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Results for '2009/02/26'

2 posts

  1. 2009/02/26 블로그얌, 2008년 대한민국 블로그 백서 발표 by 쥬니캡 (6)
  2. 2009/02/26 국비지원 교육 프로그램으로 자신을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기회! by 쥬니캡 (4)

오늘 블로그얌박성건 이사님으로부터 국내 블로고스피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좋은 자료를 받았습니다. 관련 조사는 네이버, 다음, 이글루스, 조선닷컴 블로그, 조인스닷컴 블로그, 디스토리 서비스 블로그를 대상으로 진행되었고, 관련 서비스별 블로고스피어 주요 대화 키워드를 통해 사회적 이슈를 분석했다고 하네요.

설치형 블로그와 기타 블로그 서비스를 포함하고 있지 못한점에 아쉽기는 하지만, 나름 한국 블로고스피어의 흐름을 파악하기에 도움이 큰 듯 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8 대한민국 블로그 백서]

주요 목차는

1.     블로거 이용자의 나이 및 성별

2.     블로그 운영 경향 분석

3.     블로그 커뮤니케이션 경향 분석

4.     포스트를 통한 블로그 운영 경향 분석

5.     포스트를 통한 블로그 내용 경향 분석

6.     18대 국회위원 블로그 가치평가

7.     정부부처, 공공기관 블로그 가치 평가

8.     특집 인터뷰 에델만 디지털PR 부문 수석 부사장 스티브 루벨 인터뷰

 

관련 리포트의 1번에서 5번 주제의 주요 내용을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       현재 대한민국 블로거의 나이는 10대가 54%, 20대가 32%, 30대가 11%, 40대가 2%를 차지하고 있어 10대의 블로그 비중이 가장 높다

-       블로거의 남녀비율은 여성이 58%, 남성이 42%로 여성이 블로그를 더 많이 운영하고 있다.

-       국내 블로거들은 포스팅 중에 이미지를 많이 활용한다. 텍스트만 들어간 포스트는 22% 비중이다.

-       각 블로거 서비스별 태그분석을 통해 살펴보면, 각 서비스별 사용자들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인스닷컴은 시사적인 주제가 다른 서비스에 비해 많이 눈에 뜨이며, 티스토리는 블로그 자체에 대한 글이 많다.

 

6번 주제를 살펴보면 18대 국회위원으로는 56명이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고요. 거의 90%가 네이버 중심의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중 27명은 블로그를 개설하고, 개점 휴업상태이며, 국회위원이 직접 블로그를 챙기고 있는 것인지 아니면 보좌관 그룹들이 고스트 블로깅으로 지원하는 것인지는 추가적인 내용 분석이 필요하다 생각이 듭니다. 여하튼 많은 국회위원분들이 블로그를 활용하고 있답니다.

 

7번 주제를 살펴보면, 예전에 블로그얌에서 분석하셨던 내용인데, 주요 정부부처 및 공공기관 블로그의 가치평가를 하여 리스트로 공유했습니다. 조사에 따르면 47개의 관련 블로그들이 운영되고 있는데요. 포스트, 댓글, 트랙백의 수치에 따라 블로그 가치를 측정했을 때 한국원자력문화재단이 1위를 차지했다고 합니다. 나중에 시간이 되면, 한국원자력문화재단이 1위에 걸맞게 운영을 하고 계신지 리뷰를 함 해봐야겠네요.

 

마지막 칼럼으로는 저희 회사 뉴욕 오피스에서 디지털 PR부문 수석 부사장으로 근무하고 있는 스티브 루벨(Steve Rubel)과의 서면 인터뷰 내용이 게재되어 있습니다. 관련 인터뷰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저는 이메일에 cc가 되어 있어서 미리 내용을 접할 수가 있었는데요. 국내PR주제 전문 블로거들에게 도움이 될 내용들이 좀 있습니다.

more..


