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월에 진행된 KT경제경영연구소와의 인터뷰 내용이 디지에코에 개재되었다는 이메일을 접하고 관련 내용 간략하게 소개합니다. 먼저, 인터뷰 촬영 및 편집 등에 힘써주신 김과장님에게 감사드리고요.

 

관련 홈페이지 소개에 따르면 에코(DIGIECO) 디지털 생태계(Digital Ecosystem)을 의미하는 합성어로 KT경제경영연구소에서 디지털 생태계 조성을 위해 마련한 일종의 지식공유 포털 사이트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관련 사이트에서는 IT 산업 관련 다양한 리포트 및 전문가 의견들이 공유되기 때문에, 관심있는 분들은 회원가입하고, 뉴스레터를 구독하심이 좋을 듯 하고요.

 

개인적으로 지난 3월 중순에 디지에코에 RSS 피드를 등록하기 시작했고, 좋은 기회로 전문가 대담이라는 동영상 인터뷰 코너에 소셜 미디어 마케팅을 주제로 저의 개인적인 생각과 목소리가 소개되었습니다. 주요 동영상 내용은 하단과 같고, 동영상에서 소개하는 소셜 미디어 마케팅 사례는 국내가 아닌 글로벌 사례라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동영상 주요 내용>

ㅇ 자기소개 & 블로그소개

ㅇ 소셜 미디어가 마케팅 도구로 각광받는 이유

ㅇ 소셜 미디어의 종류와 활용의 예

ㅇ 현재 소셜 미디어 마케팅의 문제점 또는 개선점

ㅇ 소셜 미디어 마케팅의 성공요소

 

무뚝뚝한 표정에 별로 재미없게 이야기를 전개하지만, 관심 있는 분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 되셨으면 합니다. 건승!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오랜만에 에델만 디지털 팀 블로그에 새로운 포스트가 업로드되어, 간단하게 추천 소개 포스팅합니다.

관련 포스트는 지난 2009년 5월 에델만 디지털 PR 본사팀에서 발표한 검색 엔진 가시화(Search Engine Visibility) 전략이라는 영문 리포트를 저희 든든한 팀원 중 한명인
레나 워드 5페이지 정도로 중요한 내용을 발췌하여 정리한 내용들이고요.

관련 리포트가 구글이 메인 플레이어로 활동하는 영어권 현황이긴 하지만, 그 트렌드나 커뮤니케이션 전략 방향은 충분히 의미가 크다 생각합니다.

보통 검색 엔진 관련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생각하면, 검색엔진최적화(Search Engine Optimation), 검색엔진마케팅(Search Engine Marketing) 활동을 생각하게 되는데, 관련 리포트에는 기업 커뮤니케이션 활동과 관련하여 Reputational Search Social Search라는 새로운 개념의 검색 결과 가시성 확보 노력에 대한 내용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Steve Rubel은 상기 언급한 새로운 개념의 검색 연관 커뮤니케이션 활동에 대한 PR전문가들이 보다 많은 주목을 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는데요
.

레퓨테이셔널 검색: 사람들의 검색 심리를 PR 커뮤니케이션 전략으로 활용하여, 해당 키워드와 관련한 검색 결과에 영향을 끼치는 검색 전략 방향

 소셜 검색: ‘검색’과 ‘소셜 미디어’를 결합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으로 최근 구글 등 인터넷 사이트들이 플릭커(Flickr), 블로그, 트위터(Twitter) 등의 소셜 컨텐츠(Social contents)를 중요시하는 추세에 따라, 기업들의 소셜 네트워크 참여가 필수화되었고 이런 검색 환경 변화를 반영한 검색 전략 방향

 

개인적으로 검색엔진최적화나 검색엔진마케팅 차원의 내용들을 이해하기 위해 관련 주제 전문 블로거인 zinicap님의 블로그 내용을 구독하고 있는데요. 매번 이해하기는 힘들더군요. 그런데, 상기 Reputational Search Social Search라는 분야는 아무래도 PR 전문가들이 개념적으로나 비즈니스 차원에서 접근하기가 보다 용이한 개념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검색 결과를 장악하는 자만이, 개인 브랜딩을 강화하고, 온라인 입소문의 볼륨을 키울 수 있다고 평상시 즐겨 전달하곤 하는데요. 일반적인 광고 보다는 적은 예산이지만, 그래도 일정 금액을 투자하여 진행하는 SEOSEM과 함께 기업들은 이제 Reputatioinal Search Social Search 분야에도 관심을 갖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새로운 두 분야에 있어 비즈니스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물론 소셜 미디어에 대한 이해도가 더욱 필요하겠죠.

 

레나 대리가 작성한 해당 포스트에 방문하시면, 관련 영문 리포트와 레나 대리가 정리한 내용을 함께 접하실 수 있습니다. 도움들 되셨으면 합니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