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omting (2009/05/24 20:58) 댓글에 댓글 달기 : 지우기
  • 큰 조직에선 결국 타 조직과의 협업과 경영진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는 영향력과 추진력을 가진 팀리더가 핵심일 것 같네요..
    공부 잘하고 갑니다~^^
  •  Re : Junycap (2009/05/25 12:52) DEL
  • 옙 맞습니다. 기업 블로그의 경우에도 블로그 챔피언이라고 칭해질 수 있는 임원급이 리드를 해 준다면 업계 내 관심도나 인지도가 많이 높아지는 것으로 알고 있고요. 피드백 감사요!
  • 실리콘벨리(임상범학생) (2009/05/23 18:43) 댓글에 댓글 달기 : 지우기
  • 소셜 북마킹 이제는 너무 흔하게(?) 쓰이는 서비스가 아닌 가 생각이 됩니다.
    물론 이에 관해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해보았습니다.
    사람들이 갖고 있는 지식을 서로가 즐겨찾기도거나 Favorite한 사이트를
    모아서 그룹핑 한다는 것은 큰 도움이 된다고 생각이 됩니다.^^
  • 실리콘벨리(임상범학생) (2009/05/23 09:19) 댓글에 댓글 달기 : 지우기
  • 유튜브 시대의 위기 커뮤니케이션에 관해 글로벌 기업이 갖추어야할
    최소한의 고객과의 문제에 있어서 잘못된 점,고쳐야하고 수정해야할점에
    대해서 "사과하고 한걸음 더 다가가기"라는 부분에 있어서 좋은 노력을
    기울인 부분은 좋은 평가를 할 수 있다고 느끼고 있습니다.^^

    -다른 측면으로 적용한다면 더 유용할 것 도 같습니다.

    위기에 있어서 조금 다른 측면으로 바라보면 제 간단한
    생각은 다음과 같습니다.
    "위기관리"라는 측면에서 커뮤니케이션 역시 연관성이 많은 다른 분야에서도
    활용 될 수 있다는 개인적인 생각을 갖고 있습니다.
    그것을 활용할 수 있는 타겟 역시 개인,기업/회사 등 다양할 수 있다고 생각
    합니다.
  •  Re : Junycap (2009/05/25 12:51) DEL
  • 맞는 말씀입니다. 요즘 실리콘벨리님과의 댓글 대화가 흥미롭네요!
  • 실리콘벨리(임상범학생) (2009/05/22 20:36) 댓글에 댓글 달기 : 지우기
  • 와..전세계에 정말 많은 소셜 미디어그룹/해당 리서치 조사기관 등 다양한 곳이
    굉장히 많이 분포하고 있네요.^^

    많은 도움이 되는 자료이고 영어권 나라에서는 어떻게 이런 모델을 구축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지 집중해서 살펴보고 싶네요.
  •  Re : Junycap (2009/05/25 12:50) DEL
  • 옙, 소셜 미디어 관련 업계도 형성되었고, 활동 선수들이 많아서 그런듯 함다. 좋은 인사이트 찾으시면 공유 부탁 드릴께요!
  • 실리콘벨리(임상범학생) (2009/05/22 20:33) 댓글에 댓글 달기 : 지우기
  • 조금 오래된 자료이긴 하지만 과거의 해당 분야의 내용을 모르고
    미래를 준비하는 것은 조금은 미흡하다고 생각하고 있기에
    과거에는 어떻게 인터넷 정보량 급증에 대해 예측하고 전망하였는지
    읽어 보아야겠네요.^^
  • 실리콘벨리(임상범학생) (2009/05/22 20:30) 댓글에 댓글 달기 : 지우기
  • 다양한 분야에서 커뮤니케이션과 접목시킨 마케팅,소셜참여,소셜미디어부분에
    대해 꾸준히 그 참여 비율과 기업에서 사용하는 활용성은 높아지고 있는 것
    같네요.^^해당 내용 글 zdnet에서 보았는데 정말 좋은 글 인것 같습니다.
  • bbom (2009/05/22 17:32) 댓글에 댓글 달기 : 지우기
  • 글 잘 읽었습니다.

