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Results for '2010/03'

3 posts

  1. 2010/03/25 직장인들을 위한 소셜 미디어 및 스마트폰 활용팁 by 쥬니캡 (1)
  2. 2010/03/16 2010 코리아 소셜 미디어 서밋에 발표자로 참가함다! by 쥬니캡 (2)
  3. 2010/03/15 소셜 링크 미디어 커버리지 리스트 by 쥬니캡 (4)

하단의 글은 주간지에 기고했다가, 기고글의 방향이 달라 매체에는 실리지 않은 글인데요. 쥬니캡 블로그 독자들에게 도움이 되실 듯 하여 올려봅니다. 활용팀이 5개 정도인데, 나중에 조금 더 경험을 확대해서 추가 팁 정리하여 공유해보겠슴다!

사례1:
비즈니스맨들을 위한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인 링크드인을 통해 영국 헤드헌터가 중국 디지털 PR 에이전시에서 일할 수 있는 PR 전문가를 찾고 있다며, 한국에 있는 PR전문가에게 이직 의향이 있는지 질문을 해온다.

 

사례2:섬여행에 대한 고객들의 니즈를 파악하고자, 10가지의 질문을 엑셀로 리스트화하여 구글문서에 올리고, 해당 사항들을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인 트위터를 공유한다. 그리고 한시간 만에 50여명의 참가자들의 답변을 통해 기획안의 방향을 잡는다.

 

상기 두 가지 사례는 필자가 블로그, 트위터, 페이스북, 링크드인, 유투브, 플리커, 구글문서 등 소셜 네트워킹이 가능한 소셜 미디어들을 활용하면서 실제적으로 겪은 사례들이다. 소셜 미디어는 사람들의 의견, 주장, 인사이트, 견해 등을 공유할 수 있는 미디어들을 의미하며, 사람 중심의 웹2.0 기반으로 등장했고, 스마트 폰 사용이 많아짐에 따라 앞으로 더욱 활성화될 새로운 미디어 영역이라 이해하면 된다.

 

소셜 미디어와 스마트폰을 활용하면 어떤 혜택을 가져갈 수 있을까? 요즘 사람들은 새로운 사람들과 관계 구축(다른 말로 소셜 네트워킹)을 하고자 할 때 웹 검색을 주로 이용하며, 그들의 웹 검색 목적을 간략하게 세가지만 예를 들자면 다음과 같다.

      기업이나 헤드헌터들은 채용을 결정하기 전에 후보자에 대해 웹 검색을 한다

      새로운 사실을 알고자 할 때 사람들은 업계에서 인정받은 전문가의 콘텐츠를 구독한다.

      비즈니스 파트너들은 사업 파트너를 찾기 위해 웹에서 정보를 찾는다.

 

세가지 내용으로 정리했지만, 소셜 미디어와 스마트폰을 통해 평상시 소셜 네트워킹에 힘쓴 사용자들은 경쟁 그룹들 보다 다양한 비즈니스 기회를 취할 수 있다. 실제적으로 블로그와 트위터 운영을 잘하여, 다른 직장으로 좋은 조건에 옮겨가는 사례는 자주 발견되고 있다. 시대의 변화에 맞는 인재가 되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 할까? 5가지 팁을 공유하고자 한다.

 

소셜 미디어 프로필을 만들고, 활용에 익숙해지자: 블로그는 개인 브랜딩을 위한 플랫폼이며, 트위터는 개인 컨텐츠를 널리 알리고, 사람들과 관계 구축에 있어 탁월한 미디어이다. 유투브와 플리커는 각각 동영상과 사진이라는 멀티미디어를 공유할 수 있는 컨텐츠이며, 싸이월드, 페이스북, 링크드인 등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들은 사람들과 네트워크를 확대하고 비즈니스 기회를 도모할 수 있다. 자신이 속한 업계 지인들이 가장 많이 활용하는 미디어를 조사하고, 각 미디어별 프로필을 마련하여 활용에 들어가보자.

 

RSS 리더 기능을 통해 업계의 키워드에 익숙해지자: 소셜 미디어를 전략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정보 모니터링활동이 중요하다. RSS Really Simple Syndication의 줄임말로서 블로그에 방문할 시 볼 수 있는 주황색 아이콘을 클릭하면 제공되는 특정 URL이라 할 수 있는데, 자신이 선호하는 블로그, 뉴스 기사, 온라인 커뮤니티 사이트, 트위터 등을 한RSS 리더 및 구글 리더기를 통해 구독하여 업계의 트렌드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영어가 가능하다면 외국 블로거들의 글도 구독하여 소화하고 자신만의 멋진 글을 블로그를 통해 꾸준히 공유하다 보면, 어느 순간 업계에서 주목 받는 블로거로 성장해 있을 것이다.

