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7 20일 저녁, 기존에 공지해드린바와 같이, 소셜 미디어 수다 두번째 방송을 진행했습니다. 두번째 방송 주제는 KT의 기업 트위터 @ollehkt 1년 운영을 리뷰하는 주제로 @hongss 님과 함께 진행되었고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좌로부터 @junycap, @clooney1007, @caesarmoon, 사진촬영 @hongss, 장소 @naruter 님 사무실]

 

작년부터 KT 의 기업 소셜 미디어 채널 기획, 운영 및 내부 협조 업무를 진행하고 있는 @clooney1007 그리고 @caesarmoon 님이 참가하여 KT에서 지난 1년동안 노력해온 사항들, 그리고 현재 진행하고 있는 소셜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활동에 대해 그 노고와 노하우를 공유해주었습니다.

개인적으로 방송에도 언급했지만, 전 방송에 출연하신 두분을 지난 여름 ollehkt 기업 블로그 런칭 프로젝트를 함께 준비하면서 조력자로서 도움을 드리면서 만나왔는데요. 1년이 지난 시점에서 방송을 함께 진행하면서 두분께서 일년이라는 시간 동안 정말 다양한 경험을 하였고, 그만큼 내공도 강해졌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마지막으로 두분의 항시건승을 기원하고요!
어제 방송을 못 보신 분들을 위해 관련 동영상을 공유합니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지난 7 7@hiconcep & @hongss 님과 함께 소미다(소셜 미디어 수다)를 진행했습니다.

지난해 가을부터 올해 2월까지 트위터러의 수다라는 제목으로 주로 트위터와 스마트폰을 주제로 이야기를 해왔었는데, 일종의 시즌 2 개념으로 그 명칭을 소미다로 바꾸고 진행했습니다.

장소는 실시간 동영상 스트림 트윗온에어 서비스를 런칭하여 사업을 진행하시는 @naruter 님 사무실에서 진행했고, 초대 손님으로는 @social_link의 새우깡소년(@pakseri79)가 함께 했습니다.

 

소미다의 첫번째 주제는 요즘 트위터와 함께 조금씩 국내에서도 사용자 규모를 넓혀가고 있는 페이스북에 대한 이야기를 진행했습니다.

 

[첫 방송 주제 - 트위터 자리잡고, 이젠 페이스북]

방송 배경: 국내에서 트위터 사용자가 75만 명에 육박하고, 비즈니스 차원에서 트위터 사용에 대한 관심이 많이 증폭되어 있는 상황이다. 트위터를 활용하는 기업 브랜드는 200여 개가 훨씬 넘어가고 있고, 정부부처도 청와대를 비롯해 새롭게 트위터 사용이 활발해지고 있다. 또한, 트위터 활용이 많아짐에 따라 자연스럽게 페이스북에 대한 관심이 새롭게 형성되고 있는데, 사용자 수만 봤을 때는 이미 120만 명이 넘어간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해외 소셜 미디어 전문가들은 페이스북이 기업 브랜드 관련 콘텐트를 마케팅 하는데 있어 최적의 플랫폼이라고 이야기하고 있고, 한국 내 IT 및 웹 서비스 연관 오피니언 리더들은 페이스북이 향후 3년 내에 네이버를 대적한 채널로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



*2분 20초 정도 지난 후 음성이 나오기 시작함다.

[
주요 토깅 주제]

l  한국에서 성장한 트위터 1년을 뒤돌아보다.

l  페이스북은 한국에서 어떻게 성장하게 될까?

l  개인도 기업도 새로운 시각으로 접근 할 페이스북은 어떠한 서비스인가?

l  페이스북 팬페이지는 개인과 기업에게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가

l  페이스북 하면 사생활 노출 부분이 말이 많은데 국내는 어떤가.

l  페이스북을 기업측에서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가

l  해외에서 페이스북 활용하는 사례를 대표적인 것을 들어보자면? (리바이스, 나이키, 패션 브랜드들, 정부부처 등)

l  페이스북 소셜커넥트 부분에 개발 등 이슈가 있을 거라 보는데 이런 부분을 어떻게 진행하는 것인지(개발 부분,  기업체 적용)

l  한국 사용자 증가율은 트위터와 비교해서 얼마나 차이가 있는가

 

트위터와 페이스북에 대한 관심 있으신 분들을 위해 관련 동영상 공유함다. 소미다 두번째 방송 아이템은 KT의 기업 트위터 @ollehkt를 운영하고 있는 @clooney1007 매니저를 초대하여 진행할 계획인데요. 모든 일정이 픽스되면 블로그와 트위터를 통해 관련 소식 공유하겠습니다. 건승!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