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종완 (2009/10/18 00:37) 댓글에 댓글 달기 : 지우기
  • 잘보았습니다.
    다른 분이 덧글 남긴것 보니 가져가도 출처를 남기면 된다고 하실길래
    그냥 담아 갑니다.

    스크랩을 할 수 없어 여기저기 알아보았지만,
    네이버 블로그 외에 사이트에서 스크랩하는 방법은 알수가 없군요.
    혹시,
    방법을 아신다면,
    fourntwo@naver.com으로 부탁드려도 될까요?
    방법을 알게된다면 정식으로 가져가도록 하겠습니다.
  •  Re : Junycap (2009/10/18 17:46) DEL
  • 옙, 상기사항 이외에 부탁 한가지도 정리하여 메일 답변 드렸습니다. 감사합니다!
  • PleasantPD (2009/10/17 15:47) 댓글에 댓글 달기 : 지우기
  • 제 경우 둘 간의 가장 큰 차이점을 꼽자면:

    트위터: <뛰어든다>는 느낌 --> 주로 정보 탐색 및 공유의 툴로 활용

    RSS: <불러온다>는 느낌 --> 주로 정보 정리의 툴로 활용

    (RSS를 상대적으로 덜 활용하고 있는 것을 보면 정보 정리를 게을리하고 있다는 뜻인가 봅니다 ㅎㅎ)
  •  Re : Junycap (2009/10/18 17:45) DEL
  • 정보 모니터링을 위해 전 트위터와 RSS 리더기 이외에 구글 알리미도 활용하는데요. 요즘은 너무 많은 정보를 얻고 있는거 같아 고민입니다. 함 대대적인 필터링이 필요할 듯 하고요!
  • 깜냥닷컴 (2009/10/16 10:25) 댓글에 댓글 달기 : 지우기
  • 정말 멋진 글입니다.
    저도 생각하고 있던 부분인데 정말 훌륭하게 분석해 놓으셨네요~ ^^
  •  Re : Junycap (2009/10/18 17:44) DEL
  • 옙, 격려 메시지 감사 드립니다. 함 정리가 필요할 듯 하여, 이것 저것 해외 글들도 참고해서 정리해보았습니다. 조금이라도 도움 되셨으면 해요!
  • 스윙피플 (2009/10/16 09:18) 댓글에 댓글 달기 : 지우기
  • 이사님 최고입니다!!
  • 모세초이 (2009/10/15 13:01) 댓글에 댓글 달기 : 지우기
  • 도미노 사건 설거지가 이렇게 해결되었군요..대단합니다 ㄷㄷ 잘 볼께요~
  •  Re : Junycap (2009/10/18 17:43) DEL
  • 옙, 글로벌 기업 선수들은 소셜 미디어를 통해 어떻게 온라인 이슈 및 위기관리 대응을 해야하는지 사전 고민도 많고, 실제 대응 사례 공유도 많이 이루어지는 듯 하더라고요. 중요 포인트들은 우리도 활용해보면 좋을 듯 하여 정리해 보았슴다!
  • ppappi (2009/10/15 12:30) 댓글에 댓글 달기 : 지우기
  • noworry 로 합니다^^ 감사합니다.
  • CHIC*NY♪ (2009/10/15 00:12) 댓글에 댓글 달기 : 지우기
  • 아 !
    요번에 신규 오픈한 하이트 블로그도 주목할만 하던걸요 ? ~
    맥주회사에서 어인일인지는 모르겠지만
    신개념 라이프스타일 매거진 형식이라며 ~

    http://www.beer2day.com

    과제때문에 기업 블로그 찾으러 왔다가
    댓글 남기고 갑니당 :D

    * 근데, 기업 블로그들이 처한 Threat 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
    아무래 고민해도 잘 모르겠어서 ;(
  •  Re : Junycap (2009/10/18 17:42) DEL
  • 기업 블로그들이 처한 위협 요소라, 크게 외부적 내부적 위협요소를 간단히 생각나는대로 정리하자면,

    대외적 위협:
    -경쟁사의 소셜 미디어 마케팅 활동
    -타겟 오디언스들의 안티한 반응

    대내적 위협:
    -소셜 미디어 마케팅에 대한 의구심
    -신뢰 관계 구축을 위한 노력 부족

    등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하이트 맥주 블로그 정보를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요!
  • 허니몬 (2009/10/14 08:05) 댓글에 댓글 달기 : 지우기
  • ^^ 트위터도 자신의 포스팅을 배포하는 용도로 사용을 할 수가 있군요. 실시간으로 자신들의 지지자들에게 알리면서 즉각적인 여론을 만들어낼 수는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 쉽게 사라지는 휘발성도 가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두 가지를 따로 나누는 것보다, 두 가지의 장단점을 합친 또다른 서비스가 나타나면 좋을 것 같습니다. ^^
  •  Re : Junycap (2009/10/14 18:46) DEL
  • 온라인상의 모든 의견들이 사회적 이슈 정도에 따라 동일한 특성을 보인다고 생각하는데요. 기본적으로 트위터는 그런 사회적 이슈화를 개인들이 진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준 매체라는 생각도 들고요, 맟씀하신 것처럼 항상 장점을 많이 갖춘 소셜 미디어가 등장한다면, 성공 가능성도 그만큼 높아지리라 생각함다. 건승^^
  • 아도. (2009/10/13 23:31) 댓글에 댓글 달기 : 지우기
  • 이런 컴맹은 어떻게 트위터로 바꾸는지도 모르네요. 읽어보니 개인적으로 트위터가 더 마음에 드는데- 속도와 확산력에서랄까-
  •  Re : Junycap (2009/10/14 18:45) DEL
  • 옙, 트위터는 정말 컨텐츠 확산 속도 하나는 아주 끝내주거든요. 잘 활용하시면 도움이 크실 겁니다!
  • 동원삼치 (2009/10/13 19:03) 댓글에 댓글 달기 : 지우기
  • 잠시 트위터를 만졌던 적이 있었는데 저는 적응이 영 안되더라구요 ^^;;

    좋은 글 잘 보고 갑니다~
  •  Re : Junycap (2009/10/14 18:44) DEL
  • 개인별로 조금씩 차이가 있을 수 있는데요. 꾸준히 대화 상대를 찾고 도움될만한 글들을 트위터를 통해 공유하시면 적응 금방되실겁니다. 은근 중독성 있는 매체거든요!
  • 이전 페이지
  • 다음 페이지
  • 첫화면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