글을 작성하기 시작했는데요. 그럼 그 팁 10개를 공유함다!

 

1. 트위터에 대해 트윗하세요!: 기본적으로 트위터 대화 공간에는 트위터 활용에 대해 궁금해하는 분들이 많슴다. 저는 트위터, 블로그, 페이스북 등 소셜 미디어 연관 관련 기사들을 모니터링하고, 저의 팔로우어들에게 도움이 될만한 뉴스나 블로거 글들의 글을 필터링해서 공유하는데요. 트위터에 대한 새로운 정보나 노하우를 전달하는 트윗 메시지는 RT가 당연히 많이 이루어집니다.

2.
따끈따끈한 뉴스 정보를 공유하라!: 아이패드와 같이 요즘 사람들의 관심을 많이 끄는 신제품이 런칭을 한다거나, 정치적 & 사회적으로 관심이 많을 수 밖에 없는 기사를 접했다면, 무조건 RT하시기 바랍니다. 트위터 사용자들은 새로운 정보를 빨리 전달하는 트위터 사용자를 선호하는데요. 아주 좋은 정보일수록 공유하는 사람이 많은지라, 조금만 늦어도 생각했던 것 만큼 RT를 못 이끌어내기 때문에, 좋은 정보일 경우 무조건 선빵을 날리심이 중요함다!


3.
유용한 정보 링크를 제공하라!: 트위터 공간에선 자신의 생각이나 의견을 다양하게 공유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본인이 이외수 작가와 같은 오프라인상에서 유명하지 않다면 혹은 트위터 공간에서 강한 개인 브랜딩을 구축하지 않았다면, 먼저 유용한 정보 링크를 활발하게 공유하는 활동을 많이 하셔야 합니다. 되도록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을 수 있는 특정 키워드를 꾸준하게 공유하셔야 합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블로그, 트위터, 페이스북, 스마트폰, 소셜 미디어, PR, 마케팅, 브랜딩, 기업의 사회적 책임, 사회적 기업 등 특정 키워드들을 1년 정도 공유를 해왔는데, 그런 과정 속에서 넓은 의미의 온라인 커뮤니티 대화의 일원으로 포지셔닝할 수 있었습니다.

4.
자신만의 노하우를 블로그에 정리하고, 공유하라!: 새로운 소셜 미디어는 항상 새롭게 활용하시는 분들이 생겨나는 법인데요. 트위터만 하더라도 처음 계정을 오픈하게 되면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 난감한 경우가 많습니다. How to 개념의 블로그 글은 블로고스피어에서도 많이 회자되지만, 그런 성격의 컨텐츠를 블로그에 많이 쌓아놓으면 나중에 해당 포스트를 접하신 분들이 추가 트윗을 해주고, 또 거듭 RT가 일어나는 것을 다수 목격하곤 합니다. 블로고스피어와 트위터스피어에서 강한 브랜딩을 구축하고 싶으시다면, 자신만이 갖고 있는 노하우를 알기 쉽게 사진 이미지도 추가해서 작성하고, 해당 링크를 공유하시면 짱임다!

5. 100
자 이내로 트윗 메시지를 정리하세요!: 트위터를 처음 하시는 분들이 가장 많이 모르시는 부분이 의외로 긴 URL을 줄이는 법을 모르시더군요. 트위터가 RT로 많이 회자되려면 전략적으로 100자 이내로 자신의 메시지를 줄여야 하는데 꼭 필요한 것이 http://bit.ly 혹은 http://tinyurl.com 과 같은 URL 줄여주는 서비스임다. 개인적으로는 트위터로 공유한 링크 클릭 수 및 RT 수를 한번에 보여주는 http://bit.ly 서비스를 많이 쓰는 편인데, 선호하는 서비스가 없다면 해당 서비스를 꼭 사용하셔서 전체 트윗 메시지를 100자 이내로 줄여서 공유하시고요.

6.
컨퍼런스나 행사에서 등장한 유명인물의 말 한마디를 요점만 전달하자!: 이런거죠. 지난 5 13 SBS가 주최한 서울 디지털 포럼에 영화 아바타로 유명한 제임스 카메룬이 참석해서 연설을 했는데, 행사장에 있다면, 그의 한마디 한마디를 요점만 간단히 정리하면, 그 메시지가 도움이 된다면 팔로우어들이 알아서 RT를 해주는 것이죠.

7.
아침 시간에 트윗하세요!: 구체적인 수치는 아니지만, 개인적으로 경험한 바에 따르면, 오후 시간대 보다는 오전 시간대에 공유된 메시지들의 RT 비율이 높습니다. 트위터 대화 공간에서 공유되는 메시지들은 상당히 휘발성이 강해서 하루가 지나서 공유되는 비율이 높지 않은데요. 그날의 주목 받는 트윗 메시지가 되기 위해선 오전에 공유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더욱 효과적이고요.