 

블로그와 트위터는 꼭 활용하자: 앞서 언급했지만, 블로그는 개인 브랜딩을 위한 플랫폼이며, 트위터는 나의 컨텐츠를 널리 알릴 수 있는 컨텐츠 배포 채널로도 이해할 수 있다. 요즘 사람들은 자신이 선호하는 글의 제목과 함께 해당 URL을 트위터를 통해 공유하는 방식으로 컨텐츠를 공유하는데, 자신의 블로그와 트위터를 많이 노출하면 할수록 개인 브랜딩이 강화되고, 생각지 못한 비즈니스 기회를 얻게 될 것이다. 블로그와 트위터를 통한 컨텐츠 공유는 본인 중심의 내용이 아닌 사람들에게 혜택을 줄만한 내용을 중심이 되어야 한다.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집단 지성을 추구하자: 소셜 미디어는 절대 매스 마켓 중심의 미디어가 아니다. 대신 특정 주제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과 소셜 네트워킹이 가능한 니치 마켓을 만들어갈 수 있는 미디어라 생각해야 한다. 블로그, 구글문서, 트위터 등 소셜 미디어를 연계 활용하여 사회적 문제를 개선하거나, 자신의 업무상 확인이 필요한 사항들을 자신의 네트워크에 질문하고, 그들의 인사이트를 반영하는 노력을 기울여보자. 그런 과정 속에서 소셜 미디어 활용의 혜택을 몸소 체험하게 될 것이다.

 

스마트폰을 활용하자: 앞서 언급한 소셜 미디어를 통한 컨텐츠 생산, 소비 및 유통 그리고 사람들과의 네트워팅은 스마트폰 활용을 통해 실시간으로 보다 빠르게 진행할 수 있다. 소셜 미디어 채널을 구축하고, 활용에 익숙해졌다면, 스마트 폰을 연계하여 자신의 컨텐츠 배포 네트워크와 소셜 네트워크를 확대해보자.

 

물론 종사하는 업계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소셜 미디어와 스마트폰은 직장인들의 커뮤니케이션 환경에 있어 큰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소셜 네트워크를 통한 집단지성이 중요해지는 시기에 개인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소셜 미디어와 스마트폰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 아이템이 될 것이라 예상된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오는 3 19일 에델만 코리아가 주최하는 '소셜 미디어의 미래: 소통을 통한 기업의 관계 형성'이라는 주제의 2010 코리아 소셜 미디어 서밋 행사 주요 발표자 중 한명으로 참가합니다. 제 발표 주제는 국내 기업의 소셜 미디어 진화: 2010년을 이끄는 5가지 트렌드인데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게 부여된 시간은 전체 30분(20분 발표 10 Q&A)인데요. 외부 주제 발표하신 분들은 이해하시겠지만, 발표라는게 1시간 정도는 해야 하고 싶은 말을 전달할 수 있는데, 20분이라는 짧은 시간에 생각하는 바를 전달한다는게 매우 힘들더라고요. 아직 제가 내공이 부족해서인지는 몰라도, 발표자로서 욕심을 버려야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26페이지 정도 1차 드래프트 내용을 좀 줄어야겠네요.

 

국내 기업 소셜 미디어 진화라는 주제로 업계 전문가분들과 논의를 하면 여러가지 키워드들이 등장하겠지만, 개인적으로 정리한 5가지 키워드는 하단과 같습니다:

Social CRM, Micro Blog, Mobile Social Networking, Online Issue Response, Corporate Social Media Guideline

 

각 키워드별로 대략적으로 설명 드리자면,

1.     Social CRM: 요즘 해외 소셜 미디어 및 소셜 비즈니스 전문가들의 글이나 뉴스 보도를 보면 새롭게 부각되는 단어가 Social CRM입니다. 기존의 콜센터 중심의 CRM 서비스로는 새롭게 변화된 소셜 미디어 시대에 고객 만족을 이끌어낼 수 없기 때문에, CRM과 소셜 미디어 그리고 스마트폰의 접목이 필요하다 모 이런 내용이고요. 사례로 델 컴퓨터의 IdeaStrom 내용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아직 한국엔 외부적으로 공유된 사례는 없지만, 조만간 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요.

2.     Micro Blog: 쉽게 트위터와 미투데이에 대한 이야기인데, 매우 기본적인 사항을 전하고자 합니다. 국내 미두테이, 트위터 사용자 증가, 기업 및 유명인들의 트위터 활용 현황 등을 간략하게 이야기하고요.

3.     Mobile Social Networking: 올해 스마트폰의 보급 확대로 인해, 기존에 컴퓨터로만 이루어졌던 소셜 네트워킹 활동이 모바일로 확대되었는데요. 그런 포인트들을 전달하고, 2번 키워드와 연계해서 트위터와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한 소셜 네트워킹 전략 간략히 전하고자 합니다.

