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ny's Blog is open for sharing personal experience and knowledge on keywords regarding Business communications, Public Relations, Marketing Communications, Organizational Communicaitons, Soft Skills, Social Media
작년부터 KT 의 기업 소셜 미디어 채널 기획, 운영 및 내부 협조 업무를 진행하고 있는@clooney1007그리고 @caesarmoon님이 참가하여 KT에서 지난 1년동안 노력해온 사항들, 그리고 현재 진행하고 있는 소셜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활동에 대해 그 노고와 노하우를 공유해주었습니다. 개인적으로 방송에도 언급했지만, 전 방송에 출연하신 두분을 지난 여름 ollehkt 기업 블로그 런칭 프로젝트를 함께 준비하면서 조력자로서 도움을 드리면서 만나왔는데요. 1년이 지난 시점에서 방송을 함께 진행하면서 두분께서 일년이라는 시간 동안 정말 다양한 경험을 하였고, 그만큼 내공도 강해졌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마지막으로 두분의 항시건승을 기원하고요! 어제 방송을 못 보신 분들을 위해 관련 동영상을 공유합니다!
조회 전체: , 오늘 , 어제: 소미다 두번째 방송: @ollehkt 기업 트위터 1년 리뷰해본다!/630
KT는 지난 2009년 7월 13일 공식 기업 트위터인@ollehkt 운영을 시작하였습니다. 런칭 이후 특정 시간대 올레를 외치는 이벤트 등 독특한 온라인-오프라인 행사를 다양하게 진행하여 2010년 7월 14일 현재가지 3만 1천명이 넘는 트위터 팔로우어 규모를 보유하게 되었고, 해당 수치는 미디어 및 연예인 트위터를 제외하고, 비즈니스 영역에선 가장 높은 수치의 팔로우어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KT의 트위터 활용은 국내 기업 중 초기 사례인지라, 런칭 이후 2010년 6월초까지 180여 여건의 @ollehkt 관련 기사를 이끌어내는 등 트위터 사용자들의 주목을 이끌어냈습니다. 또한, 지난 7월 9일에는 @ollehkt 운영팀들이 런칭 1년을 맞이하여, 30개 지하철역을 오며가며, 노선별로 @ollehkt 트위터 팔로우어들을 만나는 이벤트를 진행하기도 했고요(참고 포스트).
@ollehkt가 트위터 사용자들과 KT 임직원들의 본격적인 관심을 이끌어냈던 것은 2009년 11월 28일 아이폰 출시 이후, 사전 구매 대상자들에게 배송날짜를 지키지 못한 이슈가 발생하던 시점입니다. @ollehkt 트위터 운영팀은 해당 이슈를 대응하는데 있어, 기업 트위터를 메인으로 활용하면서 주목을 받았고요.그 시점 이후, KT는 @ollehkt 트위터를 통해 고객들에게 새로운 제품, 서비스를 알림과 동시에 고객들의 불만을 접수하고, 개선 사항을 널리 알리는 쌍방향 창구로서 활발히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에 소미다팀에서는 @ollehkt 대표 운영자인@clooney1007(연관 기사) 와 @caesarmoon 두분을 초대하여, 지난 1년간 KT의 기업 트위터 운영 초기 목표, 과정, 성과 등을 주제로 방송을 진행하고자 합니다.
방송보는법: 트윗온에어(http://twitonair.com) 서비스를 통해 방송할 예정이며, 구체적인 URL은 방송 진행자들이 트위터를 통해 공지드릴 예정
[주요 토깅 주제]
lKT의 기업 트위터 @ollehkt 운영을 축하한다. 지난 1년간 활동에 대한 감회가 새로울텐데 간략하게 설명 부탁한다.
l초기 기업 트위터 운영을 고려했던 이유는 무엇인가? 관련 커뮤니케이션 목표를 잘 달성했는가?
l초기 일정 규모의 팔로우어를 확보하기 위한 특별 이벤트들을 많이 진행한 것으로 알고 있다. 어떤 것들 있었으며, 어떤 이벤트가 효과적이었는가?
l스마트폰의 보급이 활성화되면서 트위터 사용자도 급증하고 있다고 전문가들은 말하고 있다. @ollehkt 운영자로서 현재 어떻게 느끼시고 있고, 앞으로 전망을 간략하게 예측해 본다면?
l기업 트위터 운영자로서 겪었던 어려움들이나 이슈가 있었다면, 어떤 점이 있었고, 어떻게 극복했는지요?
l기업 트위터 운영에 대한 내부 경영진들의 시각에 변화가 있다면?
l현재 국내 기업 및 브랜드 트위터가 700개가 넘는다고 합니다. 비즈니스 트위터의 성공 요소로 무엇이 중요할까요? 노하우 좀 공유해주신다면?
l트위터로 인해 기업들의 소셜 미디어 및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활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앞으로 어떻게 발전해 나갈 것으로 전망하시는지요?
l앞으로 KT의 기업 소셜 미디어 발전 방향은?
