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
sixtysecondview라는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는 Edelman Europe의 President & CEO인 David Brain이 그의 런던 오피스의 Tech Analyst Relations 전문가인 Jonny Bentwood와 함께 Social Media Indext라는 흥미로운 영향력 지수를 포스팅하여 영어권 PR Blogger들로부터 주목을 받았습니다.

보통 블로그의 영향력을 체크할 때는 Google PageRank에서 어느 정도 상단에 위치하는지, 인바운드 링크는 어느 정도 되는지, Bloglines Subscribers 구독자는 얼마나 되는지, Alexa Rank는 어떻게 되는지, Technorati Ranking은 어느정도 되는지, 얼마나 자주 업데이트가 일어나는지, 코멘트 수치는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고, 관련 블로거의 영향력을 체크하여 랭킹 순위를 발표하곤 합니다.

참고로, 국내에서는 올블로그가 2006 올브로그 어워드 Top 100 Blogger를 추천수와 조회수 등 블로거들이 직접 선정한 점수를 활용하고 계산하여 발표한 순위가 있구요.

영어권 주요 영향력 블로그 순위 자료
CNET Blog 100, Times Top 50 Business Blogs, Power 150 Top Marketing Blogs, Friendly Ghost Top PR Blogs, Technobabble 2.0 Top Analyst Blogs

상기 주요 블로그 순위를 종합하여 David과 Jonny가 정리한 Top 30 블로그 리스트는 하단과 같습니다.

Top 30 Blog - SMI weighting: 100% blogs

  Name blog multi format mini updates business cards visual favourites social media index

1

TechCrunch

98

0

0

0

0 0

98

2 Search Engine Watch 98

0

0

0

0 0 98
3 Boing Boing 98

0

0

0

0 0 98

4

GigaOM

97

0

0

0

0 0

97

5

Micro Persuasion

96

0

0

0

0 0

96

6

Scobeleizer

96

0

0

0

0 0

96

7

Scripting News

96

0

0

0

0 0

96

8 John Battelle’s Searchblog 96

0

0

0

0 0 96
9 Techdirt 96

0

0

0

0 0 96
10 Pronet Advertising 96

0

0

0

0 0 96

11

Gaping Void

95

0

0

0

0 0

95

12

Marketing Pilgrim

95

0

0

0

0 0

95

13

Online Marketing Blog

95

0

0

0

0 0 95
14 Copyblogger 95

0

0

0

0 0 95

15

Buzz Machine

94

0

0

0

0 0

94

16 SEOmoz Blog 94

0

0

0

0 0 94
17 Jonathan’s Blog 94

0

0

0

0 0 94
18 The Blog Herald 94

0

0

0

0 0 94
19 direct2dell.com 93

0

0

0

0 0 93
20 Romenesko 93

0

0

0

0 0 93
21 PaidContent.org 92

0

0

0

0 0 92
22 Secret Diary of Steve Jobs 92

0

0

0

0 0 92

23

Web Strategy by Jeremiah

91

0

0

0

0 0 91

24

Adrants

91

0

0

0

0 0

91

25 Seth Godin 91

0

0

0

0 0 91
26 Logic+Emotion 91

0

0

0

0 0 91
27 tompeters! 91

0

0

0

0 0 91
28 GrokDotCom 91

0

0

0

0 0 91

29

PSFK

89

0

0

0

0 0

89

30 adfreak 89

0

0

0

0 0 89

상기 리스트를 기본으로 David과 Jonny는 검색 사이트인 구글(Google),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인 페이스북(Facebook), 마이크로사이트인 트위터(Twitter),  온라인 인맥 사이트인 링크드인(LinkedIn), 소셜 이미지 공유 사이트인 플리커(Flickr), 소셜 뉴스 공유 사이트인 디그(Digg), 소셜 북마크 공유사이트인 딜리셔스(del.ico.us) 등 6개 분야별 다양한 소셜 미디어의 활용도를 인덱스화하여 블로그의 영향력을 다시 지수화하였습니다.