8.
평소에 다른 트위터 사용자의 메시지를 많이 RT하세요!: 2007년 당시 블로그가 많이 활성화되기 시작한 시점에서는 제가 작성하는 블로그 포스트 안에 다른 사람들의 글을 링크해줌으로써 서로의 존재를 인정해주곤 했는데요. 본인이 공유하는 메시지가 향후 RT가 많이 되길 희망하신다면, 다른 사람의 가치 있는 트위터 메시지를 평상시에 많이 RT해줌이 중요합니다. 쥬니캡 개인적으로 팔로잉 정책이 있다면, 제 글을 RT해주신 분들을 팔로우하고, 그분들의 글을 틈나는대로 RT해줌으로써 느슨하지만 우호적인 네트워킹을 유지하고자 노력합니다.

9.
강의 같은 것을 할 때 트위터 도움이 필요하다고 질문을 하세요!: 소셜 미디어 연관 특강을 할시 저는 소셜 네트워킹의 효과나 힘을 보여주기 위해 트위터에 질문을 많이 하곤 합니다. ‘트위터 활용에 있어 개인적으로 생각하시는 혜택은 무엇인지요?’ ‘OO기업 OOO 브랜드에 대한 여러분들의 평상시 인식은 어떠신가요?’ 등등의 질문을 하면, 답변을 해주시는 분들의 메시지를 통해 트위터 활용 이유에 대해 설명을 드리곤 합니다. 오고 가는 질문과 답변 속에 트윗 대화를 확대할 수가 있고요.

10. 직접적으로 RT
를 부탁하세요!: 마지막 팁은 많은 분들이 생각할 수 있는 아이템인데요. 자신이 작성하거나 알리고자 하는 메시지가 공익적이거나 심혈을 기울여 작성한 블로그 포스트이라고 생각되실땐 자신의 팔로우어 중에 어느 정도 영향력이 있는 지인들에게 RT를 부탁하여 자신의 메시지를 널리 알릴수가 있습니다. 다만, RT를 하게 되는 팔로우어 지인이 자신의 팔로우어 네트워크에 공유해도 될만한 메시지를 부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프로모션성 메시지만 주구장창 부탁하게 되면, 부탁을 받는 분들이 짜증을 낼 수 있기 때문이죠.

 

, 10개 정도 트위터 대화 공간에서 RT를 많이 받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제가 경험하지 못해 놓친 부분도 있을 것이라 생각하는데요. 다른 분들은 어떤 노하우가 있으신지, 좋은 팁 있으시면 공유 부탁드립니다. 건승! @junycap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지난주 금요일 오전에는 대한적십자 직원분들을 대상으로 소셜 미디어 특강을 2시간 진행하고 왔습니다. 소셜 미디어와 스마트폰을 처음 접하시는 분들을 위해 첫번째 한시간동안은 제가 평상시 민간기업, 정부조직, NGO쪽에 개념 설명할 때 사용하는 자료를 전달했고요. 두번째 한시간동안은 미국 적십자에서 내부 구성원들을 위해 소셜 미디어 트레이닝을 진행할 때 활용하는 자료를 국문화하여 중요 포인트만 전달을 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130년 가까운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미국 적십자는 대내외 커뮤니케이션 차원에서 정말로 다양한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미국 적십자 홈페이지 connect 페이지를 방문하면 현재 활용하고 있는 소셜 미디어 채널들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셜 미디어

제목

URL

블로그

미국 적십자 대표 블로그

http://blog.redcross.org

미국 내 지부 27개 블로그

http://blog.redcross.org/chapter-blogs/

Youth blog, 젊은 자원봉사자들을 위한 블로그

http://redcrossyouth.org/

온라인 뉴스룸

미국 적십자 활동을 객관적인 사실 정보 형태로 전달하는 뉴스룸

http://newsroom.redcross.org/

플리커

미국 적십자 공식 플리커

http://www.flickr.com/photos/americanredcross/

트위터

미국 적십자 대표 트위터

http://twitter.com/redcross

Safe & well 주제 트위터

http://twitter.com/safeandwell

Red Cross Racing 주제 트위터

http://twitter.com/RedCrossRacing

미국 내 지부 연관 114개 트위터

http://blog.redcross.org/twitter/

페이스북

미국 적십자 대표 페이지

http://www.facebook.com/redcross

 

미국 적십자 대표 그룹

http://www.facebook.com/group.php?gid=2204684866

 

미국 적십자 대표 cause

http://www.causes.com/causes/397?recruiter_id=1724669

유투브

미국 적십자 대표 유투브

http://www.youtube.com/amredcross

팟캐스트

미국 적십자 대표 팟캐스트

http://blog.redcross.org/category/podcast/

링크드인

미국 적십자 대표 링크드인

http://www.linkedin.com/static?key=groups_giving_arc

 

미국 적십자는 소셜 미디어와 NGO를 키워드로 하는 전문가들도 종종 왕왕 활용현황을 소개하는 곳으로서, 국내 NGO NPO 단체에서 대내외 커뮤니케이션 차원에서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고 싶다면, 미국 적십자 사례를 연구해보시길 추천하는 바입니다.