작년 이맘때 국내 기업들의 트위터 활용 사례는 그리 많지 않았습니다. 2010년 7월 시점에 비즈니스 차원에서 운영되는 트위터가 700개가 넘어가고 있다고 하는데요. 현재 기업 트위터를 운영하고 있거나, 향후 운영을 고려하시는 분들에게 소미다 두번째 방송이 도움되었으면 합니다.
마지막으로 소미다 방송 중간중간에 질문을 받을 예정이지만, 혹시 상기 질문 리스트 이외에 포함되었으면 하는 내용이 있으시면 댓글 부탁 드립니다. 그럼 다음주 화요일 저녁에 뵙겠습니다! 건승!
소미다의 첫번째 주제는 요즘 트위터와 함께 조금씩 국내에서도 사용자 규모를 넓혀가고 있는 페이스북에 대한 이야기를 진행했습니다.
[첫 방송 주제 - 트위터 자리잡고, 이젠 페이스북]
방송 배경:국내에서 트위터 사용자가 75만 명에 육박하고, 비즈니스 차원에서 트위터 사용에 대한 관심이 많이 증폭되어 있는 상황이다. 트위터를 활용하는 기업 브랜드는 200여 개가 훨씬 넘어가고 있고, 정부부처도 청와대를 비롯해 새롭게 트위터 사용이 활발해지고 있다. 또한, 트위터 활용이 많아짐에 따라 자연스럽게 페이스북에 대한 관심이 새롭게 형성되고 있는데, 사용자 수만 봤을 때는 이미 120만 명이 넘어간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해외 소셜 미디어 전문가들은 페이스북이 기업 브랜드 관련 콘텐트를 마케팅 하는데 있어 최적의 플랫폼이라고 이야기하고 있고, 한국 내 IT 및 웹 서비스 연관 오피니언 리더들은 페이스북이 향후 3년 내에 네이버를 대적한 채널로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
*2분 20초 정도 지난 후 음성이 나오기 시작함다.
[주요 토깅 주제]
l한국에서 성장한 트위터 1년을 뒤돌아보다.
l페이스북은 한국에서 어떻게 성장하게 될까?
l개인도 기업도 새로운 시각으로 접근 할 페이스북은 어떠한 서비스인가?
l페이스북 팬페이지는 개인과 기업에게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가
l페이스북 하면 사생활 노출 부분이 말이 많은데 국내는 어떤가.
l페이스북을 기업측에서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가
l해외에서 페이스북 활용하는 사례를 대표적인 것을 들어보자면? (리바이스, 나이키, 패션 브랜드들, 정부부처 등)
l페이스북 소셜커넥트 부분에 개발 등 이슈가 있을 거라 보는데 이런 부분을 어떻게 진행하는 것인지(개발 부분,기업체 적용)
l한국 사용자 증가율은 트위터와 비교해서 얼마나 차이가 있는가
트위터와 페이스북에 대한 관심 있으신 분들을 위해 관련 동영상 공유함다. 소미다 두번째 방송 아이템은 KT의 기업 트위터@ollehkt를 운영하고 있는@clooney1007매니저를 초대하여 진행할 계획인데요. 모든 일정이 픽스되면 블로그와 트위터를 통해 관련 소식 공유하겠습니다. 건승!
조회 전체: , 오늘 , 어제: 2010년 하반기를 시작하며(지난 상반기 THANK YOU ALL!)/628
지난 7월 1일 그러니까 어제 저녁 소셜 링크 멤버들이 모여 2010년 상반기 비즈니스 상황을 리뷰하고, 2010년 하반기 계획을 논의하는 사내 워크샵을 진행했습니다. 상반기를 마무리하면서, 느끼는 점은 ‘소셜 링크 성장에 도움을 주신 많은 분들에게 너무나 감사하다’라는 점입니다.