  • Blog - analysed Google Rank, inbound links, subscribers, alexa rank, content focus, frequency of updates, number of comments
  • Multi-format - analysed Facebook - number of friends
  • Mini-updates - analysed Twitter - number of friends, followers and updates
  • Business cards - analysed LinkedIn - number of contacts
  • Visual - analysed Flickr - number of photos uploaded from the person/s or about the person/s
  • Favourites - analysed Digg, del.icio.us

상기 6개의 카테고리의 가중치는 Blog - 30%; Multi-format - 20%; Mini-updates - 25%, Business cards - 7%, Visual - 3%; Favourites - 15% 로 적용했고, 새로운 기준으로 적용된 순위는 하단과 같습니다.

Top 30 Blogs - SMI tiered weighting

  Name blog multi format mini updates business cards visual favourites social media index

1

Micro Persuasion

29 17 25 7 2 13 93
2

TechCrunch

29 20 22 0 3 13 87
3

Scobeleizer

29 20 25 0 3 9 86

4

GigaOM

29 20 13 7 3 13 85
5

Gaping Void

28 20 22 3 2 5 80
6

Scripting News

29 16 25 4 2 4 79
7

Web Strategy by Jeremiah

27 15 24 6 3 2 77
8

PSFK

27 16 14 0 3 12 72
9

Marketing Pilgrim

28 8 15 6 2 7 67
10

Adrants

27 5 19 4 1 8 64
11

Online Marketing Blog

28 15 12 0 2 5 62
12

John Battelle’s Searchblog

29 17 0 7 3 5 61
13

Buzz Machine

28 20 0 5 2 5 61
14

Copyblogger

28 13 3 0 0 8 53
15

Seth Godin

27 5 0 0 3 9 45
16

Techdirt

29 0 0 0 3 11 42
17 SEOmoz Blog 28

0

0

5 3 5 41
18 Search Engine Watch 29

0

0

0

0 9 38
19 Boing Boing 29

0

0

0

3 5 38
20 Jonathan’s Blog 28 1

0

0

2 4 36
21 PaidContent.org 27

0

0

0

3 4 34
22 Secret Diary of Steve Jobs 27

0

0

0

0 6 34
23 adfreak 27

0

0

0

0 6 32
24 The Blog Herald 28

0

0

0

0 3 31
25 direct2dell.com 28

0

0

0

0 3 31
26 Pronet Advertising 29

0

0

0

0 2 31
27 Romenesko 28

0

0

0

0 3 31
28 Logic+Emotion 27

0

0

0

1 2 30
29 tompeters! 27

0

0

0

0 3 30
30 GrokDotCom 27

0

0

0

0 3 30

흥미롭게도 에델만 본사 Me2Revolution의 수장인 Steve Rubel이 기존 랭킹 5위에서 Social Media Index에서는 1위로 등극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David Brain이 자신의 포스팅에서도 이야기하고 있지만, Rubel은 소셜 미디어를 무지 많이 활용하는 듯 보입니다.

소셜 미디어 인덱스의 방법론과 전개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알고 싶으신 분들은 David Brain이 지난 7월 17일에 포스팅한 Social Media Index 내용을 클릭해서 참고하시면 될 듯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도 파워 블로그의 영향력에 대한 토픽들이 점점 많아지기 시작되었고, 며칠 전 재오픈한 블로그코리아에서도 자사의 핵심 서비스 중 하나로서 영향력 지수를 선보이고 있습니다. 블코는 13가지의 카테고리별 10명의 파워블로그를 선정하여 총 Top 130 명의 리스트를 보여주는데 생산력지수, 커뮤니케이션 지수, 인기도 지수 3가지 분야를 합산한 랭킬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소셜 미디어 영향력 지수라는 것이 시대의 변화에 따라 논쟁의 적용 방식에 대해서는 완벽한 것이 없어 계속 왈가왈부 논쟁의 여지가 있겠지만, 이제 오프라인 미디어처럼 온라인상에서 누가 영향력을 보유하고 있는지에 대한 랭킹을 적용하는 트랜드는 계속 되리라 생각됩니다.  