4.     Online Issue Response: 소셜 미디어와 스마트폰의 확대로 일반 사용자들에 의한 온라인 이슈 메이킹 빈도도 높아지고, 그들의 커뮤니케이션 역량 또한 강화되고 있는데요. 기업이 스마트하게 이슈 대응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토콜과 블로그와 트위터를 기반으로 한 LG전자의 드럼 세탁기 안전 캠페인 사례를 간략히 소개하고자 합니다.

5.     Corporate Social Media Guideline: 해외 글로벌 기업들에 비해 우리나라 기업들의 취약점이 소셜 미디어를 어떻게 바라봐야 하고, 내부 구성원들은 어떻게 활용해야 한다라는 운영 정책 및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있지 못한 점인데요. 소셜 미디어 운영 정책 및 가이드라인은 무엇이며 왜 필요한지 도미노피자 사례를 기반으로 설명하고자 합니다.

 

시작은 좀 큰 개념인 Social CRM으로 시작하고, 마무리는 Social Link에서 밀고 있는 Social Media Engagement 개념 설명으로 마무리할 예정인데요. 짧은 시간에 전달해야 하는지라, 아마도 각 키워드별로 잠깐씩 치고 빠지는 성격으로 메시지를 전할 듯 합니다.

 

발표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참고한 자료들 리스트는 하단과 같습니다.

자료 제목

정보 제공자

참고 URL

2008년 언론 수용자 의식조사

한국언론진흥재단

http://bit.ly/avTRQn

Edelman Trust Barometer

Edelman

http://bit.ly/92AzfR

Online Communities: Conversations that Drive Results

Reside

http://bit.ly/apstdI

Social CRM - Functional Architecture and Interactions Flow

Fabio Cipriani

http://bit.ly/dyfAVh

Twitter Communications Strategy

Junycap

http://bit.ly/52V7SI

어린이 안전을 위한 드럼 세탁기 안전 캠페인

LG전자 기업 블로그

http://blog.lge.com/325

소셜 미디어로 위기 대응시 잊지 말아야 할 것 10가지

미도리 정

http://www.midorisweb.com/663

미국 공군으로부터 한수 배우는 블로고스피어 대화 참여하는 법

junycap

http://junycap.com/466

소셜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가이드라인 만들기

junycap

http://junycap.com/494

 

발표자료는 3 18일 밤에 저희 회사 블로그와 쥬니캡 개인 블로그로 공유할까 합니다. 요즘 잠재 및 현재 고객사분들을 만나면, 이번 에델만 주최 행사에 대해 많이들 언급해 주시는데요. 혹시라도 아직 몰랐는데, 관심 있으신 분들은 에델만 디지털팀의 행사 공지 포스트, 참가등록 페이지를 참고하시면 되고요. 행사 관련 문의는 rsvp.korea@edelman.com 으로 하시면 된답니다.! 주요 발표자분들이 블로그 및 소셜 미디어 운영 경험이 많으신 분들인지라, 짧은 시간에 발표자분들의 노하우를 습득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문성실님, 양대표님, 조매니저님 간만에 뵙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이번 행사 진행을 위해 에델만 뉴욕에서 날라온 스티브 루벨(Steve Rubel)과의 기념 사진을 공유함다. 에델만 디지털 팀 블로그 에델만 뉴욕 본사 디지털PR의 에반젤리스트 스티브루벨을 소개합니다라는 글에 잘 소개되어 있지만, 스티브는 뉴욕 오피스의 디지털 PR 부문 수석 부사장이고요. 2006년 당시 중소기업 규모의 PR회사에 근무하던 스티브는 활발한 블로깅 활동으로 영어권 PR & 마케팅 분야 리더로 포지셔닝했고, 리차드 에델만 회장이 직접 스카우트트 전화를 해서 영입을 했다는 스토리는 에델만 내에서도 유명했고요. 트레이닝 진행을 위해 뉴욕에서 시카고로 달려왔는데, 시카고 직원들의 스티브에 대한 환영이 대단했던 것으로 기억이 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스티브 루벨은 자신의 블로그 및 소셜 미디어 채널을 통해 다양한 인사이트를 공유해주는데요. 상기 사진은 2008 2월 제가 시카고에 소셜 미디어 트레이닝을 받으러 가서, 그의 주제 발표 후 함께 찍은 사진입니다. 다시 살펴보니 대단히 피곤해보이네요. 어찌나 트레이닝 일정의 강도가 세던지. ㅎㅎ

2008
5월 한국과 일본 시장에 방문해서 행사를 진행할 수 있는 가능성을 논의했는데, 2년이 지난 시점에서 이제 진행이 되네요.
아무튼 쥬니캡 상기 행사에 참석하고요. 그동안 트위터와 블로그를 통해서 뵈었던 분들은 행사장에서 반갑게 인사나누겠습니다. 건승! @junycap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소셜 링크 미디어 커버리지 리스트

2010년 1월 소셜 링크를 설립하고 요즘 너무나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습니다. 그래서 개인 블로그 운영도 갈수록 소홀해지고 있는데요. 이점 반성하고 점심시간을 줄여서라도 블로그 컨텐츠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해보고자 합니다.

