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Results for '2009/04/13'

2 posts

  1. 2009/04/13 소셜 미디어 전문가 David Armano의 새로운 출발 by 쥬니캡 (2)
  2. 2009/04/13 검색엔진최적화 개념 설명 자료 by 쥬니캡 (11)

오늘 Advertising Age를 살펴보니 David Armano가 옴니콤 계열의 디지털 에이전시인 Critical Mass를 떠나, Dachis Corporation에 합류한다고 하는데, 흥미로운 점이 몇가지 있어 포스팅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먼저 David Armano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드리자면, Logic + Emotion Blog를 운영하고 있으며, 비즈니스, 디자인, 소셜 엔터프라이즈, 소셜 미디어 등 텍스트로 이해하기 힘든 사항들을 자신의 인사이트와 함께 비쥬얼로 쉽게 설명해주는 Social Media Guru라 할 수 있습니다.

제가 즐겨 구독하는 블로거 중에 한명으로, Ad Age 선정 150명의 영향력 블로거들 중 13번째 미디어 & 마케팅 블로거로 랭킹되어 있어 업계 내 인지도도 상당한 전문가라 할 수 있습니다.

 

그가 새롭게 합류하는 회사인 Dachis Corp.라는 회사의 비전이 매우 흥미롭습니다. Dachis Corp.는 한마디로 소셜-비즈니스 디자인 회사라고 합니다. 관련 포스트에 따르면, Dachis Corp.단순하게 소셜 테크놀로지와 툴을 바이럴 마케팅 캠페인을 런칭하고, 입소문을 생산하는 것에 사용하는 것 뿐 아니라,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완전히 전환시키는 데 도움을 주는 전문 회사라는 느낌을 받게 되었습니다.

 

그의 블로그 포스트 본문 내용을 살펴보자면, Dachis Corp.의 지향하는 바를 느낄 수 있네요.

There needs to be cultural changes that take place within organizations in order for them to tap the emerging ways to both develop and market their products and services in a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There has to be a systematic bottoms up and tops down transformation starting with strategy and supported by the right types of technology which can enable more effective human and system interactions. This is the place we hope to play in.

그리 많지 않지만, 지난 2년간 소비자 및 고객과의 대화에 관심이 있는 기업들의 블로그를 비롯한 소셜 미디어라는 플랫폼을 런칭할 때 마다 생각드는 점이 하나 있었습니다. 기업 자체가 소셜 미디어가 되기 위해서는 단순히 온라인 미디어 채널을 하나 더 도입하는 것이 아니라, 소셜 미디어 플랫폼을 통해 대내외 이해관계자들과 대화를 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정립하고, 만약 대화에 익숙하지 않는 문화라면 그것에 새로운 변화를 이끌어내어야 하는 변화 관리 프로젝트라 생각하곤 했습니다. 그런 고민을 많이 해와서 그런지, David이 새롭게 합류한다는 David Corp.에 대한 관심이 급상승하네요.

 

무엇보다도 제가 즐겨 구독하는 포레스터 리서치 애널리시트 출신인 Peter Kim이 이미 관련 팀에 먼저 근무하고 있고, 이번 기회에 알게 되었지만, 관련 회사의 창업자인 Jeff Dachis는 북미에서 상당히 유명한 Razorfish라는 디지털 에이전시의 창업자 중 하나라고 하네요.

 

, 미디어 & 커뮤니케이션 환경의 변화로 새로운 성격의 회사가 등장하고 있다는 점 매우 흥미롭고요. 해외 전문가들의 고민과 움직임을 보면서 벤치마킹 방향을 고민해보곤 합니다. 또한, 앞으로도 David의 멋진 인사이트 공유를 기대해봅니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개인적으로 블로그 혹은 홈페이지를 운영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관심을 갖게 되는 주제가 바로 검색엔진최적화(Search Engine Optimization)입니다. 저도 개인적으로 관련 주제를 공부해보기 위해 구글링이나 슬라이드세어닷컴을 통해 자료를 모아서 보곤 하는데요.

해외 자료는 구글에 초점을 맞춘지라, 네이버가 장악하고 있는 한국 시장에서는 그리 효과가 없다는 말도 많이 듣곤 합니다. 상황은 그렇다하더라도 검색엔진최적화에 대한 원칙이라는 것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고, 국내에서는 네이버 검색엔진 최적화라는 주제로 자료를 얻는 것이 쉬운 것이 아닌지라, 해외 자료를 계속 구독하곤 합니다. 참고로
지니캡님이 국내 상황에 맞는 SEO(Search Engine Optimization) & SEM(Search Engine Marketing) 연관 다양한 정보들을 공유하고 계십니다.

오랜만에 방문한
VizEdu에서 검색엔진최적화 관련 아주 쉽게 설명된 자료를 접하게 되어, 관련 자료를 공유합니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