만약에 한국에서도 상기 방식대로 Social Media Index를 만들면 어떤 순위가 나올까요? 시간이 많다면 나름 로컬화하여 적용해보고 싶다는 생각도 들지만, 일단 생각으로만 접어둘까 합니다. @JUNYCAP

상기 포스트 유용하셨다면 쥬니캡 블로그를 구독하세요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코노믹 리뷰에서 CEO들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중요성과 사례들을 중심으로  Special Report 라는 지면을 채웠습니다. CEO Branding 혹은  Leadership Communications 분야에 관심이 많은 분들에게 도움이 될 듯 하여 링크 겁니다.

[Special Report]①조직을 감동시키는 ‘화법의 기술’   이코노믹리뷰 [경제, 매거진]  2007.07.19 오후 14:48
잠이 든 당신을 들여다봅니다 어느 먼길을 걸어와 지금 당신이 - 중략-나 같은 남자 뭘 믿고더없이 소중한 마음과 몸을 맡기고그저 고맙고 감사해서촛불 같은 당신 잠과 꿈을 꺼뜨릴까 조심조심하며 밤새 저는 당신 마음을 들여다볼 뿐입니다김하인 시인 <잠이든 당신>...
[Special Report]②화술에 능한 CEO들    이코노믹리뷰 [경제, 매거진]  2007.07.19 오후 14:48
그들은 말에 감동을 담았다 화술에서 CEO의 능력은 연설과 협상을 통해 나타난다. 인터뷰는 다듬어진 문체로 정리되는 경우가 많아 CEO의 화술이 얼마나 뛰어난지 가늠하기 어렵다. 연설과 협상에 능한 CEO라고 모두 달변은 아니다. 어눌한 말투여도 듣는 이에게 공감을...
[Special Report]③ 토크쇼에서 배우는 CEO 화법   이코노믹리뷰 [경제, 매거진]  2007.07.19 오후 14:48
신동엽-배려 유재석-겸손 김원희-경청감성경영 매뉴얼, 토크쇼에 다 있네! 10년 이상 토크쇼 작가로 활동한 김일중 작가는 그 동안 집필했던 토크쇼와 MC들의 성향을 분석해 《토크쇼 화법》을 출간했다. 그는 이 책에서 조리 있고 상황에 맞는 화법이 인기 프로그램을...
[Special Report] ④3개월만 투자하면 당신도 말 잘하는 CEO    이코노믹리뷰 [경제, 매거진]  2007.07.19 오후 14:48
|명강사 CEO 교육과정| 변화와 혁신. 최근 기업에서 가장 중점적으로 내걸고 있는 캐치프레이즈다. 이러한 변화의 물결은 개인에게서부터 시작돼야 하며, CEO의 혁신적인 리모델링(인간경영교육)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히 요구된다. 수없이 많은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강의...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서울신문이 지난 7월 18일 창간 103주년을 맞이하여 주요 특집 기사 중 한 꼭지로서 블로고스피어와 블로거에 대한 기획기사를 다루었습니다. 하단 기사 링크를 클릭하시면, 6개 분야의 주요 유명한 영향력 블로거들을 접하실 수 있습니다.

기사 중간에 저의 코멘트도 짧게 있습니다. ㅎㅎ

[서울신문 창간103주년] 블로거를 다시 본다 서울신문 [사회]  2007.07.19 오전 03:12
... 리뷰, 재미 등으로 구성된 ‘이슈’ 코너에 등록된 2만 758개의 글 중 시사는 4739개(22.8%)에 이른다. 에델만코리아 이중대 부장은 “우리나라 35∼54세 중년층 블로거의 사용 비율은 다른 연령층보다 낮은 편이나, 실제적인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오늘은 형님이 며칠 전 시작하신 파드캐스팅에 대한 주제로 포스트를 하나 올리고자 합니다.

하단 내용은 Shel Holtz와 함께 Blogging for Business를 함께 쓴 Ted DemopoulosWhat No One Ever Tells You About Blogging and Podcasting을 쓰면서 IT  기자 출신이자 소셜 미디어 전문가인 Paul Gillin과 파드캐스팅을 주제로 인터뷰한 내용을 근거로 작성했습니다.

