옙 다산님, Public Relations라는 커뮤니케이션 영역 자체가 장기적인 우호적 관계구축을 위한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 활동의 영역이기 때문에 블로그 활동 또한 그런 관점에서 이해를 해야 된다는 생각입니다. 기업고객들에게 실제적인 효과를 보여줄 수 있는 팩트를 함 정리해보겠습니다. 아 그리고 푸욱 잠자고 일상에 정신이 없네요. ㅎㅎ
all/nothing 차원에서나 혹은 어떤 도구(방법)가 다른 것을 대체한 다는 식으로 생각하기보다는 각 매체가 가진 특성에 맞게 커뮤니케이션을 하면 된다고 봅니다.
블로그의 특징은 쉽게 말하자면 스토리텔링이고 다르게 표현하자면 내러티브 구조입니다.
요즘 J of Consumer Research등을 보면 스토리텔링 혹은 내러티브에 의한 설득을 이야기하고 있고 Bob Heath 등은 위기 상황에서 이런 내러티브 접근 가능성에 관해 책을 엮기도 했습니다.
그러고 보니까 일전에 스티브 루벨도 junycap님이 생각하는 것 같은 경험을 전하더군요. 현장에 가서 이른바 블로그나 소셜 미디어 PR의 기능과 힘을 강조하기가 여간 쉽지 않다는 것 말이죠...
그러나 문제는 전통적 PR 패러다임에 있는 분들이 새롭게 부상하는 new media PR에 눈을 돌려야 한다는 것입니다.
아래 링크를 따라가보면 좋은 신문 기사를 만날 것입니다. http://micropr.net/prp/?p=97
all/nothing 차원에서나 혹은 어떤 도구(방법)가 다른 것을 대체한 다는 식으로 생각하기보다는 각 매체가 가진 특성에 맞게 커뮤니케이션을 하면 된다고 봅니다.
블로그의 특징은 쉽게 말하자면 스토리텔링이고 다르게 표현하자면 내러티브 구조입니다.
요즘 J of Consumer Research등을 보면 스토리텔링 혹은 내러티브에 의한 설득을 이야기하고 있고 Bob Heath 등은 위기 상황에서 이런 내러티브 접근 가능성에 관해 책을 엮기도 했습니다.
그러고 보니까 일전에 스티브 루벨도 junycap님이 생각하는 것 같은 경험을 전하더군요. 현장에 가서 이른바 블로그나 소셜 미디어 PR의 기능과 힘을 강조하기가 여간 쉽지 않다는 것 말이죠...
그러나 문제는 전통적 PR 패러다임에 있는 분들이 새롭게 부상하는 new media PR에 눈을 돌려야 한다는 것입니다.
아래 링크를 따라가보면 좋은 신문 기사를 만날 것입니다. http://micropr.net/prp/?p=97