지난 1월과 2월에는 비즈니스 계획을 잡았고, 3월에는 첫 고객사를 유치했고, 6월까지 총 2개의 대기업, 1개의 외국계 기업, 2개의 정부부처 등 총 5개의 프로젝트를 유치하여 서비스를 제공해왔습니다. 소셜 링크의 주요 비즈니스 영역은 기업 소셜 미디어 채널 런칭시 컨설팅, 런칭 이후 운영 지원, 소셜 미디어 전략 가이드북, 소셜 미디어 로드맵, 주요 소셜 미디어 채널 운영 매뉴얼, 내부 필진 블로거 트레이닝, 소셜 미디어 개념 워크샵 등이 주를 이루었습니다. 소셜링크가 신생회사라서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있어 여러가지로 의심스러웠을 터인데, 저희 멤버를 믿고 서비스를 의뢰해주신 고객사 담당자분들께 정말로 감사 드립니다. 또한, 신규 비즈니스 기회가 있으면, 저희 소셜 링크를 추천해주신 많은 업계 전문가분들께 너무나 감사 합니다.
일년이 채 안된 신생회사이지만, 30여건의 기사에 소셜 링크가 언급되는 등 초기에 업계에서 긍정적으로 포지셔닝하는데 아주 큰 도움을 받았습니다. @jace_lee와@sociallog@pakseri79등 팀장들과 함께 다양한 전문매체에 기고문을 제공해 왔는데요. 전문가 인터뷰, 기고문 등 저희 멤버들의 지적 전문성을 제공할 수 있는 기회를 주신 언론매체 관계자분들에게 또한 감사할 따름입니다.
그리고 팀장들과 함께 트레이닝 교육(한국언론재단 등 2), 일반 기업 특강(삼성그룹, 현대자동차, 현대카드 등 9), 정부 & 지방자치단체(문광부, 보건복지부, 국방부, 통일부 등 7회), NGO & NPO & 협회(아름다운재단, 대한적십자사 등 7회), 일반 교육 강좌(국제경영연구원, 한경PR Academy 등 5회), 컨퍼런스(소셜 미디어 마케팅, 소셜 비즈니스 인사이트 등 5회) 통들어 총 35여건의 다양한 트레이닝, 특강 등을 진행해왔습니다. 소셜 링크를 외부적으로 널리 알릴 수 있도록 다양한 기회를 제공해주신 기업 및 조직 내 HR 담당자 및 컨퍼런스 관계자 분들께 감사 드리고요.
소셜 링크의 초기 사업 셋팅에 있어 많은 도움을 주신 이호영 대표님과 동양고속훼리 멤버들에게도 가장 감사드리고요. 모르는 부분이 있을 때 마다 전화드리거나 만나게 되면, 매번 공자로 카운셀링 해주신@hoh, @jamesslad, @jonghyuklee, @hscoach등 PR 업계 선배들에게도 진심으로 감사 드립니다.
상반기 리뷰를 하고, 하반기 혜획에 대해 팀원들과 여러가지로 논의를 진행했습니다. 업계내 차별화 요소, 추가 개발이 필요한 서비스 및 비즈니스 영역, 협업 네트워크 강화, 타겟 고객사 그룹, 사내 교육 프로그램, 후생복지, 문화 등 정말 다양한 주제로 대화를 진행했는데요. 2010년 1월보다 6월말까지 성장을 거듭해왔듯이, 올 연말이 되면 많은 부분 새롭게 실현해나가면서, 소셜 링크가 거듭 성장해나갈 것이라 생각합니다.
여러 멤버들의 이야기 중 @del_marzo의 의견이 계속 머리에 남는데요. “소셜 링크가 앞으로 업계 전문가들이 입사하고 싶은 기업, 대학생들이 입사하고 싶은 기업으로 성장을 했으면 좋겠다. 우리만의 사람 냄새나는 스토리를 만들어내고 전해야 한다”
소셜 링크는 신생회사이기 때문에 고액의 연봉을 제시할 수는 없지만, 서로의 강점을 공유하고, 약점을 보완해줄 수 있는 전문가들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소셜 링크가 탄탄하게 성장하도록 도움을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리고요. 하반기에도 좋은 비즈니스 기회를 많이 유치하여, 새로운 멤버들과 함께 열심히 성장하고 싶네요!
Juny's Blog is open for sharing personal experience and knowledge on keywords regarding Business communications, Public Relations, Marketing Communications, Organizational Communicaitons, Soft Skills, Social Mediaby 쥬니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