참고로 Paul Gillin은 The New Influencers의 저자이기도 합니다. Paul에 따르면, "좋은 파드캐스트란 짧아야하며, 열정이 담겨져 있어야 한다"라고 이야기합니다.

이상적인 분량은 5분에서 20분 사이인 것이 적당하며, 30분 이상인 경우 청취자들이 계속 머무르지 않고 떠날 수 있습니다. 청취자들은 대개 짧은 파드캐스트를 선호하는 편입니다.

만약 파드캐스트 운영자가 매우 강한 개성을 보여주거나 컨퍼런스에서 스피치를 하는 라이브 이벤트를 녹음하여 들려주는 것이라면 다소 긴 파드캐스트를 운영해도 무방합니다.

파드캐스터는 자신의 토픽에 대해 매우 열정적일 필요가 있습니다. 파드캐스터의 장점과 파드캐스트의 포맷 간에는 교점이 필요하며, 적절한 방법을 통해 자신의 열정을 보여줄 수 있어야 합니다. 예를 들자면, 어떤 파드캐스터는 묻고 답하기 방식을 선호할 수도 있고,  또 다른 파드캐스터들은  co-host  방식으로 진행할 때 편함한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자신에게 맞는 방식을 찾는 것이 필요합니다.

Paul에 따르면, 파드캐스트 운영 방식에는 총 5개가 있습니다.
1)    한사람이 주구장창 이야기하기
2)    전문가와 함께 특정 주제 관련 묻고 답하기
3)    서로의 장/단점을 보완하며, 격의 없는 대화를 나눌 수 있는 공동 운영 방식(Co-hosted) 파드캐스트
4)    특정 니치 마켓 혹은 주제에 대한 뉴스 포맷
5)    컨퍼런스 등 행사에서 녹음된 스피치

북미에서는 다양한  파드캐스트가 활발히 활동하고 있으며, 새롭게 파드캐스트를 시작하고자 하는 이들에게  Paul은 다음과 같이 조언을 합니다.

  • 당신의 열정을 보여줄 수 있는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라!
  • 당신이 잘 아는 분야의 기본적인 사항으로 6개 내지 8개의 파드캐스팅 소재를 기획하라!
  • 당신의 이야기 소재가 바닥났을 때 어떻게 하면 계속 운영할 수 있을지 아이디어를 찾아라!

만약 비즈니스 파드캐스트를 시작하고자 희망한다면, 비즈니스 블로그 시작 전 리서치가 필요하듯, 해당 기업이 희망하는 토픽과 관련하여 몇가지 리서치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다양한 포맷과 기술로 이루어진 파드캐스트를 찾아보고, 그 내용을 청취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파드캐스트 운영자의 열정을 보여줄 수 있는 토픽을 찾아야하며, 비즈니스 파드캐스트 운영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파드캐스트 운영의 목적을 설정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단순히 남들이 하는 것을 보고, 따라해보자는 느낌으로 운영을 시작하면 지속성을 확보할 수 없을 것입니다.

비즈니스 파드캐스트의 토픽은 꼭 기업의 중점 사업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될 필요는 없지만, 자사 비즈니스 관련 타겟 오디언스와 연관이 필요합니다.  The American Family라는 파드캐스트를 운영하는 Whirlpool의 경우, 자사의 세탁기 등과 같은 제품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지 않습니다.  Whirlpool은 자사의 주요 고객들의 가정 이슈인 임신, 자택 학습, 애기 음식, 뱀에게 물렸을 때 응급처치, 아이들을 위한 영화시사회 등을 이야기하곤 합니다.

전세계적으로 무지 많은 수의 파드캐스트들이 운영되면서 하루 24시간 내내 그들의 방송을 들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만약 자신만의 파드캐스트를 운영하고 싶고, 정말로 인기 있는 존재로 부각되고 싶다면, 세심한 준비를 통해 꽤 괜찮은 정도가 아닌 탁월한 수준을 지향해야 할 것입니다. @JUNYCAP

상기 포스트 유용하셨다면 쥬니캡 블로그를 구독하세요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