    어느 쯤엔가 이어지는 고민을 함 털어놓고 싶어지네욥
  •  Re : Junycap (2009/05/22 18:05) DEL
  • bbom님, 소셜 미디어 연관 업무를 진행하시는군요. 특정 주제에 대해 같이 논의하고, 솔루션을 찾아볼 수 있다는 건 매우 필요한 작업이라 생각합니다. 앞으로 기회가 되면 함께 방향을 찾는 대화를 오프에서 해봤으면 하네요. 건승!
  • 모세초이 (2009/05/22 17:31) 댓글에 댓글 달기 : 지우기
  • 멋진 글 보고 트랙백 날렸습니다~ 저도 추가로 포스팅하면 또 날릴께요! 감사해효~
  •  Re : Junycap (2009/05/22 18:04) DEL
  • 옙, 모세초이님도 실무를 하다보면 느끼고, 솔루션을 찾기 위해 노력하셨던 사항이라 생각하네요. 앞으로도 좋은 글 생산해서 트랙백으로 공유 부탁 드릴께요!
  • 실리콘벨리(임상범학생) (2009/05/22 06:01) 댓글에 댓글 달기 : 지우기
  • 영어권 나라에서 활발한 소셜미디어 행사와 활동들에 조금씩 관심을 갖다 보니
    한국에서도 많은 움직임과 노력해주시고 계신 분들이 있지만 관심과 행사는
    조금 규모가 해외에 비해서는 적은 것 같은 느낌이 아쉽기도 하고 조금씩 그런 움직임을 만들어 가 볼수 있다면 한국에서도 큰 변화가 있지 않을까란 생각도 있습니다. 아직은 제가 이런 부분에 있어 전문적인 감각이 없기에 리더가 절대로 될 수 없지만 이와 관련한 일이 진행되거나 프로젝트가 있다면 아주 작은 분야에서 참여하며 경험을 쌓아가고 싶은 생각이 있습니다.
    한국에서도 이런 많은 부분이 더욱 발전되고 생겨 날 수 있는 계기가 언젠간
    있을 것 같다는 희망적인 생각도 해봅니다.

    정말로 쥬니캡님과 같이 실력과 정보를 갖고 계신 분이 한국에 많이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하고 있기에 더욱 쏘셜미디어가 한국에서 태동하며,밝은 빛줄기로 모든 사람들 간에 도움이되고 유익함이 지속될 것 같다는 생각을 갖아 봅니다. 혹시나 쥬니캡님께서 앞으로 이런 움직임과 행사를 하시게 된다면 제가 작은 부분에서 도움과 공유 할 수 있는 부분에서 참여하며 스태프와 같은 역활로
    참여해 보고 싶은 생각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실리콘벨리(임상범학생) (2009/05/22 00:51) 댓글에 댓글 달기 : 지우기
  • 소셜 미디어가 갖는 전문성과 미디어로써 갖추고 있어야할 전문적인 영역에
    관해 좋은 글이라 생각이 됩니다.

    정말 쥬니캡님의 포스팅을 보다보면 느낌은 전문적이고 알고 계시고 다양한
    경험에서 나오는 정보를 나 혼자만이 알고 있는 것이 아닌 다양한 사람들에게
    지식과 도움을 오픈하여 주실 수 있는 부분은 배우고 싶은 부분이네요.^^

    열심히 공부하여 저도 더 많은 사람에게 정보를 OPEN하고 공유할 수 있는
    방향에 참여 할 수 있을 날을 계획하며 나아가야 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완전히 다는 이해가 안되지만 조금씩 관심을 갖고 끊임없이 제가 공부하면
    이해되는 날도 있으리라고 긍정적으로 마음을 갖고 생활해야 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감사합니다.
  •  Re : Junycap (2009/05/22 18:03) DEL
  • 옙, 제가 개인 블로그를 통해 공유하는 내용들은 국내외 특히나 해외 전문가들의 책, 블로그, 뉴스레터 등을 스터디하고, 가능하다면 개인적인 경험까지 덧붙여 올리기 위해 노력하는데요.

    이렇듯 공유라는 키워드가 바탕이 되어야 또 다른 성장을 도모할 수 있다는 생각에 노력 중입니다. 물론 보다 나은 콘텐츠 공유를 위해 노력하다보면 관련 지적 자산 생산의 혜택은 제가 가장 많이 가져갈 수 있다는 생각도 들고요.

    아무튼 긍정적 코멘트에 매번 감사 드립니다!
  • 이전 페이지
  • 다음 페이지
  • 첫화면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