오른쪽 페이지(http://www.blogyam.co.kr/main.asp?chk=9)를 방문하시면 기존 10개의 리포트도 다운 받으실 수 있고, 최신 리포트는 하단 링크에서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국내 블로고스피어 현황에 대해 관심 있으신 분들께 관련 리포트를 추천합니다.

상기 포스트가 도움이 되셨다면, 쥬니캡 블로그를 구독하세요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뉴 미디어(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커뮤니케이션 활동에 관심이 많은 분들에게 도움이 될만한 소식을 간략하게 정리해서 올려보려고 합니다. 관련 글은 미디컴의 찰이님이 올리신 위기를 기회로 취업창업 프로그램 소개 - KBI 뉴미디어 스쿨 포스트를 통해 알게 되었고요.

 

뉴 미디어 스쿨이라 칭해진 관련 교육과정은 한국방송산업진흥원에서 진행하고 있으며, 창업희망자, 취업희망자, 뉴미디어 현업재직자 대상으로 진행이 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l  가장 매력적인 부분은 이 프로그램의 경우 전액 국비지원이라는 점입니다.
l  교육시설의 내용이 다양하게 구비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l  상기 3가지 과정별로 조금씩 다르긴 하지만, 뉴 미디어 인재로서 거듭날 수 있도록 커리큘럼이 매우 다양하네요. 다만 소셜 미디어와 연관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부분은 명확하게 포함이 안된듯 보이지만, 그래도 탄탄하네요.

 

국내에서 소셜 미디어 연관 교육과정이 많지 않기 때문에 상기 교육과정을 수료하게 되면 여러가지로 도움이 클 듯 하여, 짧게 정리하여 추천합니다. 보다 다양한 정보는 KBI 뉴미디어 스쿨 홈페이지 정보를 참고하시면 되고요.

 

저희 회사에서 함께 근무하고 있는 코난의 Career를 갖는다는 것 이라는 포스트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알게 되었지만, KBI 뉴미디어 스쿨과 같은 프로그램은 기획재정부와 8 부처가 야심차게 추진하고 있는 미래산업 청년리더 10만양성 프로젝트 의 일환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이라 합니다.


미래산업 청년리더 양성 프로젝트 8 정부부 처에서 녹색산업(신재생에너지 연구개발 외) ▲정보통신, 융합산업(지식정보보안산업리더 외) ▲문화컨텐츠 산업(문화 컨텐츠 융합 외) ▲첨단의료(국제마케팅 외) ▲첨단산업(로봇연구 개발 외) ▲지식기반서비스(금융, 디자인 외) 6개 미래산업 분야 45 영역으로 진행되고 있고, 전체 사업에 대해 내용은 관련 온라인 플랫폼인 www.gofuture.go.kr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각 정부 부처별로 추진하고 있는 핵심사업별 미래 리더를 확보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들인지라 저소득층의 경우 훈련참가실비(교통비, 식비), 교육비 일부 또는 전부를 지원하고, 일부 사업은 소득에 관계없이 개인에 대해 직접 교육 ·훈련비(창업비용, 인턴쉽 참가비, 해외 연수비) 일부 또는 전부를 지원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교육내용의 경우 이론/실무교육, 학위과정도 진행되고 있고, 45개 사업별로 지원내용에 차이가 있으니 관심 있는 분야에 대한 구체적인 지원내용 또한, 해당 홈페이지
에서 확인하실 필요가 있겠습니다.

 

학부에서의 전공 및 현업에서의 쌓아온 전문성을 고려하여 자신의 캐리어를 보다 전문적으로 업그레이드하고자 하는 분들에게 도움이 클 듯 하네요. 물산업 프로젝트 매니저, 융복합형 로봇 전문인력, 생태독성 및 위해성평가 전문인력 등 커뮤니케이션 분야에 종사하는 저로서는 매우 생소한 부분들도 많고, 이미 마감된 분야들도 있지만, 자신의 관심사항에 맞게 사이트를 잘 살펴보시면 좋을 듯 합니다.

 

그럼 도움되시길요! 

 

미래를디자인하라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