 

하단의 PDF 자료는 지난 금요일에 활용했던 자료이구요. 원본은 109페이지만, 80페이지 조금 넘는 분량으로 줄여서 한국어로 정리를 했습니다.

참고로 영문 원본 자료인 'American Red Cross Social Media Guidelines' 는 링크를 하오니, 관심있는 분들 추가 참고하시면 되고요.

해당 자료를 보시면, 미국 적십자에서는 총 12단계로 내부 구성원들에게 소셜 미디어 활용에 대한 개념과 전략 및 액션 아이템을 전하고 있는데요. 블로그, 트위터, 유투브, 플리커, 페이스북 등 5개 채널을 지역본부 혹은 세부 캠페인 주제를 알리고자 할 때 활용하라 추천하고 있습니다. 소셜 미디어 기획하는 법도 조금 도움되실 듯 하고요
.

 


추가적으로 Social Media Strategy Handbook를 방문하시면, 미국 적십자 본사가 만든 일종의 소셜 미디어 전략 활용 가이드북 및 가이드라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해당 자료는 미국 내 적십자 지역본부 등이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고자 할 때 참고할 수 있는 문서이고요. 첫번째 PDF자료는 실습도 하면서 배우는 트레이닝 자료라면, 두번째 자료는 웹상에서 문의사항이 있을때마다 활용할 수 있는 자료임다.

 

아무튼 한국 NGO & NPO 분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되셨으면 하는 마음으로 해당 자료 공유합니다. 건승! @junycap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2010 5 4 어제 오후 국내 기업 블로그 담당자 그룹에서 개최 진행했던 기업 소셜 미디어 오픈 세미나에서 주제 발표를 하고 왔습니다.

 

발표 주제는 기업 소셜 미디어 운영을 위한 이였고요. 발표 소주제는 지난주 금요일 트위터에 질문을 올리고 답변을 주셨던 @Kevin_yoonlee 님과 @nkimchi 님의 문의사항을 중심으로 엮어 보았습니다.

 

주제 발표의 핵심 페이지는 하단과 같고요.

l  소셜 테크놀로지(소셜 미디어) 활용에 성공하기 위해, 기업들은 자사 비즈니스 목표들에 맞추어 내부 구성원들의 역할, 프로세스, 정책 이해관계자들 조정해야 한다.

l  소셜 미디어를 기반으로 하는 비즈니스 전개는 조직 모든 부서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근본적인 변화관리이다.

 

그동안 제가 발표해온 내용과 다른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그간에 나온 국내 기사들 그리고, 글로벌 PR회사 에델만 소속 소셜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David Armano 소셜 비즈니스 컨설팅 회사 Altimeter Group Jeremiah Owayang  외국 전문가들이 공유해온 자료들 기업 소셜 미디어 담당자분들에게 도움이 될만한 내용들을 중심으로 재구성했습니다.

자료 제목

정보 제공자

관련 URL

국내 트위터 사용자 증가 추이

코리아와이즈넛 버즈인사이트 사업 부문

 

이 회장 복귀에 삼성 사내게시판 `환영' 물결

연합뉴스, 2010 3 24일자

 

http://bit.ly/aZTYWx

[리서치] 3 1곳 “소셜 미디어 담당 운용”

The PR, 2010 4 27일자

 

http://bit.ly/cu6iMW

 

Framework and Matrix: The Five Ways Companies Organize for Social Business

Jeremiah  Owyang

 

http://bit.ly/deUQLT

 

Social Business Planning: Aligning Internal With External

David Armano

 

http://bit.ly/d2m7ZY

 

Social Strategy: Getting your company ready

Jeremiah  Owyang

 

http://bit.ly/9xrhWK

 


20분이라는 짧은 시간에 준비한 내용들을 전달하는데 다소 부족함이 있었지만, 하단에 공유해 드리는 내용을 통해 기업 소셜 미디어 채널 운영 커뮤니케이션 활동 전개에 관심 있으신 분들에게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건승!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