 

요즘 회사 차원에서 보다 자신감을 갖게 되는 포인트가 있습니다. 그것은 언론매체와 기업, 정부 조직에서 소셜 미디어와 스마트 폰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는 점인데요.


그래서 정리해봤습니다. 지금 포탈 뉴스 검색으로 리스트를 해보니 2010 1월 이후, 14개의 기사(칼럼 혹은 전문가 코멘트)에 소셜 링크 내용이 커버되었네요. 각 기사별 간략하게 내용을 정리했사오니, 관심 분야에 따라 링크를 통해 추가 내용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기업의 '소셜미디어 소통법' 논의 아이뉴스24 [IT/과학] 2010.03.09: 오는 3 19일 에델만 코리아 주최 소셜 미디어 서밋에서 발표자로 나선다는 내용

 

공룡 KT 트위터에 맞춰 춤춘다 이코노미스트 [칼럼] 2010.03.08: 기업이 비즈니스 트위터 운영을 고려할시 참고할만한 간단한 팁 제공

 

기업 트위터전략 성공하려면... “고객에게 당당해라” 디지털데일리 [IT/과학] 2010.03.03: 트위터는 기본적으로 고객 서비스(CS) 성격을 갖춰야 하는 커뮤니케이션 채널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준비가 필요하다

 

스마트폰 트위터 피싱 ‘적색경보’ 전자신문 [] 2010.02.25: 스마트폰을 통한 피싱 피해사례가 많아지고 있는지라 의심스러운 메시지에 대해선 조심해야 한다

 

소셜 미디어 시대에서 살아남기 위한 필수조건 5가지 이코노믹리뷰 [경제] 2010.02.23: 소셜 미디어와 스마트폰으로 급변하는 커뮤니케이션 시대에 발맞추어 나가기 위한 노력

자가진단 테스트를 위한 질문 리스트 (V자로 체크) 이코노믹리뷰 [경제] 2010.02.23 오후 15:50

평균지수 미달하면 3 당신은 퇴출 이코노믹리뷰 [경제] 2010.02.23 오후 15:45

 

기업 마케팅, 트위터를 잡아라 ZDNet Korea [IT/과학] 2010.02.17 오후 12:30: 트위터 등 SNS를 활용한 마케팅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지자체 옮겨붙은 `스마트폰 열풍` 전자신문 [IT/과학] 2010.02.16 오전 08:24: 강남구청 주최 소셜 미디어와 스마트폰 강좌에 참여함

 

모바일 `개인방송시대` 성큼 전자신문 [IT/과학] 2010.01.29 오전 08:12: 스마트폰과 웹을 활용한 개인 방송 사례로 소개

 

기업 CEO 위한 트위터 활용 기업앤미디어 2010.01.25 : 기업 CEO가 비즈니스 트위터를 오픈하고 운영할시 참고할 만한 팁

 

[O2/집중분석]성형으로 김남주와 실패한 강혜정 동아일보 '뉴스일반'| 2010.01.16 14:49: 개인 및 기업 경영에 있어 소셜 미디어 시대에는 투명성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플루토미디어, '트위터&SNS' 컨퍼런스 개최 머니투데이 [IT/과학] 2010.01.14 오후 16:54: 행사 발표자 중 하나로 참여

 

[디지털세상] 소셜 미디어의 키워드 `소통` 디지털타임스 [칼럼] 2010.01.13 오전 08:30: 소셜 미디어 시대에 대화라는 키워드는 중요하다는 요지로 기고


이건 번외의 이야기지만, 가끔 저희 어머니가 제 이름으로 키워드 검색을 하시는데요. 상기 리스트 3번째 디지털 데일리 인터뷰 기사에 나온 제 사진을 보고, 너무 바쁘게만 지내지 말고 건강도 챙기라는 말씀을 주시네요. 제 와이프도 너무 바쁘게만 살지 말라 이야기해주곤 하는데. ㅎㅎ 다음달에 쥬니캡의 쥬니어의 출산이 예정된지라, 가족들의 충고도 귀담아 들어야겠다는 생각임다.


, 앞으로 소셜 링크의 성장에 대한 많은 기대와 격려 부탁드립니다. 열심히 승승장구 건승하겠습니다. @junycap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