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렇죠. 기업의 경영철학-커뮤니케이션철학-온라인커뮤니케이션철학-소셜미디어커뮤니케이션철학 철학철학 계속 적다보니 느낌이 좀 이상하네요. 모든 커뮤니케이션들이 그렇겠지만, 그러한 변화를 받아드릴 수 있는 경영진과 기업문화가 형성되어 있느냐도 중요할 듯 합니다. 그리고 그런 변화를 긍정적으로 이끌어낼 수 있는 사람들과.. 잘 해봐야죠. 건승!
에델만의 신뢰도 지표 조사를 보면, 매해 조직에 대한 신뢰도 매체에 대한 신뢰도는 계속 변화가 이루어지더라고요. 살아있는 생물처럼. 기업의 커뮤니케이션 방식에 있어 꼭 블로그가 정답은 아니겠지만, 관련 니즈는 많이 생기게 될 것이라 저 또한 예상하고요. 마크님의 코멘트에 감사!
쥔장께서 이미 본문의 글에서 적절히 지적하셨지만, 가장 큰 역효과는 "조직에 의한 빅 브라더스의 통제권" 이 발동 된다는거지요...담당자가 아무리 똑똑하게 글을 쓰고 독자들의 참여를 이끌어 낸다해도 결국 조직의 블로그 이기 때문에 윗선에서 걍 쎈써 당한다는 취약점이 있습니다...블로그는 "완전 자유의 장" 이란걸 아직도 터득하지 못하고 있는 거지요...찌질하게 스리, 쥐박이 처럼...저러면서 마케팅 내지는 홍보 한답시고 설치는 인간들 보면 참 꼴값을 한다는 생각을 하게 되는 군요...
단군님의 말씀처럼 조직문화가 중요할 듯 합니다. 한 개인이 시도한다고 될 것도 아니고, 투명성과 진정성을 보여줄 수 밖에 없는 환경의 변화를 받아드리고, 그것을 적극적으로 지원해줄 수 있는 시니어들이 많은 조직많이 소셜 미디어 활용의 혜택을 얻은 자격이 있다는 생각도 들고요!
포레스터 리서치는 미국 네티즌들을 대상으로 한 것이고, 매년 조사결과 수치는 변동되니까요. 그런데 한국이나 미국이나 기업이 무슨일을 한다면 상업적으로 자사 위주로만 이용하려는 시도라 생각하고 네티즌들이 거부하는 경우도 있고, 또 실제적으로 그리 사용하고 있는 기업들도 있고 꾸준히 노력해야 정답이 아니더라도 길이 보이는 법이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